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003Y1 - 유압용 부스터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용 부스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003Y1
KR200168003Y1 KR2019990017483U KR19990017483U KR200168003Y1 KR 200168003 Y1 KR200168003 Y1 KR 200168003Y1 KR 2019990017483 U KR2019990017483 U KR 2019990017483U KR 19990017483 U KR19990017483 U KR 19990017483U KR 200168003 Y1 KR200168003 Y1 KR 200168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orking fluid
hydraulic
chamb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철수
Original Assignee
설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철수 filed Critical 설철수
Priority to KR2019990017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1Systems with pressure sources other than pumps, e.g. with a pyrotechnical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5Pressure contro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용 부스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증압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고압이 형성되어 소음 및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압용 부스터장치는, 내부에 가압실(106)이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부(101); 실린더의 가압실(106)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부(103); 실린더부(101)의 가압실(106)에 형성되는 유입포트; 및 실린더부(101)의 가압실(106)에 형성되는 유출포트를 포함하여, 피스톤부(103)가 가압실(106)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가압실(106) 내부를 대기압 이하의 저압상태로 만들고 유입포트를 통하여 가압실(106) 내부로 작동유체가 유입된 상태에서 피스톤부(103)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작동유체를 가압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유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외부의 유압장치부로 정확한 증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압용 부스터장치{hydraulic booster device}
본 고안은 유압용 부스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증압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고압을 형성할 수 있어 소음 및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압용 부스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소요의 치수, 형상 또는 표면성질을 얻는 가공법을 절삭가공이라 한다. 소재에 국부적 절단변형을 주어 칩을 발생시키는 관례적 절삭가공은, 날을 가진 공구에 의한 방법과 연삭입자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절삭가공에서, 공구에 의한 가공에는 사용하는 공구의 형상과, 공구와 공작물의 상대운동의 관계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이 있다. 공구는 대별하여 실제로 절삭을 하는 주날이 1개소에 있는 소위 단도공구, 원통형의 공구로서 그 단면 또는 외주에 날이 있는 드릴(drill) 및 밀링커터(milling cutter) 등이 있다.
상기한 공구들은 통상적으로 절삭용 공작기계에 장착되어 소재에 절삭력을 가하여 소재를 절삭하게 된다. 소재는 공작기계에 설치되어 있는 소재 파지용 척킹장치(chucking device)에 의해 척킹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드릴 혹은 밀링커터 등의 절삭공구에 의해 절삭력을 받아서 절삭가공된다.
공작기계는 가공공작물을 절삭을 위해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클램핑장치는 공작기계에 다수개 장착되어 있다.
클램핑장치는 유압펌프 등에 의해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유압펌프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클램핑장치의 상부에 가공공작물이 놓여져 지지된 상태에서, 절삭용 가공공구 예들 들어, 드릴(drill)이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내려와서, 가공공작물을 가공하게 된다.
이때, 가공공작물은 드릴의 회전력과 하방가압력을 받기 때문에, 클램핑장치가 가공공작물을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마련된 유압유압장치로부터 소정세기 이상의 유압을 공급받아야 한다.
유압증압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압의 세기에 의해 클램핑장치의 고정능력이 좌우된다.
그런데, 종래의 유압증압장치, 즉 유압용 부스터(hydraulic booster)는 가압시 작동유체의 외부누유현상에 의한 압력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소정세기 이상의 정확한 유압을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고,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소음이 심하고 불량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압증압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고압을 형성할 수 있어 소음 및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압용 부스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유압용 부스터의 분해사시도.
도 2 - 도 1의 피스톤의 분해사시도.
도 3 - 도 1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실린더부 103 : 피스톤부
105 : 피스톤헤드부 106 : 가압실
107 : 가압스프링 109 : 가압부재
111 : 헤드커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압용 부스터장치는, 내부에 가압실이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의 상기 가압실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부;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가압실에 형성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가압실에 형성되는 유출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가압실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압실 내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저압상태로 만들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하여 상기 가압실 내부로 작동유체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작동유체를 가압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유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외부의 유압장치부로 정확한 증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압증압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고압이 형성되어 소음 및 불량율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용 부스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스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용 부스터장치는, 내부에 가압실(106)이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 실린더부(101)의 가압실(106)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부(103); 실린더부(101)의 가압실(106)에 형성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실린더부(101)의 가압실(106)에 형성되는 유출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부(10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상의 피스톤바와 피스톤바의 단부에 형성되는 피스톤헤드부(105)로 구성된다. 피스톤헤드부(105)에는 가압용 가압스프링(107)과 가압스프링(107)에 의해 가압이동하는 가압부재(10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압스프링(107) 및 가압부재(109)가 피스톤 헤드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헤드커버(111)가 덮어져 볼트체결됨으로써, 피스톤이 제작완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피스톤부(103)가 가압실(106)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가압실(106) 내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저압상태로 만들게 된다. 그리고, 유입포트를 통하여 가압실(106) 내부로 작동유체가 유입된 상태에서 피스톤부(103)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작동유체를 가압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작동유체를 유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외부의 유압장치부로 정확한 증압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피스톤부(103)가 실린더부(101)의 가압실(106)에서 후방으로 이격될 때, 가압실(106) 내부는 대기압보다 조금 낮은 저압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입포트를 통해 작동유체가 가압실(106)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가압실(106) 내부는 단면적의 차이에 의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로 되어, 외부와의 대기압차가 현저하게 나기 때문에, 외부의 대기압에 의해 작동유체가 가압실(106) 내부로 빠르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부(103)가 가압실(106)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격됨으로써, 작동유체를 유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강하게 송출하게 된다. 유입포트로부터 작동유체가 가압실(106)로 유입되는 이유는, 가압시 작동유체가 외부로 누유되는 누유현상에 의해 작동유체의 양의 감소하게 되어, 이 작동유체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유압용 부스터로부터 강한 압력을 갖는 작동유체를 수령한 유압장치는 작동유체의 유압에 의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용 부스터는 그 구조가 크게 실린더부(101)와 피스톤부(103) 등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고,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각 부품간의 간섭이 비교적 적어서 소음발생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불량율도 현저하게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압증압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고압이 형성되고 소음 및 불량율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압용 부스터장치에 의하면, 유압증압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고압이 형성되어 소음 및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유압용 부스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가압실(106)이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부(101);
    상기 실린더의 상기 가압실(106)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부(103);
    상기 실린더부(101)의 상기 가압실(106)에 형성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실린더부(101)의 상기 가압실(106)에 형성되는 유출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부(103)가 상기 가압실(106)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압실(106) 내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저압상태로 만들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하여 상기 가압실(106) 내부로 작동유체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103)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작동유체를 가압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유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외부로 유압장치부로 정확한 증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용 부스터장치.
KR2019990017483U 1999-08-23 1999-08-23 유압용 부스터장치 KR200168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83U KR200168003Y1 (ko) 1999-08-23 1999-08-23 유압용 부스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83U KR200168003Y1 (ko) 1999-08-23 1999-08-23 유압용 부스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003Y1 true KR200168003Y1 (ko) 2000-02-15

Family

ID=1958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483U KR200168003Y1 (ko) 1999-08-23 1999-08-23 유압용 부스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0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886B1 (ko) 2021-08-31 2021-11-01 (주)대진유압기계 유압 공구용 유압 부스터 장치
KR102554995B1 (ko) 2023-02-16 2023-07-17 (주)대진유압기계 유압 공구 작동용 유압 복동 부스터 장치
KR102572115B1 (ko) 2023-02-16 2023-08-30 (주)대진유압기계 유압 공구 작동용 유압 단동 부스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886B1 (ko) 2021-08-31 2021-11-01 (주)대진유압기계 유압 공구용 유압 부스터 장치
KR102554995B1 (ko) 2023-02-16 2023-07-17 (주)대진유압기계 유압 공구 작동용 유압 복동 부스터 장치
KR102572115B1 (ko) 2023-02-16 2023-08-30 (주)대진유압기계 유압 공구 작동용 유압 단동 부스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100A (en) Milling tool for turret punch press
JP2009214276A (ja) 円筒研削盤およびその円筒研削方法
KR200168003Y1 (ko) 유압용 부스터장치
CN210024881U (zh) 整体涡轮转子叶片磨粒流抛光夹具
CN112809389B (zh) 高效活塞钻镗孔一体机
US6048257A (en) Abrasive pad holder
JP4550063B2 (ja) ボアの表面に荒ホーニングを行う方法
JP2001353655A (ja) ホーニング加工工具及びその工具を用いた加工方法
CN111761502A (zh) 一种固液两相磨粒流研抛皮带轮的夹具
CN110871364A (zh) 一种数控机床用刀库的卸刀机构
US3603186A (en) Peeling machine tool clamp
KR101641603B1 (ko) 홀 클램핑장치
US6095907A (en) Reciprocating assembly for abrading a workpiece
CN210232419U (zh) 一种机床用高压冷却装置
KR200400875Y1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US3477320A (en) Toolholder apparatus and turning method
CN113458881A (zh) 一种五轴设备用刀粒研磨生产夹具
US6642469B2 (en) Electrode clamping system for sink-typ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s
JPH081507A (ja) ホーニングマシーン
KR101837901B1 (ko) 씨엔씨 선반
KR20100061888A (ko) 수직형 공작기계의 가공 거리 증대 장치
CN201366626Y (zh) 一种车端面的夹具
CN220761116U (zh) 一种可改善加工工件表面粗糙度的涂层合金铣刀
KR100376716B1 (ko) 머시닝 센터용 호닝 툴
CN218362121U (zh) 一种应用于五轴联动数控机床高速主轴的松刀油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