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638Y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638Y1
KR200167638Y1 KR2019990016364U KR19990016364U KR200167638Y1 KR 200167638 Y1 KR200167638 Y1 KR 200167638Y1 KR 2019990016364 U KR2019990016364 U KR 2019990016364U KR 19990016364 U KR19990016364 U KR 19990016364U KR 200167638 Y1 KR200167638 Y1 KR 200167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astening
piece
fix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490U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수 filed Critical 한영수
Publication of KR19990040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누름식버튼(41), 상기버튼(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2), 상기 버튼(41)이 왕복가능하게 삽설되고 상호대향하는 2개의 체결홈(48) 및 상호대향하는 2개의 삽입홈(49)이 형성된 고정부(45)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44), 상기 하우징의 고정부(45)에 해제가능하게 체결되는 셀렉트너트(46)를 포함하는 조작부(40); 상기 조작부(40)의 고정부(45)가 삽입고정되며, 내측면에 상기 고정부(45)에 형성된 체결홈(48) 및 삽입홈(49)에 각각 체결 및 삽입되는 체결편(52) 및 삽입편(52a)이 돌출형성되는 고정구멍(51), 및 상기 고정구멍(51)과 연통하며 구멍(53b)이 천공형성된 쇄정홈(53)이 형성되며, 상기 쇄정홈(53)에는 상기 고정부(45)를 쇄정시키기위한 쇄정편(54) 및 상기 쇄정편(54)을 상기 고정부(45)로부터 해제시키기위한 해제편(55)이 상호 연계설치되며, 상기 쇄정편(55)및 해제편(55)을 폐쇄하기위한 커버(56)가 제공되며 양측부에 조인트플레이트(57)가 제공되는 고정부재(50); 및 상기 고정부재(50)의 조인트플레이트(57)에 고정볼트(61)에의해 각각 고정되는 스위치유닛(60);으로 구성되며 고정부재를 조작부로부터 탈거시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음은 물론 해제편의 해제작용에 의해 조작부가 해제되므로 부품의 변형 및 파열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고안은 스위치(Switch)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을 수평상태로 유지한상태로 고정플레이트에 삽입후 회전식으로 조립 및 분해할 수있어 제품의 손상이 완전방지됨은 물론 분해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조작기계, 산업용품 또는 제어기계등에는 다양한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어 해당 기계에 알맞게 또한 제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같은 스위치들 중 도 1에는 예컨대 버튼스위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버튼스위치는 조작부(10), 고정플레이트(20) 및 2개의 스위치유닛(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10)는 누름버튼(11)이 왕복동가능하게 내장된 하우징(12) 및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나선(13a)이 형성된 고정부(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3)의 단부측 주변둘레에는 일정한 깊이 및 길이를 갖는 고정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3)에는 셀렉트너트(15)가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바, 이는 사용되는 조작부(10)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조작부(10)의 고정부(13)가 삽설고정되는 고정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멍(21)의 내측주변에는 상기 고정부(13)에 형성된 고정홈(14)에 삽입고정되는 걸림편(22)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후술되는 스위치유닛(30)을 고정 시키기위한 고정편(23)이 내설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탈거용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위치유닛(30)은 통상적으로 2개가 제공되며, 각각의 스위치유닛(30)은 고정용볼트(31)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고정편(23)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이같은 종래의 스위치의 설치방식에 의하면, 예컨대 스위치가 설치되는 패널에 구멍을 천공한후 상기 구멍에 버튼부(10)의 고정부(13)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3)의 고정홈(14)에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구멍(21)의 내측주변에 형성된 걸림편(22)을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이후 고정용볼트(31)를 이용하여 각각의 스위치(30)를 고정플레이트(20)의 각각의 고정편(23)에 장착시켜 기본적인 장착이 완료되면, 셀렉트너트(15)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조절하여 해당 설치패널에 대한 장착을 완료한다.
또한 분해시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라이버(D)와같은 공구의 단부를 고정플레이트(20)의 탈거용구멍(24)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면 고정플레이트(20)가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고정플레이트(20)의 걸림편(22)이 버튼부(10)의 고정부(13)의 고정홈(14)으로부터 이탈되어 고정플레이트(20)가 버튼부(10)로부터 탈거된다.
그러나 이같은 고정플레이트의 탈거시, 조작부의 고정부의 고정홈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균일되거나 또는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이 고정부가 균열 또는 파열되면 추후의 재사용시 정확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실제적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게되어 비용이 추가됨은 물론 제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하우징이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일정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조립 또는 분해됨으로써 더큰 작업공간을 필요로 할뿐 아니라 상호간의 정확한 배치가 요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에는 하우징과 고정플레이트간의 용이한 체결 및 해제를 위해 고정플레이트에 별도의 체결수단 및 해제수단이 제공된 스위치가 제공되기도 하였으나 이 또한 하우징을 경사지게 배치시킨상태로 고정시켜야함은 물론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조작부로부터 고정플레이트를 별도의 공구의 사용없이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음은 물론 탈거시 부품의 손상이 완전방지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2a 및 2b는 종래의 스위치의 본체로부터 하우징을 탈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고정플레이트의 고정구멍 및 하우징의 체결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절취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조립상태에서 조작부와 고정플레이트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조작부 41: 버튼
42: 하우징 43: 고정부
44: 체결부 45: 개구부
46: 체결홈 47: 쇄정홈
50: 고정플레이트 54: 고정구멍
55: 융기 56: 체결편
57: 쇄정편 60: 스위치유닛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버튼,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버튼이 왕복가능하게 삽설되며 나선이 형성된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고정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개구부, 다수의 체결홈 및 쇄정홈이 절취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한 조작부; 다수의 고정구멍, 조인트플레이트, 상기 조작부의 체결구멍가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멍, 상기 고정구멍의 내측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융기, 상기 고정구멍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쳐결홈에 삽입체결되는 다수의 체결편, 및 상기 체결부의 쇄정홈에 삽입쇄정되는 쇄정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조인트플레이트에 고정볼트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스위치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의 체결홈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대해 횡으로 연통되며 조작부의 회전시 상기체결편이 이동되어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의 쇄정홈에는, 상기 조작부를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회전시킬 때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쇄정편이 승월되어 고정되는 쇄정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고정플레이트의 고정구멍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며 또한 조작부 체결부의 일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절취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고정플레이트와 하우징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5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는 조작부(40), 고정플레이트(50) 및 스위치유닛(6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작부(40)는 기본적으로 버튼(41), 상기 버튼(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1a), 상기 스프링(41a)을 지지하기위한 와셔(41b), 상기 버튼(41)이 왕복동가능하게 삽설되는 나선이 형성된 고정부(43)를 지닌 하우징(42), 상기 고정부(43)에 해제가능하며 체결되는 셀렉트너트(43a), 및 상기 셀렉트너트(43a)와 하우징(42)간의 시일링을 위한 시일(43b)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42)의 고정부(43)의 단부에는 체결부(44)가 일체로 형성되는바, 상기 체결부에는 2개의 개구부(45)가 상호 대향하도록 절취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44)에는 다수의 체결홈이 형성되는바, 상기 각각의 체결홈은 그 체결부의 변부로 개방되는 수용부(46a)와 상기 수용부에 대해 횡으로 연통형성되는 체결부(46b)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42)의 고정부(43)에는 체결부(44)가 일체로 형성되는바, 상기 체결부(44)에는 2개의 개구부9450가 상호 대향하도록 절취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44)에는 다수의 체결홈(46)이 형성되는바, 상기 각각의 체결홈(46)은 그 체결부(44)의 변부로 개방되는 수용부(46a)와 상기 수용부(46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부(46b)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체결홈(46)의 사이에는 쇄정홈(47)이 형성되는바, 상기 쇄정홈(47)의 중앙부에는 쇄정돌기(47a)가 돌출형성된다.
실제로 상기 체결부(440는 2개의 부분으로 대칭형성되는바, 즉, 체결부(44)의 2개의 개구부(45)를 상호 연결하는 중심선에 대해 각각의 절반부에는 2개의 체결홈(46) 및 그 체결홈들 사이에 형성되는 쇄정홈(47)이 형성되어 각각의 절반부가 상호 대칭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2),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42)의 체결부(44)는 고정플레이트(50)에 회전방식으로 체결 고정되는바,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다수의 체결구멍(52)이 형성되며 상세히 후술되는 스위칭유닛이 고정되는 조인트플레이트(53)가 제공되는 본체(5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51)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42)의 체결부(44)가 고정되는 고정구멍(54)이 형성되는바, 상기 고정구멍(54)에는 상기 체결부(44)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해 테이퍼진 개구부(54a)를 지닌다.
특히, 상기 고정구멍(54)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42)의 각각의 개구부(45)에 삽입되는 융기(55)가 돌출형성되는바, 상기 융기(55)는 반원형의 단면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멍(54)의 내측면에는 상기 조작부(40)의 체결홈(4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편(56)이 돌출형성되는바, 그 체결편(56)의 갯수는 물론 체결홈(46)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멍(54)의 내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체결편(56)의 사이에는 상기 조작부(40)의 쇄정홈(47)에 고정되는 쇄정편(57)이 돌출형성된다.
실제로, 상기 고정구멍(54)의 내측면은 2개의 절반부가 상호 대칭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바, 즉, 고정구멍(54)에 형성된 2개의 융기(55)를 상호 연결하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상·하배치된 각각의 절반부에는 2개의 체결편(56) 및 쇄정편(57)이 형성되어 상호 대칭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50)에는 2개의 스위치유닛(60)이 장착되는바, 상기 각각의 스위치유닛(60)은 고정볼트(61)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50)의 각각의 조인트플레이트(53)에 고정된다. 이같은 고정방식은 전술된 방식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조립 및 해제방식에 의하면, 먼저 조립시 작업자는 고정볼트(61)를 이용하여 스위치유닛(60)을 고정플레이트(50)에 고정시킨상태에서, 조작부(40)의 고정부(43)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44)를 고정플레이트(50)의 고정구멍(54)에 수평상태로 정위치 시킨상태에서 상기 체결부(44)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45)가 상기 고정구멍(54)에 형성된 융기(55)에 외삽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50)에 대해 조작부(40)를 가압시킨다.
이와같이 조작부(40)가 가압되어 체결부(44)가 고정구멍(54)내로 가압되면 체결부(44)의 각각의 체결홈(46)의 수용부(46a)에 고정구멍(54)내측의 체결편956)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구멍(54)의 쇄정편(57)이 상기 체결부(44)의 쇄정홈(47)에 삽입된다.
이후, 조작부(40)가 고정플레이트(50)에 완전가압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홈(46)에 수용된 체결편(56)이 수용부(46a)로부터 체결부(46b)로 이동되어 고정되며, 또한 상기 쇄정홈(47)에 삽입된 쇄정편(57)이 그 쇄정홈(47)의 일측으로부터 중앙에 형성된 쇄정돌기(47a)를 타고넘어 쇄정홈(47)의 타측에 쇄정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50)에 대한 조작부(40)의 결합 및 조립이 완료된다.
역으로, 고정플레이트(50)에서 조작부(40)를 해제 또는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조작부(40)를 쇄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수평상태로 잡아당기면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거 및 분해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에 의하면, 조작부가 플레이트에 대해 수평상태로 삽입된후 작은 범위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 또는 분해됨으로써 그 조립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다.
특히, 고정플레이트를 조작부로부터 탈거시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음은 물론 별도의 체결편 및 해제편이 필요없어 부품의 변형 및 파열이 방지됨은 물론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한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4)

  1. 버튼(41), 상기 버튼(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1a), 상기 버튼(41)이 왕복가능하게 삽설되며 나선이 형성된 고정부(43)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42), 및 상기 하우징(42)의 고정부(43)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개구부(45), 다수의 체결홈(46) 및 쇄정홈(47)이 절취형성된 체결부(44)를 구비한 조작부(40); 다수의 고정구멍(51), 조인트플레이트(53), 상기 조작부(40)의 체결구멍(44)이 체결고정되는 고정구멍(54), 상기 고정구멍(54)의 내측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4)의 개구부(45)에 삽입되는 융기(55), 상기 고정구멍(54)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4)의 체결홈(56)에 삽입체결되는 다수의 체결편(56), 및 상기 체결부(44)의 쇄정홈(47)에 삽입쇄정되는 쇄정편(57)이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51)를 포함하는 고정플레이트(5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50)의 조인트플레이트(57)에 고정볼트(61)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스위치유닛(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0)의 체결홈(46)은 상기 고정플레이트(50)의 체결편(56)이 삽입되는 수용부(46a) 및 상기 수용부(46a)에 대해 횡으로 연통되며 조작부(40)의 회전시 상기 체결편(56)이 이동되어 고정되는 체결부(4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0)의 쇄정홈(47)에는, 상기 조작부(40)를 고정플레이트(50)에 대해 회전시킬 때 상기 고정플레이트(50)의 쇄정편(57)이 승월되어 고정되는 쇄정돌기(47a)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50)의 고정구멍(54)에는 테이퍼진 개구부(5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
KR2019990016364U 1997-09-20 1999-08-10 스위치 KR20016763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223U KR19990013027U (ko) 1997-09-20 1997-09-20 스위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223U Division KR19990013027U (ko) 1997-09-20 1997-09-20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90U KR19990040490U (ko) 1999-11-25
KR200167638Y1 true KR200167638Y1 (ko) 2000-02-15

Family

ID=195105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223U KR19990013027U (ko) 1997-09-20 1997-09-20 스위치
KR2019990016364U KR200167638Y1 (ko) 1997-09-20 1999-08-10 스위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223U KR19990013027U (ko) 1997-09-20 1997-09-20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1302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5046A (zh) * 2018-02-08 2018-06-12 上海友邦工业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按钮头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027U (ko) 1999-04-15
KR19990040490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518A (en) Door hinge fix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5361925A (en) Terminal box
US6988863B2 (en) Fastener for connecting and spacing parts
US20030097912A1 (en) Adaptor device for a wrench
KR200167638Y1 (ko) 스위치
EP1715233B1 (en) Valve-actuator connection plate
EP0708994A1 (en) INDUSTRIAL ELECTRICAL PLUG AND COUPLING WITH SIMPLIFIED ASSEMBLY
KR200167639Y1 (ko) 스위치
KR200278873Y1 (ko)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정수기
US5564681A (en) Work station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vise
KR200142619Y1 (ko) 케이블 보호용 지지간
KR970002230Y1 (ko) 배터리팩 착탈장치
KR970703227A (ko) 블레이드 교환식 가위(replaceable blade type scissors)
KR0128979Y1 (ko)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SU1685700A1 (ru) Ручной инструмент дл монтажа и демонтажа пружинных стопорных колец
KR0131168Y1 (ko) 배기파이프 행거용 고정장치
KR200146691Y1 (ko) 도어용 힌지장치
JP3789182B2 (ja) スナップフィット係合構造
KR200152565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0133884Y1 (ko) 결합장치
JP4084878B2 (ja) 盤面ユニット
KR200162354Y1 (ko) 스위치 결합장치
KR19980061785U (ko) 다용도 스패너
KR200229247Y1 (ko) 음향기기용 케이스의 조립체결장치
KR19990018791A (ko) 박스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