KR200169276Y1 - 자동 김구이기 - Google Patents

자동 김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276Y1
KR200169276Y1 KR2019990019109U KR19990019109U KR200169276Y1 KR 200169276 Y1 KR200169276 Y1 KR 200169276Y1 KR 2019990019109 U KR2019990019109 U KR 2019990019109U KR 19990019109 U KR19990019109 U KR 19990019109U KR 200169276 Y1 KR200169276 Y1 KR 200169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ir
laver
rollers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희
Original Assignee
김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희 filed Critical 김강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유해한 성분의 생성과 영양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바닥판(10)에 좌,우측판(12)(14) 및 다수의 상판(16)(18)으로 연장된 프레임(2)과, 상기 바닥판(10)과 이격되어 좌,우측판(12)(14)과 연장되며 후방으로 낮아진 경사판(4)과, 다수 상판(16)(18)과 경사판(4) 사이에서 직립상태로 고정된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과, 낱장의 김(S)에 기름을 두르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그 각각의 양단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름도포수단(20)과, 기름이 발라진 김(S)을 마찰력으로 전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송수단(40)과, 전진 이송되는 김(S)의 상면에 적량의 소금을 뿌릴 수 있게 된 상태로 구성되는 가미수단(50)과, 상기한 바와 같이 기름이 발라지고 소금이 뿌려진 낱장의 김(S)을 소정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수단(60)과,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개의 각 롤러들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동력전달기어(G) 및 구동모터(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김구이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 김구이기{Device for automatically roasting the laver}
본 고안은 자동 김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을 낱장으로 이송시키면서 기름이 발라지고 소금이 뿌려져 자동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 김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먹거리중의 하나인 김은 영양이 풍부하고 값이 싸기 때문에 그 소비량이 날로 증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김은 보통 네모난 종이장처럼 만들어 단위별로 보관하였다가 낱장마다 기름을 두르고 소금을 쳐서 구워먹게 되는데, 근래에는 이와 같이 가공된 후 소정의 단위로 포장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김의 양면으로 발라진 기름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김의 주요성분인 요오드와 결합하여 유해한 성분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가능하면 즉석에서 김을 조리하여 먹는 것이 좋으며, 또 이를 위한 수단의 강구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김에 기름을 바르고 소금으로 간을 하여 즉석에서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에 유해한 성분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고 또 김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국민건강에 기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신선한 김구이를 즐길 수 있게 되도록 하는 자동 김구이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 김구이기의 외관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 김구이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 김구이기에 적용되는 기름통의 취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적인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 김구이기의 구성 및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일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프레임
4 : 경사판 6, 8 : 롤러장착브라켓
10 : 바닥판 12 : 좌측판
14 : 우측판 16, 18 : 상판
20 : 기름도포수단
22, 24 : 상부롤러 26, 28 : 하부롤러
30, 32 : 기름챔버 34 : 기름통결합부
36 : 기름통 38 : 기름통개폐판
40 : 이송수단
42 : 상부롤러 44 : 하부롤러
50 : 가미수단
52 : 소금챔버 54 : 롤러
56 : 돌출단
60 : 가열수단
G : 동력전달기어 S : 김
62 : 아이들기어 64 : 구동모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판에 좌,우측판이 연장되고 분리된 다수의 상판이 이격 상태에서 좌,우측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바닥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바닥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좌,우측판과 연장되며 김의 진행방향으로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판과, 상기 좌,우측판과 각각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다수 상판과 경사판 사이에서 고정 결합된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과, 이웃하도록 이격된 전방부의 상판들 사이로 진입되는 낱장의 김에 연속적으로 적량 공급되는 기름을 두르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에 그 각각의 양단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진 기름도포수단과, 상기 다수의 롤러들에 의해 기름이 발라진 김을 마찰력으로 전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에 그 각각의 양단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이와 같이 복수의 롤러들에 의해 전진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적량의 소금을 뿌릴 수 있게 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에 그 양단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의해 적량으로 퍼올려져 김의 상면으로 뿌려지는 소금이 롤러의 전장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롤러의 하부 위치에서 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소금챔버로 이루어진 가미수단과, 상기 가미수단에 의해 가미된 김이 소정온도로 구워지도록 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다수의 롤러들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동력전달기어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김구이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2)에 경사판(4)과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이 결합되고, 프레임(2) 및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기름도포수단(20)과 김(S)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40), 그리고 김(S)에 소금을 뿌리는 가미수단(50) 및 김(S)을 굽는 가열수단(60) 등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 김구이기에 관련된다.
즉, 상기 프레임(2)은 바닥판(10)에 좌,우측판(12)(14) 및 다수의 상판(16)(18)이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판(4)은 바닥판(10)과 이격되어 좌,우측판(12)(14)과 연장되되, 김(S)의 전진방향으로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은 다수 상판(16)(18)과 경사판(4) 사이에서 직립되어 좌,우측판(12)(14)과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한편, 기름도포수단(20)은 한 쌍의 상,하부롤러(22)(24)(26)(28)와, 한 쌍의 하부롤러(26)(28) 하측에 배치되는 기름챔버(30)(32), 이러한 기름챔버(30)(32)에 연장되는 기름통결합부(34), 기름통결합부(34)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기름통(36)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한 쌍의 상부롤러(22)(24)들은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그 양단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낱장의 김(S)을 사이에 두고 맞물려 구동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하부롤러(26)(28)들은 한 쌍의 상부롤러(22)(24)의 각 하부에서 상부롤러(22)(24)들과 각각 맞물려 구동되도록 배치되고, 그 양단이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적량의 기름을 상부롤러(22)(24)로 각각 묻히면서 구동된다.
또, 상기 기름챔버(30)(32)는 상기한 한 쌍의 하부롤러(26)(28)들의 하측이 각각 부분적으로 침지되는 기름이 일정한 수위로 채워져 유지되도록 그 양단이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각각 밀폐 상태로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의 롤러장착브라켓(6)을 천공하여 기름챔버(30)(32)와 연통되는 R;름통결합부(34)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기름통결합부(34)에 결합되는 기름통(36)은 그 하부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태로 기름통결합부(34)와 결합되어 있으며, 기름통(36)의 장착을 위하여 기름통결합부(34)가 노출되도록 좌측판(12)에 구멍이 뚫려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기름챔버(30)(32)에 일정량의 기름 수위가 유지되었을 때 기름에 부유되어 기름통의 하측 개구부를 막을 수 있도록 기름통개폐판(38)이 기름통결합부(34)에 내재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이송수단(40)은 기름이 발라진 김(S)을 마찰력으로 전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른 상,하부롤러(42)(44)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른 상부롤러(42)는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그 각각의 양단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름도포수단(20)을 이루는 한 쌍의 상부롤러(22)(24)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기름이 발라진 김(S)을 마찰력으로 전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하부롤러(44)는 그 외주면 하측이 경사면 상면에 근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기름이 발라진 낱장의 김(S)이 경사판(4) 상면에서 마찰력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미수단(50)은 일정량의 소금이 채워질 수 있는 소금챔버(52)와, 이 소금챔버(52)에서 적량의 소금을 퍼올려 김(S) 상면으로 뿌리는 또 다른 롤러(54)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가미수단(50)의 또 다른 롤러(54)는 상기 이송수단(40)의 상부롤러(42)와 이웃하는 위치에서 상기 소금챔버(52)에 그 하측 일부분이 내재되도록 배치되어 그 양단이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소금챔버(52)로부터 소량의 소금을 퍼올려 전진 이송되는 김(S)의 상면에 뿌릴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돌출단(56)이 이격된 상태에서 연쇄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소금챔버(52)는 소금이 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가미수단(50)의 또 다른 롤러(54) 하측으로, 롤러(54)가 부분 요입되도록 배치되며, 그 양단이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밀폐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60)은 상기한 경사판(4)의 하부에 밀착상태로 배치되도록 일측판(12)을 통해 프레임(2)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공급에 따라 발열작용되어 기름이 발라지고 소금이 뿌려져 경사판(4) 상면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김(S)을 소정온도로 구울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개의 각 롤러(22)(24)(26)(28)(42)(44)(54)들의 일측단부에는 동력전달기어(G)가 동축으로 각각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동력전달기어(G1)들은 연쇄적으로 교합되어 있으며, 일측의 롤러장착브라켓(6)(8)에 설치된 구동모터(54)의 회전축으로 장착된 구동측 기어(G2)와 상기 가미수단(50)의 롤러(54)에 장착된 동력전달기어(G1)가 아이들기어(62)에 동시 교합됨으로써, 구동모터(64)의 구동력이 다수의 롤러(22)(24)(26)(28)(42)(44)(54)들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 김구이기는 도 1에서와 같은 가열수단(60)에 전원의 전류를 인가시켜 가열수단(60)에 의한 경사판(4)의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64)에 전원의 전류를 인가하여 구동모터(64)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러한 구동모터(64)의 회전력으로 다수 기어(G2)(62)(G2)들을 구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다수 롤러(22)(24)(26)(28)(42)(44)(54)들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기름도포수단(20)을 이루는 한 쌍의 하부롤러(26)(28)가 상부롤러(22)(24)들과 각각 맞물려 구동되면서 기름챔버(30)(32)의 기름이 하부롤러(26)(28)를 통해 상부롤러(22)(24)의 외주면에 묻게 되고, 이와 같이 상부롤러(22)(24)에 묻혀진 기름이 한 쌍의 상부롤러(22)(24) 사이로 진입되는 김(S)의 양면에 고루 발라지게 된다.
또 그 양면에 기름이 발라지면서 그 하측선단부가 경사판(4)에 닿게 되는 김(S)은 경사판(4)에서 그 하측선단부가 전진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도되며, 이송수단(40)의 하부롤러(44) 위치까지 밀리게 되면 이때부터 김(S)은 이송수단(40)의 하부롤러(44)에 마찰되어 전진방향으로 이송된다.
또, 가미수단(50)의 롤러(54)가 구동되고 있으므로, 롤러(54)의 돌출단(56) 일측턱면(58)에 의해 적량의 소금이 소금챔버(52)로부터 퍼올려지고 김(S)의 상면으로 뿌려지며, 이에 따라서 기름이 도포된 김(S)을 가미시키게 된다.
또 이때 가열수단(60)에 의해 예열되어 있던 경사판(4)에 의해 김(S)은 적당하게 구워져 이송수단(40)의 하부롤러(44)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될 수 없을 때까지 이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 김구이기는, 김을 즉석에서 조리해 먹을 수 있게 함으로써, 김과 기름의 합성작용에 따른 유해한 성분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고, 또 김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국민건강에 기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신선한 김구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바닥판에 좌,우측판 및 다수의 상판으로 연장된 프레임;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어 좌,우측판과 연장되며 후방으로 낮아진 경사판;
    다수 상판과 경사판 사이에서 직립상태로 고정된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
    낱장의 김에 기름을 두르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에 그 각각의 양단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름도포수단;
    기름이 발라진 김을 마찰력으로 전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송수단;
    전진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적량의 소금을 뿌릴 수 있게 된 상태로 구성되는 가미수단;
    상기한 바와 같이 기름이 발라지고 소금이 뿌려진 낱장의 김을 소정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개의 각 롤러들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동력전달기어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김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름도포수단이,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에 그 각각의 양단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낱장의 김을 사이에 두고 맞물려 구동되는 한 쌍의 상부롤러;
    이 한 쌍의 상부롤러의 각 하부에 상부롤러들과 각각 맞물려 구동되며 적량의 기름을 상부롤러로 각각 묻히면서 구동되는 한 쌍의 하부롤러;
    상기한 한 쌍의 하부롤러들의 하측이 각각 부분적으로 침지되는 기름이 일정한 수위로 채워져 유지되도록 그 양단이 좌,우측판에 각각 밀폐 상태로 연장되는 기름챔버;
    일측판을 천공시켜 상기 기름챔버와 연통되도록 연장된 기름통결합부;
    상기 기름통결합부에 그 하부의 선택적인 연통 상태로 결합되어 상측으로부터 기름이 수시로 채워질 수 있게 형성 구비된 기름통;
    상기 기름챔버에 일정량의 기름 수위가 유지되었을 때 기름에 부유되어 기름통의 하측 개구부를 막을 수 있도록 구비된 기름통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김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수단이,
    기름이 발라진 김을 마찰력으로 전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에 그 각각의 양단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름도포수단을 이루는 한 쌍의 상부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부롤러;
    기름이 발라진 낱장의 김이 경사판 상면에서 마찰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다른 하부롤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미수단이,
    김의 상면으로 뿌려지는 소금이 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롤러장착브라켓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소금챔버;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롤러와 이웃하는 위치에서 상기 소금챔버에 그 하측 일부분이 내재되도록 배치되어 구동되며 소금챔버로부터 소량의 소금을 퍼올려 전진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뿌릴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돌출단이 이격된 상태에서 연쇄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구이기.
KR2019990019109U 1999-09-08 1999-09-08 자동 김구이기 KR2001692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206A KR20010026776A (ko) 1999-09-08 1999-09-08 자동 김구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206A Division KR20010026776A (ko) 1999-09-08 1999-09-08 자동 김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276Y1 true KR200169276Y1 (ko) 2000-02-15

Family

ID=196106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109U KR200169276Y1 (ko) 1999-09-08 1999-09-08 자동 김구이기
KR1019990038206A KR20010026776A (ko) 1999-09-08 1999-09-08 자동 김구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206A KR20010026776A (ko) 1999-09-08 1999-09-08 자동 김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9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85Y1 (ko) * 2010-08-20 2013-02-01 (주)해담솔이십일 냄새 및 연기 제거기능을 구비한 수정돌판 김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07B1 (ko) * 2012-07-26 2014-04-17 신진수산맛김(주) 김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85Y1 (ko) * 2010-08-20 2013-02-01 (주)해담솔이십일 냄새 및 연기 제거기능을 구비한 수정돌판 김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77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9276Y1 (ko) 자동 김구이기
KR200415670Y1 (ko) 김 구이장치
CN110122800A (zh) 一种全自动海苔卷机
KR100800572B1 (ko)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살포장치
CN110122799A (zh) 一种卷海苔机构
CN110623021A (zh) 一种饼干撒料机
KR200435783Y1 (ko) 김구이기용 컨베이어
CN203913167U (zh) 一种饼状食品的上芝麻机
US2088946A (en) Doughnut cooking device
CN207323350U (zh) 仿手工全自动炸油条机
CN105494491B (zh) 一种油式烙馍机及烙馍方法
KR100810129B1 (ko) 꼬치 구이기
JP2006212349A (ja) 調理ラインシステム
US57629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imitation grill marks on food without using heat
KR200255549Y1 (ko) 김구이기용 기능성 재료 공급장치
KR19980056913U (ko) 어묵 구이장치
CN215533705U (zh) 一种烧烤均匀的乳猪炉
KR100521799B1 (ko) 김 구이 장치
KR100422223B1 (ko) 김구이 장치
CN216534970U (zh) 一种自动烤串机
KR101823520B1 (ko) 훈연맛김 제조장치
CN201074222Y (zh) 型焦回转式息焦装置
KR200348117Y1 (ko) 다목적 자동구이 장치
CN217089531U (zh) 一种鸡排裹粉装置
CN201398401Y (zh) 具有涂布装置的润饼皮自动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