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276Y1 - 버스운행기록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운행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276Y1
KR200168276Y1 KR2019990015016U KR19990015016U KR200168276Y1 KR 200168276 Y1 KR200168276 Y1 KR 200168276Y1 KR 2019990015016 U KR2019990015016 U KR 2019990015016U KR 19990015016 U KR19990015016 U KR 19990015016U KR 200168276 Y1 KR200168276 Y1 KR 200168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platform
ti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이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수 filed Critical 이남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2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by conversion into electric waveforms and subsequent integration, e.g. using tachometer gener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운행상태를 기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운행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스운행 상황의 파악에 필요한 자료를 버스운행 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승강장에서 적외선 코드를 송신시키고 이를 시내버스에서 수신하여 적외선 코드에 해당되는 음성 안내방송을 읽어내어 카라디오 또는 별도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승강장 안내방송 시스템에서,
출입문으로 승차하는 승차인원을 감지하는 인원 체크 센서를 구비하고, 현재시간정보를 제공하는 리얼타임 클럭을 구비하며, 승강장 식별 적외선코드 인식시 마다 승강장명과 시간을 메모리시키는 메모리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승차인원을 카운트하고 운행정보를 기록시키는 마이콤을 구비하며, 상기 마이콤의 차량운행 정보를 무선전송시키는 무선데이타 송수신기를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버스 운행 기록장치{Bus tacho meter}
본 고안은 버스의 운행상태를 기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운행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스운행 상황의 파악에 필요한 자료를 버스운행 후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시내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따라 정해진 시간동안 운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일부 시내버스는 이를 지키지 않고 결행하거나, 노선을 지키지 않고 운행하거나, 출발과 도착시간이 일정치 않거나,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동안 공회전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사람이 감시하기 전에는 확인할 길이 없었다.
특히 시내버스의 승차인원 확인은 시내버스 요금을 결정하거나 운행수입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승차인원이 예상인원 보다 적을 때 버스기사가 의심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내버스 요금산정에 정확성을 기대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시내버스의 출발에서 도착까지 노선별 정류장 통과시간 및 승차인원 등의 모든 운행자료를 버스운행 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승강장에서 적외선 코드를 송신시키고 이를 시내버스에서 수신하여 적외선 코드에 해당되는 음성 안내방송을 읽어내어 카라디오로 출력시키는 승강장 안내방송 시스템에서,
출입문으로 승차하는 승차인원을 감지하는 인원 체크 센서를 구비하고, 현재시간정보를 제공하는 리얼타임 클럭을 구비하며, 승강장 식별 적외선코드 인식시 마다 승강장명과 시간을 메모리시키는 메모리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승차인원을 카운트하고 운행정보를 기록시키는 마이콤을 구비하며, 상기 마이콤의 차량운행 정보를 무선전송시키는 무선데이타 송수신기를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량운행정보는 날자, 결행여부, 승차인원, 차량별 운행여부, 출발과 도착시간, 정류장 통과시간, 공회전시간 및 차량속도, 승강장 안내방송 사용여부 등을 수록하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외관 실시예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 회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승강장 통과시 동작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의 버스종점 진출입시 동작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원 체크 센서 4 : 적외선 코드 발생기
6 : 무선 송수신기 7 : 중앙 통제소
10 : 안내장치 11 : 마이콤
12 : 리얼타임 클럭 13 : 적외선 코드 수신기
14 : 무선데이터 송수신기 17 : 메모리 소자
본 고안은 기존의 버스승강장 자동안내장치(10)에 내장되어지는 것으로 외관상으로는 현재시간을 정확히 표시하는 시간표시부(2)가 설치되고, 운행정보를 무선송신하기 위한 타코송수신안테나(3)가 설치되며, 버스의 출입구 상단에 설치되는 안내장치(10)의 하방으로 승차인원 체크를 위한 인원체크센서(1)가 설치되어진다.
안내장치(10)에는 본 고안 장치의 구동을 콘트롤하는 마이콤(11)과, 마이콤(11)에 정확한 현재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리얼타임클럭(12)과, 승강장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코드를 수신하는 적외선코드수신기(13)와, 중앙통제소(7)와 운행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데이타송수신기(14)와, 운행정보를 시간대별로 기록 저장하는 메모리소자(17)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소자(17)는 승강장 음성안내신호가 저장되는 한편 버스 운행정보도 함께 기록되며 승강장 음성안내신호는 적외선코드에 의해 읽혀져 D/A 콘버터와 필터(16)를 거치고 오디오증폭기(15)를 통하여 카라디오 또는 별도 스피커로 출력되고 버스운행정보는 무선데이타송수신기(14)로 인가된 정보에 의해 읽혀져 무선데이타송수신기(14)에서 중앙통제소(7)로 무선 전송된다.
그리고 마이콤(11)에는 엔진공회전시간, 주행속도 등의 정보가 입력되며 이는 운행정보로 메모리소자(17)에 저장된다.
여기서 마이콤(11)은 차고지에서 출발할 때 출발시간만을 기록한 상태로 메모리소자(17)를 관리하고 차고지에 도착해서는 중앙통제소(7)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소자(17)에 저장된 운행정보를 무선데이타송수신기(14)로 송신시킨 후 운행정보를 클리어시키게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동작설명에 앞서 먼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1998년 실용신안출원 제21166호의 버스승강장 자동 안내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시내버스(5)에는 안내장치(10)가 설치되고 승강장에는 적외선 코드발생기(4)가 설치되어 시내버스(5)가 승강장에 근접할 때 적외선 코드발생기(4)에서 송신하는 승강장 식별 적외선코드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미리 메모리된 전체 승강장 안내 음성신호 중 승강장 식별 적외선코드에 해당되는 안내음성신호를 카라디오 또는 별도 스피커를 통하여 방송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이용하여 시내버스 운행기록장치를 운용한다.
먼저 시내버스(5)가 차고지에서 출발할 때 중앙통제소(7)의 무선송수신기(6)에서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안테나를 수신하여 차고지 출발시간부터 기록저장한다.
그리고 승강장에 도달할때마다 적외선 코드발생기(4)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코드를 수신하면 그때의 시간과 승강장 이름등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이때 공회전시간, 자동차 주행속도 그리고 인원체크센서(1)에서 체크된 승차인원을 카운트하여 운행정보로써 메모리소자(17)에 기록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인원체크센서(1)는 적외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부로 이루어 지며, 송수신부에서 승차승객의 머리부위를 향하여 적외선신호를 송신하고 승객의 머리에서 반사된 적외선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승차인원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승객이 승차할 때 머리와 머리사이의 공간이 발생되며 이공간을 승객카운트의 구분된 신호로 이용되게 하므로써 인원체크센서(1)에서는 정확히 승차인원을 카운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원체크센서(1)의 감도를 조정하여 승객의 머리에서 반사된 적외선 신호만을 감지하고 승객의 머리에서 적외선신호가 반사되지 않을 경우 적외선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게 하면 승차인원의 체크가 정확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같이 정해진 노선을 모두 운행하게 되면 각 승강장 도착시간과 경유승강장별 운행정보가 메모리소자(17)에 기록되어 있게 된다.
시내버스(5)가 다시 종점에 도착하면 적외선코드발생기(4)에서 송신된 적외선코드에 의해 종점 안내방송을 한 후 그때까지 기록된 모든 운행정보를 차량 고유번호와 함께 무선데이타송수신기(14)를 이용하여 중앙통제소(7)로 송신하고 메모리소자(17)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기록은 클리어시킨 후 다음 운행에 대비한다.
이때 중앙통제(7)에서 수신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운행정보를 재송신시키도록 하여 정확한 정보 입력이 되게 한다.
중앙통제소(7)에서는 시내버스(5)에서 송신된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시키는 한편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프린터할 수 있도록 하며 제 3 의 통제센터에서 이를 원격 확인 저장하도록 한다.
무선문자 송출 후 수신부에서 오류가 발생시 재송신 후 교정 또는 재입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시내버스 운행에 관계된 모든 정보를 간단히 장비에 의해 정확히 확인 가능한 것으로, 노선별 운행횟수 시간 및 승차인원 등의 정확한 확인으로 시내버스 운행에 따른 불신감을 없애 주며 앞으로 건설교통부의 시내버스개선방안계획에 따른 자료로서 사용된다.

Claims (2)

  1. 버스승강장에서 송신되는 승강장 식별 적외선코드를 수신하여 미리 메모리된 해당 승강장 안내방송을 읽어내어 카라디오 또는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승강장 자동 안내방송 시스템에서,
    출발에서 도착시까지 승강장 식별 적외선코드 인식시 마다 승강장 이름과 시간을 기록하는 메모리소자를 구비시키고, 정확한 현재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리얼타임 클럭을 구비시키며,
    버스 승차인원을 체크하는 인원체크 센서를 구비시키고, 상기 승강장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운행정보를 시간과 함께 기록되게 하고 승차인원을 카운트 기록시키는 마이콤을 구비시키며,
    버스의 종점 진입시 기록된 운행정보를 중앙통제소로 전송시키는 무선데이타 송수신기를 구비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기록장치.
  2. 제 1 항에서, 마이콤은 버스 엔진의 공회전시간 및 버스운행 속도를 기록 저장시키고 시간대 별로 승강장 통과시간 및 승차인원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기록장치.
KR2019990015016U 1999-05-31 1999-07-26 버스운행기록장치 KR2001682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46 1999-05-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446 Division 1999-05-31 1999-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276Y1 true KR200168276Y1 (ko) 2000-02-15

Family

ID=1957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016U KR200168276Y1 (ko) 1999-05-31 1999-07-26 버스운행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44B1 (ko) 2010-05-03 2012-05-09 (주)경봉 리모컨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44B1 (ko) 2010-05-03 2012-05-09 (주)경봉 리모컨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11373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use of a means of transport conveying persons
EP0366736B1 (en) Timing system
CN1784701A (zh) 事件检测系统
WO2005093370A1 (en) Automatic toll pay system
KR200168276Y1 (ko) 버스운행기록장치
CN103186983B (zh) 一种车辆监控方法及系统
JP2000335418A (ja) 車両位置案内装置
JP3329650B2 (ja) 車載用非接触型自動改札機
JP2002230595A (ja) 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器および料金収受方法
JP2001001902A (ja) 車両遅延案内装置
JPH0344800A (ja) 車載通信装置
KR100409942B1 (ko) 차량식별시스템
KR102019733B1 (ko) 안심 통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H08127343A (ja) 乗車率監視装置
KR20120014090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열차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2006338375A (ja) 移動体固定地点間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固定地点間情報処理方法
JPH09288750A (ja) 自動料金収受装置
JPH07129878A (ja) 車両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2001338387A (ja) 注意喚起システム
JPH0315239B2 (ko)
KR200236073Y1 (ko)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KR19990003646U (ko) 지하철 안내방송 자동 송출장치
KR19980047576A (ko) 자동차 뺑소니 방지 및 사고방지 장치
JPH04372462A (ja) 旅客案内システム
JP2529383B2 (ja) 車載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