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30Y1 - 배터리팩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30Y1
KR970002230Y1 KR2019930010831U KR930010831U KR970002230Y1 KR 970002230 Y1 KR970002230 Y1 KR 970002230Y1 KR 2019930010831 U KR2019930010831 U KR 2019930010831U KR 930010831 U KR930010831 U KR 930010831U KR 970002230 Y1 KR970002230 Y1 KR 970002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battery pack
accommodating part
forming surface
par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256U (ko
Inventor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0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30Y1/ko
Publication of KR950002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배터리팩 착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조립도.
제2도는 제1도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채용된 보조판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수납부형성면
12 : 수납부 20 : 배터리팩
21 : 착탈면 22 : 착탈돌기
30 : 착탈부재 31 : 제1다리부
32 : 제2다리부 35 : 착탈구멍
40 : 보조판 50 : 접촉스프링
본 고안은 배터리팩(BATTERY PACK)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몸체와 배터리팩간의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접촉부위의 방수효과가 뛰어난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분야에서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 팜탑(palm top) 컴퓨터 등의 휴대용 컴퓨터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중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중형 제품에서는 나사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을 착탈하거나 스냅 타입의 래치(latch)를 이용하여 착탈하고 있지만, 팜탑 컴퓨터등과 같은 소형 제품에서는 소형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착탈방식이 어려워 배터리팩을 제품 본체에 내장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배터리팩을 본체내에 내장하는 소형 컴퓨터는 배터리 충전을 하여야 할 경우 본체를 분해시켜야 하므로 분해 조립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형 컴퓨터에서도 배터리팩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착탈시에 분해조립성이 양호한 배터리팩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수효과가 뛰어난 배터리팩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팩 착탈장치는, 배터리팩 수납부 형성면과 이 수납부 형성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배터리팩 수납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결합상태에서 상기 수납부 형성면에 밀착 대향되는 착탈면을 구비하는 배터리팩과, 상기 수납부의 일단에 마련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이에 걸리도록 상기 배터리팩에 마련된 걸림홈,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 수납부 형성면과 착탈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상기 몸체에 착탈가능케 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배터리팩의 착탈면에 복수의 착탈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 형성면에 부착되는 판상의 제1다리부와, 상기 제1다리부에 대향 되며 상기 착탈돌기가 끼워 삽입되는 착탈구멍이 형성된 판상의 제2다리부와,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를 연결하는 중심부를 갖춘 탄성재 착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 형성면에는 상기 착탈부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을 마련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착탈부재를 구비한 착탈수단에 의해 몸체와 배터리팩의 착탈을 위한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착탈장치는, 상기 몸체내에서 상기 수납부 형성면을 가지는 수납부 형성측벽의 내측에 밀착되는 신축재 보조판과, 상기 보조판 및 수납부 형성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팩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축스프링,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의 착탈면에 형성되는 접축스프링의 접속홈을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접촉스프링을 그 내부가 고무재로 충진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배터리팩 내부 및 몸체내부로 물이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팩 착탈장치가 조립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제2도에는 분해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팩 착탈장치는, 몸체(10)와 배터리팩(20)과 이들을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부재(30)로 대별된다.
몸체(10)를 이루는 면 중의 하나는 배터리팩 수납부형성면(11)이 되고, 이 수납부 형성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터리팩 수압부(12)가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수납부는 이에 수납되는 배터리팩의 형상과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배터리팩(20)에는 결합상태에서 상기 수납부 형성면(11)에 대향되어 밀착되는 착탈면(21)을 구비하고, 이 착탈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착탈부재의 착탈을 위한 착탈돌기(22)가 마련된다.
착탈부재(30)는 그 단면이 U형상이며 탄성재로 만들어 진다.
착탈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납부 형성면(11)과 착탈면(21)이 밀착 접촉되기 위해서는 이들 두면중 어느 하나에 착탈부재 안착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착탈부재를 사용하였고, 수납부 형성면(11)에 이 면으로부터 인입되어 이들 착탈부재가 안착되도록 착탈부재 안착홈(12)을 마련하였다.
착탈부재(30)는 판상의 제1다리부(31)와 이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또 다른 판상의 제2다리부(32)와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를 연결하는 만곡된 중심부(33)를 구비한다. 제1다리부(31)는 수납부 형성면의 착탈부재 안착홈(12)에 보울트(34)로 결합되어 고정상태이며(제3도 참조), 제2다리부(32)는 자유상태이다. 제2다리부(32)에는 착탈돌기가 출입하도록 착탈구멍(3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의 외측 단부에는 걸림턱(13)을 마련하고, 배터리팩에는 그 착탈면과 반대되는 면에 걸림홈(23)을 형성하여 걸림턱이 이 걸림홈에 걸리게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내부에는, 상기 수납부 형성면을 가지는 수납부 형성측벽의 내측에 밀착되는 신축재, 예를들면 고무재로 된 보조판(40)이 마련된다. 배터리의 에너지를 몸체측을 전달하기 위한 접촉스프링(50)이 상기 보조판(40) 및 수납부 형성측벽(1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팩의 착탈면에는 이 접촉스프링이 접속되도록 접촉스프링 접속홈(24)이 마련된다. 이때 접촉스프링은 본 고안의 특징적 요소의 하나로서 그 내부를 고무재로 충진시킨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한다. 즉 고무재보조판에 압축코일스프링은 억지 끼워맞춤 되고, 압축코일스프링 자체도 그 내부가 고무재로 충진되므로 물이 접촉스프링을 통해서 몸체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제5도는 보조판(40)에 접촉스프링(50)이 억지 끼워 맞춤되어 있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착탈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팩(20)을 몸체(10)에 조립시키기 전에 착탈부재(30)는 그 제1다리부(31)가 몸체에 형성된 착탈부재 안착홈(12)의 일면에 보울트로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배터리팩을 몸체에 조립시키기 위해서 먼저 배터리팩의 걸림홈(23)에 배터리팩 수납부의 걸림턱(23)이 걸리게하여 배터리팩을 도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시켜 배터리팩의 착탈돌기(22)가 착탈부재 제2다리부의 착탈구멍(35)에 끼워지게 한다. 착탈부재(30)는 판상의 탄성부재로 만들어지고 그 단면이 U형상이므로 적당한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배터리팩은 착탈부재의 이러한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몸체에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무재 보조판(40)에 의해 억지끼워맞춤된 접촉스프링(50)은 그 내부가 고무재로 충진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적절하게 압축되고 인장되어 배터리팩의 접속홈(24)에 끼워지게 된다. 다음에 배터리 충전 등을 위해 몸체로부터 배터리팩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착탈부재의 제2다리부(32)를 손이나 기타 도구룰 이용하여 약간 당겨 배터리팩의 착탈돌기(22)로부터 제2다리부(32)가 빠져 나오게 한 후 도면상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면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팩 착탈장치는 몸체의 일측에 배터리팩 설치홈을 마련하고 배터리팩과 몸체 사이에 판상이고 그 단면이 U형인 탄성재 착탈부재를 개재하여 배터리팩과 몸체를 결합시킴으로써 그 조립성이 양호하며, 고무재 보조판을 이용하여 이에 억지끼워 맞춤된 접촉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을 채용하되 그 내부를 고무재등으로 충진시킴으로써 접촉스프링부위의 방수가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배터리팩 수납부 형성면과 이 수납부 형성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배터리팩 수납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수납부 형성면에 밀착 대향되는 착탈면을 구비하는 배터리팩을 구비하여 되는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팩에는 상기 걸림턱이 이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팩 수납부 형성면과 착탈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상기 몸체에 착탈가능케 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배터리팩의 착탈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돌기와, 상기 수납부 형성면에 부착되는 판상의 제2다리부와, 상기 제1다리부에 대향 되며 상기 착탈돌기가 끼워 삽입되는 착탈구멍이 형성된 판상의 제2다리부와,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를 연결하는 중심부를 갖춘 탄성재 착탈부재와, 상기 수납부 형성면에 마련되는 상기 착탈부재 안착홈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착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내에서 상기 수납부 형성면을 가지는 수납부 형성측벽의 내측에 밀착되는 신축재 보조판과, 상기 보조판 및 수납부 형성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팩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스프링,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의 착탈면에 형성되는 접촉스프링의 접촉홈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접촉스프링은 그 내부가 고무재로 충진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이를 통해 물이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19930010831U 1993-06-18 1993-06-18 배터리팩 착탈장치 KR970002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831U KR970002230Y1 (ko) 1993-06-18 1993-06-18 배터리팩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831U KR970002230Y1 (ko) 1993-06-18 1993-06-18 배터리팩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56U KR950002256U (ko) 1995-01-04
KR970002230Y1 true KR970002230Y1 (ko) 1997-03-20

Family

ID=1935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831U KR970002230Y1 (ko) 1993-06-18 1993-06-18 배터리팩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808A (ko) * 2013-11-21 2015-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78B1 (ko) 2008-04-17 2008-11-27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반도체 센서의 냉각 및 성에 방지 효과가 우수한 방사선검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808A (ko) * 2013-11-21 2015-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56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5903C (zh) 电池盖卡锁结构
EP0685894B1 (en) A splashproof electronic device
US20100092847A1 (en) Battery cover latch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251408B2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970002230Y1 (ko) 배터리팩 착탈장치
US20110095547A1 (en) Battery cover latching mechanism
JP4369914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へのコンポーネントの取付け装置
US6002591A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mounting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CN211208525U (zh) 电池固定装置及电子设备
CN211459081U (zh) 快拆模组、表带及腕戴设备
US8025995B2 (en) Battery fastening assembly
US5867090A (en) Diaphragm buzzer
US6477356B1 (en) Sounding-body holding device
JPS63302650A (ja) ハンドセット筐体構造
CN112432111A (zh) 电池快拆装置及灯具
US20050032405A1 (en) Power cable plug assembly having replaceable plug
CN217086768U (zh) 一种电子设备及其电池盒
CN210007042U (zh) 固定机构
US6719584B1 (en) Watertight flexible connector
CN221041408U (zh) 电池装置及成像设备
JP2928188B2 (ja) 電子機器の筐体嵌合構造
CN217037657U (zh) 可挠垫体、机壳组件及通讯装置
JPH01266797A (ja) 電子機器筐体
CN214280139U (zh) 一种电池盒及具有其的智能门锁
CN220753251U (zh) 一种快拆式微动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