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549Y1 -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 Google Patents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549Y1
KR200167549Y1 KR2019950028862U KR19950028862U KR200167549Y1 KR 200167549 Y1 KR200167549 Y1 KR 200167549Y1 KR 2019950028862 U KR2019950028862 U KR 2019950028862U KR 19950028862 U KR19950028862 U KR 19950028862U KR 200167549 Y1 KR200167549 Y1 KR 200167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dam
width
roll
edge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426U (ko
Inventor
정형태
문희경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28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549Y1/ko
Publication of KR970016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융 금속을 용융상태에서 쌍롤과의 접촉을 통해 급속 응고시켜 박판을 얻는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에서 폭 가변장치를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폭을 갖는 주편을 동일 롤에서 동시에 두개 이상 생산해 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두개의 롤(1)이 상호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롤(1)의 상부에는 노즐(3)을 구비시켜서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롤(1)의 사이에는 폭가변장치(8)를 설치하되 중앙에는 에지댐 호올더(5)를 구비시켰고 이 에지댐호올더(5)의 양측면으로는 에지댐고정구(4)와 에지댐(2)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였으며 상기 에지댐호올더(5)의 상면과 에지댐고정구(4)의 측면에는 각각의 유압관(10)(10a)(10b)을 유압콘트롤장치(12)와 연결설치 하여서된 것이다.

Description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폭 가변장치를 이용한 박판 주조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폭 가변장치의 발췌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와 다른 방식의 폭 가변장치에 대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롤 2 : 에지댐
3 : 노즐 4 : 에지댐 고정구
5 : 에지댐 홀더 6 : 유압실린더
7 : 주편 8 : 폭 가변장치
9 : 지지대 10,10a,10b,10c : 유압관
11 : 브라케트 12 : 유압콘트롤장치
C-C′ : 롤의 축방향
본 고안은 용융 금속을 용융상태에서 쌍롤과의 접촉을 통해 급속 응고시켜 박판을 얻는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에서 폭 가변장치를 도입함으로서 다양한 폭을 갖는 주편을 동일 롤에서 동시에 두개 이상 생산해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쌍롤형 박판주조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강을 노즐(3)을 통해 롤(1) 사이로 공급하여 한쌍의 롤(1)과 에지댐(2) 사이에 용강풀이 형성되게 한 다음, 롤(1)을 회전시키면서 롤(1)과 용강의 접촉을 통해 열이 롤(1)의 중심쪽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므로써 용강을 급속 응고시켜 주편(6)을 생산해 내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생산된 주편의 폭 조절방법은 쌍롤형 박판주조 장치에서 필요에 따라 에지댐(2)을 롤(1)의 축방향 C-C′으로 이동시키면서 수요자가 원하는 폭의 주편(7)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일본 특개 소 60-118355).
따라서, 광폭의 주편(7)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쌍롤(1)형 박판주조 장치에서는 필요에 따라 롤(1) 폭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수요자가 원하는 폭의 주편(7)을 생산하도록 하는 종래의 방식은 경제성 면에서 상당한 낭비를 초래하였다.
예를 들면 1500mm 광폭을 생산해 낼 수 있는 박판주조 장치에서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300mm 폭의 주편(7)을 생산해 낸다고 할 때, 결국 1200mm는 사용되지 않은 채로 시간 및 자금의 낭비만 초래한 채로 롤이 공회전하는 것과 같게 된다.
따라서, 경제성을 극대화 시키면서 기존의 방식에서와 동일한 주편(7)을 생산해 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제시된 본 고안을 제2도에 나타내었다.
본 고안은 롤의 양 에지 사이에서 롤의 축방향 어느 위치에나 설치될 수 있는 폭 가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광폭의 롤에서 다양한 폭의 주편을 두개 이상 동시에 생산해 낼 수 있도록 한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주조장치는, 양측에 에지댐(2)이 설치된 한쌍의 롤(1)이 상호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에지댐(2) 사이에 용강을 공급하는 노즐(3)을 구비하고 있는 통상의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2) 사이에 폭 가변장치(8)를 설치하되, 상기 폭 가변장치(8)는, 중앙의 에지댐 홀더(5)의 양측에 에지댐 고정구(4)와 에지댐(2)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폭 가변장치(8)의 상면 및 양측면에 각각 유압실린더(6)를 설치하고, 이들 각각의 유압실린더(6)를 각각의 유압관(10)(10a)(10b)을 통하여 유압콘트롤장치(12)와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폭 가변장치(8)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양측에 에지댐(2)이 설치된 한 쌍의 롤(1)이 상호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롤(1)의 상부에는 용강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3)을 구비하고 있는 통상의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양측의 에지댐(2)의 사이에 폭 가변장치(8)를 설치하되, 중앙에는 에지댐 홀더(5)를 구비시켰고, 이 에지댐 홀더(5)의 양측면으로는 에지댐 고정구(4)와 에지댐(2)을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상기 에지댐 홀더(5)의 상면과 에지댐 고정구(4)의 양측면에는 각각 유압실린더(6)를 설치하고, 이들 유압실린더(6)를 각각의 유압관(10)(10a)(10b)을 통하여 유압콘트롤장치(12)와 연결 설치한다.
폭 가변장치(8)는 롤(1)의 중심축(C-C′)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원하는 주편의 폭을 얻기 위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물론 광폭의 주편(7)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언제라도 즉시 상기 폭 가변장치(8)를 제거할 수 있다.
이 폭 가변장치(8)의 상세도는 제3도와 같다. 에지댐 홀더(5)에 에지댐 고정구(4)를 고정시킨 후 에지댐(2)을 에지댐 고정구(4)에 고정시킨다.
에지댐 홀더(5)는 단순히 유압의 지지 및 에지댐 고정구(4)를 부착시키는 곳이므로 형상이 반드시 롤(1) 표면의 곡면과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롤(1)과 접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에지댐(2)의 곡률 반경은 반드시 롤(1)의 곡률 반경과 같도록 제조하여 주조중 에지댐(2)과 롤(1) 표면 사이로 용강의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폭 가변장치(8)를 설치하였을 때 용강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개의 노즐(3)을 통해 한쌍의 롤(1)의 사이로 공급된다. 용강을 공급하는 노즐(3)이 두개라 해서 노즐(3)로 용강을 공급하는 턴디쉬가 2개일 필요는 없다. 한개의 턴디쉬에 두개의 노즐(3)을 설치하는 방법도 있으며, 턴디쉬에 한개의 주 공급 노즐을 설치한 후 이 주 공급 노즐에서 두개의 노즐로 용강을 분산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조중 폭 가변장치(8)를 롤(1)에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유압을 이용한다. 즉, 에지댐 홀더(5)의 윗면에 유압실린더(6)를 설치하여 항상 일정한 유압이 주조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며, 양측의 에지댐 고정구(4)의 측면에 역시 유압실린더(6)를 설치하여 폭 가변장치(8)가 주조중 롤(1)의 중심축 방향(C-C′)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때 특히 폭 가변장치(8)의 옆면에서 작용하는 유압은 양쪽면에서 작용하는 힘이 항상 동압이 되도록 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6)는 지지대(9)를 통해 브라케트(11)에 고정되도록 하고, 일측 끝은 유압콘트롤장치(12)에 연결한다.
또, 한편으로는 상기 폭 가변장치(8)를 에지댐 고정구(4) 및 에지댐(2)이 순차적으로 부착된 두개의 에지댐 홀더(5)를 마주보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에지댐 홀더(5)의 상면 및 내측면에 각각 유압실린더(6)를 설치하고, 이들을 각각의 유압관(10)(10a)(10b)(10c)을 통하여 유압콘트롤장치(12)에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에지댐 홀더(5)를 처음부터 두개로 제작하여 에지댐(2)을 각각 독립적인 에지댐 홀더(5)에 부착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며, 제4도에 이에 대한 개요도를 나타내었다.
에지댐(2)이 부착된 두개의 에지댐 홀더(5)를 일정한 폭(W)으로 분리시킨 후, 유압실린더(6)를 각각의 에지댐 홀더(5)의 윗면과 내측면에 설치한 경우이다. 제4도는 폭 가변장치(8)와 롤(1)과의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시켜줌으로써 롤(1)과 폭 가변장치(8)의 접촉에서 올 수 있는 단점, 예를 들면 롤(1)과 폭 가변장치(8)의 접촉에서 오는 롤(1)의 손상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차 주조에서는 폭이 다른 두개의 주편(예를 들어 W1, W2)을 생산한 후, 이후의 2차 주조에서는 상기 두개의 주편 중의 하나는 폭이 동일하고 다른 하나는 폭이 다른 두개의 주편(예를 들어 W1과 W3 또는 W2와 W3)을 생산하고자 할 때, 제3도에 나타낸 하나의 에지댐 홀더(5)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폭 가변장치(8)를 재 설치하여야 하지만, 제4도에 나타낸 두개의 에지대매 홀더(5)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지댐 홀더(5)의 위치만 바꾸어 주면 되므로 더 편리하고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쌍롤식 연속 박판 주조시 롤의 양 에지 사이에서 롤의 축방향(C-C′)의 어느 위치에나 설치될 수 있는 폭 가변장치(8)를 설치함으로써 광폭의 롤에서 다양한 폭을 갖는 주편(7)을 두개 이상 동시에 생산해 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따라서 광폭으로 생산된 주편을 소폭으로 줄이기 위해 새로운 절삭 공정이 필요없게 되며, 또한 한정된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측에 에지댐(2)이 설치된 한쌍의 롤(1)이 상호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에지댐(2) 사이에 용강을 공급하는 노즐(3)을 구비하고 있는 통상의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2) 사이에 폭 가변장치(8)를 설치하되, 상기 폭 가변장치(8)는, 중앙의 에지댐 홀더(5)의 양측에 에지댐 고정구(4)와 에지댐(2)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폭 가변장치(8)의 상면 및 양측면에 각각 유압실린더(6)를 설치하고, 이들 각각의 유압실린더(6)를 각각의 유압관(10)(10a)(10b)을 통하여 유압콘트롤장치(12)와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KR2019950028862U 1995-10-14 1995-10-14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KR200167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62U KR200167549Y1 (ko) 1995-10-14 1995-10-14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62U KR200167549Y1 (ko) 1995-10-14 1995-10-14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26U KR970016426U (ko) 1997-05-23
KR200167549Y1 true KR200167549Y1 (ko) 2000-03-02

Family

ID=1942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862U KR200167549Y1 (ko) 1995-10-14 1995-10-14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5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26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7549Y1 (ko) 폭 가변장치가 구비된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
JP4913979B2 (ja) ストリップ鋳造
US8561671B2 (en) Method and twin roll caster for the production of strip cast from a molten metal
JPH04505288A (ja) ロータリーストリップ鋳造における端部抑え装置
US20030164229A1 (en) Strip casting
US5035278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 strip
JPH0716767B2 (ja) 金属薄帯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KR20000057923A (ko) 강 스트립 연속주조 방법
KR100333076B1 (ko) 쌍롤형박판주조장치의에지댐마모방지방법
JP2000000641A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の双ロ―ル鋳造装置
KR100312125B1 (ko) 쌍롤형 박판주조 장치에서의 주조중 에지댐 교환장치
JPH11151556A (ja) 2本のロール間で金属ストリップを連続鋳造する設備の鋳造空間を閉じるための側壁と、この側壁を備えた鋳造設備
AU2001265683B2 (en) Strip casting
JP2007283357A (ja) 連続鋳造装置
JPH0638604Y2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鋳片支持冷却装置
JPS633703Y2 (ko)
KR200159536Y1 (ko) 쌍롤형 박판주조장치의 다수의 스트립 주편 제조장치
JPH0952157A (ja) 連続鋳造用のロール装置
JPS61283443A (ja) ベルトキヤスタ−のベルト冷却装置
JPS6268661A (ja) 薄鋳片連続鋳造機
JPS61283442A (ja) ベルトキャスタ−のベルト冷却装置
JPS6035219B2 (ja) 連続鋳造法
SU1400772A1 (ru) Направл 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зоны вторичного охлаждени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
JP2004500243A (ja) ストランド厚さの変更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122637A (ja) ツインロール型薄板連続鋳造装置における溶鋼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