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070Y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070Y1
KR200168070Y1 KR2019950047539U KR19950047539U KR200168070Y1 KR 200168070 Y1 KR200168070 Y1 KR 200168070Y1 KR 2019950047539 U KR2019950047539 U KR 2019950047539U KR 19950047539 U KR19950047539 U KR 19950047539U KR 200168070 Y1 KR200168070 Y1 KR 200168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electromagnets
springs
height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659U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7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070Y1/ko
Publication of KR970028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분야: 전자석에 의하여 노면 상태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구성: 현가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된 두 개의 스프링; 그리고 두개의 스프링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두 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며, 노면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두개의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두개의 전자석간에 작용하는 힘의 강도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두개의 전자석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현가장치 전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된다.
효과: 턱을 감지하는 프리뷰 센서나 비포장도로를 감지하는 지-센서등의 감지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서스펜션의 높이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차체가 노면 상의 돌출부에 닿아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가장치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가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계통도이다.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전자석에 의하여 노면 상태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상에 설치되어 차체를 지지하며,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이 턱을 지나거나 노면이 불규칙한 비포장도로를 주행할 때, 특히 차체가 낮은 승용차와 같은 경우, 차체가 턱이나 노면에 닿아서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지만, 종래의 현가장치에서는 차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은 없으므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은 충격이나 진동이 차체로는 전달되지 않게 이를 흡수하고 승차감을 향상하는데 그치고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목적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현가장치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현가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된 두 개의 스프링; 그리고 두개의 스프링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두 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며, 노면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두개의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두개의 전자석간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의 강도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두개의 전자석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현가장치 전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두개의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 및/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개의 스프링과 두개의 전자석은 상하 두개의 반쪽 껍질이 합쳐져서 형성된 한개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례의 자세한 설명]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현가장치(1)는 상하 두개의 반쪽 껍질(5, 6)이 합쳐져서 형성된 한개의 하우징을 가지며, 이 하우징의 높이는 현가장치(1)의 높이를 정의한다. 하우징 내에는 이 하우징의 높이 방향으로 두개의 스프링(9, 10)이 배치되고, 이들 스프링(9, 10) 사이에는 두개의 전자석(7, 8)이 역시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9, 10)은 압축 코일 스프링 및/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 전자석(7, 8)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서로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하여 현가장치(1) 전체의 높이를 변화시키게 된다. 두 개의 스프링(9, 10)은 두 전자석(7, 8)이 상호간에 작용하는 힘과 반대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예컨대, 노면에 형성된 턱이나 노면의 비포장 여부를 감지하는 프리뷰 센서(preview sensor)(14) 또는 지-센서(G-sensor)(16)와 같은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 조건이 전자제어유닛(ECU)(12)로 입력된다. 이 ECU(12)의 제어에 따라, 전류 증폭기(11)로부터의 전류가 전자석(7, 8)으로 공급된다. 예컨대, 노면에 높은 턱이 존재하거나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전자석(7, 8)간에 작용하는 척력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이들 자석(7, 8)간의 거리를 멀리하여 현가장치 전체의 높이를 높이면, 차체가 턱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현가장치를 사용하면, 턱을 감지하는 프리뷰 센서나 비포장도로를 감지하는 지-센서등의 감지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서스펜션의 높이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차체가 노면 상의 돌출부에 닿아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현가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된 두 개의 스프링; 그리고 상기 두개의 스프링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두 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며, 노면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두개의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두개의 전자석간에 작용하는 힘의 강도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두개의 전자석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현가장치 전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인 현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스프링과 상기 두개의 전자석은 상하 두개의 반쪽 껍질이 합쳐져서 형성된 한개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현가장치.
KR2019950047539U 1995-12-26 1995-12-2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KR200168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539U KR200168070Y1 (ko) 1995-12-26 1995-12-2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539U KR200168070Y1 (ko) 1995-12-26 1995-12-2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659U KR970028659U (ko) 1997-07-24
KR200168070Y1 true KR200168070Y1 (ko) 2000-03-02

Family

ID=1943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539U KR200168070Y1 (ko) 1995-12-26 1995-12-2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0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145B1 (ko) 2019-08-30 2020-09-15 김중원 차량 현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077B1 (ko) * 1998-05-21 2007-05-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액티브패널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145B1 (ko) 2019-08-30 2020-09-15 김중원 차량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659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6803A (zh) 主动减震车辆座椅和车辆座椅主动减震的方法
KR200168070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KR950026710A (ko) 현가제어장치
KR100448777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진동흡수장치
GB2355238A (en) Floating a vehicle upper part from a lower frame
KR100820412B1 (ko) 자동차 전자제어식 현가장치의 제어방법
JPH04300709A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KR100216560B1 (ko)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KR100341742B1 (ko) 전자제어현가장치의제어방법
KR19980041622A (ko) 전자석을 이용한 현가장치
KR20020051773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00055865A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
JPH03182829A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826597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制御装置
KR19990057517A (ko) 차량용 전자제어 현가장치
KR19990032505A (ko) 자기부상식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206340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장치
KR100559529B1 (ko) 차량의 자세 제어 장치
KR20050009017A (ko) 전자기 효과를 이용한 차량용 서스펜션 및 차체 거동제어방법
KR20010092107A (ko) 자력을 이용하여 자동차 시트의 높이를 제어하는 장치
KR0174419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자동 현가장치
JPS62113613A (ja) 電子制御サスペンシヨン
KR19980015655A (ko) 도로 조건 예측이 가능한 자동 서스펜션
KR19980017909A (ko) 자동차 현가 장치
JPS62155012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