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403Y1 - 다용도소품보관함 - Google Patents

다용도소품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403Y1
KR200167403Y1 KR2019990013924U KR19990013924U KR200167403Y1 KR 200167403 Y1 KR200167403 Y1 KR 200167403Y1 KR 2019990013924 U KR2019990013924 U KR 2019990013924U KR 19990013924 U KR19990013924 U KR 19990013924U KR 200167403 Y1 KR200167403 Y1 KR 200167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containing plate
fixed
fold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이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석 filed Critical 이재석
Priority to KR2019990013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11/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of drawer-and-she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소품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크기가 작은 장식소품이나 문구용품 및 기타 선물용품 등을 편리하게 수납보관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보관물품의 외적미감도 높힐 수 있도록, 중앙의 중앙유지부(11a)를 중심으로 각각 수평연장되어 직각절곡된 양쪽의 회전이동부(12a)(14a)(13a)(15a)가 서로 대칭되게 내향접힘되는 함유지판(10a)과, 상기 함유지판(10a) 양쪽의 회전이동부(12a)(14a)(13a) (15a) 상부에 부착고정되어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양쪽의 회전수납함(24a)(25a)과, 상기 함유지판(10a) 중앙의 중앙유지부(11a) 하부에 부착고정되어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고정수납함(20a)과, 상기 함유지판(10a) 접힘시에 끼움시킬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덮개(30a)를 포함하여 이루어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소품보관함{A small piece storage box}
본 고안은 소품을 편리하게 보관정리할 수 있는 다용도 소품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작은 장식소품이나 문구용품 및 기타 선물용품 등을 편리하게 수납보관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보관물품의 장식효과도 높힐 수 있도록 편의성 및 장식미를 갖는 다용도 소품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은 소품을 수납보관하는 소품보관함은 통상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육면체 형태의 소품보관함또는 물품정리함은 보관되는 물품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는 보호기능은 충족될 수 있으나, 여러종류의 물품을 한꺼번에 수납시킬 경우에는 필요시 해당 물품을 수월하게 구별하여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여러종류의 물품을 분리수납하여 편리하게 정리보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서랍형태의 물품정리함이 소개되고는 있으나, 여러종류의 물품을 분리보관할수 있는 편의성은 개선되고는 있으나, 필요시 해당 보관물품을 외부노출시켜 해당물품의 선전효과 및 장식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장식기능은 고려되지 않아 소품보관의 편의성 및 장식미를 동시에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기가 작은 장식소품이나 문구용품 및 기타 선물용품 등을 편리하게 수납보관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보관물품의 장식효과도 높힐 수 있도록 편의성 및 장식미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있는 다용도 소품보관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덮개가 끼움된 접힘상태도.
도 1b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덮개가 분리된 접힘상태도.
도 1c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소품보관함 반펼침상태도.
도 1d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소품보관함 분리상태도.
도 1e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덮개가 분리된 완전펼침상태도.
도 2a는 본 고안 제2 실시예의 덮개가 끼움된 접힘상태도.
도 2b는 본 고안 제2 실시예의 덮개가 분리된 접힘상태도.
도 2c는 본 고안 제2 실시예의 덮개가 분리된 완전펼침상태도.
도 3a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의 덮개가 끼움된 접힘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의 덮개가 분리된 접힘상태도.
도 3c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의 덮개가 분리된 완전펼침상태도.
도 4a는 본 고안 제4 실시예의 덮개가 끼움된 접힘상태도.
도 4b는 본 고안 제4 실시예의 덮개가 분리된 접힘상태도.
도 4c는 본 고안 제4 실시예의 덮개가 분리된 완전펼침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b : 함유지판
11a,11b : 중앙유지부
12a,13a,14a,15a,12b,13b,14b,15b : 회전이동부
20a,20b : 고정수납함
21a,21b : 손잡이구멍
22a,22b : 보조서랍
23a,23b : 서랍격벽
24a,24b,25a,25b : 회전수납함
30a,30b : 덮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용도 소품보관함은, 중앙의 중앙유지부를 중심으로 각각 수평연장되어 직각절곡된 양쪽의 회전이동부가 서로 대칭되게 내향접힘되는 함유지판과, 상기 함유지판 양쪽의 회전이동부 상부에 부착고정되어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양쪽의 회전수납함과, 상기 함유지판 중앙의 중앙유지부 하부에 부착고정되어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고정수납함과, 상기 함유지판 접힘시에 끼움시킬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고정수납함은 여러종류의 소품을 분리수납시킬 수 있도록 개방된정면을 통해 다수의 보조서랍이 인입출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수평연장되어 직각절곡된 양쪽의 회전이동부가 서로 대칭되게 내향접힘되는 함유지판과, 상기 함유지판 양쪽의 회전이동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부착고정되어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양쪽의 회전수납함과, 상기함유지판 접힘시에 끼움시킬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한쪽의 고정수납함은 여러종류의 소품을 분리수납시킬 수 있도록개방된 정면을 통해 다수의 보조서랍이 인입출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다용도 소품보관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도면에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고안의 다용도 소품보관함에 대한 제1 실시예로써, 도 1a는 덮개(30a)가 끼움된 소품보관함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덮개(30a)가 분리된 소품보관함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c는 소품보관함의 반펼침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d는 소품보관함의 완전펼침된 분리상태를 도시한것이며, 도 1e는 덮개(30a)가 분리된 소품보관함의 완전펼침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다용도 소품보관함에 제 2실시예로써, 제 1 실시예의 서랍형태와는 달리 소품보관함의 몸체외부구조를 형성하는 함유지판(10a) 중앙하부의 고정수납함(20a)이 양쪽의 회전이동부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박스형태로 구조단순회된 경우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양쪽의 회전수납함(24a)(25a)과 중앙의 고정수납함(20a)이 완전펼침된 상태에서 해당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이들 중앙의 고정수납함(20a)과 양쪽의 상기 회전수납함(24a)(25a)을 부착고정시켜 형태유지시키는 함유지판(10a)이 5관절 형태로써 중앙의 중앙유지부(11a)를 중심으로 각각 수평연장되어 직각절곡된 양쪽의 회전이동부(12a)(14a)(13a)(15a)가 서로 대칭되게 내향접힘되는 구조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유지판(10a) 양쪽의 회전이동부(12a)(14a)(13a)(15a) 상부에 부착고정되는 회전수납함(24a)(25a)은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아울러 상기 함유지판(10a) 중앙의 중앙유지부(11a) 하부에 부착고정되는 고정수납함(20a)은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한 제 1실시예와 같이 여러종류의 소품을 분리수납시킬 수 있도록 정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중간에 일정간격으로 서랍격벽(23a)이 형성되어 다수의 보조서랍(22a)이 인입출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의 보조서랍(22a)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수 있도록 손잡이구멍(21a)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납함(20a)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제 2실시예와 같이 소품을 간단히 수납시킬 수 있도록 양쪽의 회전수납함(24a)(25a)처럼 상면이 개방된 단순 박스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유지판(10a) 접힘시에 끼움되어 양쪽의 회전수납함(24a) (24a)을 덮을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별도의 덮개(30a)가 구성된다.
한편, 양쪽의 회전수납함(24a)(25a)은 함유지판(10a) 접힘시에 중앙의 고정수납함(20a) 위에 놓여지면서 상기 고정수납함(20a)과 동일크기로 포개어질수 있도록 그 크기가 반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고정수납함(20a)은 상기 회전수납함(24a)(25a)의 수직높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c와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의 다용도 소품보관함에 대한 제3 실시예와 제 4실시예로써, 도 3a와 도 4a는 덮개(30b)가 끼움된 소품보관함의접힘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와 도 4b는 덮개(30b)가 분리된 소품보관함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c와 도 4c는 덮개(30b)가 분리된 소품보관함의 완전펼침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서로 내향접힘되는 양쪽의 회전수납함(24b)(20b)이완전펼침된 상태에서 해당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양쪽의 상기 회전수납함(24b) (20b)을 부착고정시켜 형태유지시키는 함유지판(10b)이 4관절 형태로써, 서로 내향접힘되면서 서로 수평연장되어 직각절곡된 양쪽의 회전이동부(12b)(14b)(13b)(14b)가 서로 대칭되게 내향접힘되는 구조로써 형성되며, 이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는 달리 한쪽의 회전이동부(24b)(20b)가 생략된 좀더 단순화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함유지판(10b) 양쪽의 회전이동부(12b)(14b)(13b)(15b) 상부와하부에 각각 부착고정되는 회전수납함(24b)(20b)은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도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제 4실시예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한쪽의 회전수납함(24b)(20b)이 여러종류의 소품을 분리수납시킬 수 있도록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제 3실시예와 같이 정면이 개방되어 중간에 일정간격으로 서랍격벽(23b)이 형성된 서랍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박스형태의 회전수납함(20b)에 인입출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보조서랍(22b)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수 있도록 손잡이구멍(21b)이 관통형성된다.
한편, 양쪽의 회전수납함(24b)(20b)은 직각회전되어 접힘시에 서로 동일크기로 포개어질수 있도록 그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아울러 아래쪽의 회전수납함(20b)이 위쪽의 회전수납함(24b)의 수직높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함유지판(10b) 접힘시에 끼움되어 위쪽의 회전수납함(24b)을 덮을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별도의 덮개(30b)가 구성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다용도 소품보관함은, 덮개(30a)를 분리시킨상태에서 중앙의 고정수납함(20a)을 중심으로 양쪽의 회전수납함(24a)(25a)을 펼쳐해당 물품을 편리하게 수납보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소품보관함을 펼친상태에서상기 고정수납함(20a) 및 회전수납함(24a)(25a)에 수납시킨 보관해당 물품을 외부노출시켜 미려한 소품보관함과 함께 보관물품의 장식효과를 높힐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소품보관함은 제작이 용이하면서 일정강도가 유지되는 골판지로 형성되어 외부표면을 다양한 색상 및 그림의 코팅지로 코팅처리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수지재질로써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은본 고안의 기술범주 내에서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범주 내의 실시가능한 모든 실시예와 실시예의 수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소품보관함에 의하면, 크기가 작은장식소품이나 문구용품 및 기타 선물용품 등을 편리하게 수납보관시킬 수 있으면서동시에 보관물품의 장식효과도 높힐 수 있어, 물품보관 및 포장기능은 물론 장식기능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4)

  1. 중앙의 중앙유지부(11a)를 중심으로 각각 수평연장되어 직각절곡된 양쪽의 회전이동부(12a)(14a)(13a)(15a)가 서로 대칭되게 내향접힘되는 함유지판(10a)과,상기 함유지판(10a) 양쪽의 회전이동부(12a)(14a)(13a)(15a) 상부에 부착고정되어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양쪽의 회전수납함(24a)(25a)과, 상기 함유지판(10a) 중앙의 중앙유지부(11a) 하부에 부착고정되어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고정수납함(20a)과, 상기 함유지판(10a) 접힘시에 끼움시킬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덮개(3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소품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납함(20a)은 여러종류의 소품을 분리수납시킬수 있도록 개방된 정면을 통해 다수의 보조서랍(22a)이 인입출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소품보관함.
  3. 서로 수평연장되어 직각절곡된 양쪽의 회전이동부(12b)(14b)(13b)(14b)가 서로 대칭되게 내향접힘되는 함유지판(10b)과, 상기 함유지판(10b) 양쪽의 회전이동부(12b)(14b)(13b)(15b)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부착고정되어 소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양쪽의 회전수납함(24b)(20b)과, 상기 함유지판(10b) 접힘시에끼움시킬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덮개(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용도 소품보관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고정수납함(20b)은 여러종류의 소품을 분리수납시킬 수 있도록 개방된 정면을 통해 다수의 보조서랍(22b)이 인입출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소품보관함.
KR2019990013924U 1999-07-14 1999-07-14 다용도소품보관함 KR200167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924U KR200167403Y1 (ko) 1999-07-14 1999-07-14 다용도소품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924U KR200167403Y1 (ko) 1999-07-14 1999-07-14 다용도소품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403Y1 true KR200167403Y1 (ko) 2000-02-15

Family

ID=1958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924U KR200167403Y1 (ko) 1999-07-14 1999-07-14 다용도소품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4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05Y1 (ko) 2009-04-16 2009-12-03 김진 다용도 포장박스
KR20180062731A (ko) 2016-12-01 2018-06-11 (주)씨앤비마스터 다용도 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05Y1 (ko) 2009-04-16 2009-12-03 김진 다용도 포장박스
KR20180062731A (ko) 2016-12-01 2018-06-11 (주)씨앤비마스터 다용도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3712A (en) Trading card carrying and display case
US3904003A (en) Combination carrying case and traveling desk
US5193671A (en) Shoe storage box with complementary supporting box that also functions as a shoe storage container and a shoe display container
JP2018535152A (ja) 消費財用のパック
US2316716A (en) Luggage
US1770618A (en) Display box
KR200167403Y1 (ko) 다용도소품보관함
US10765202B2 (en) Foldable locker assembly
US4504000A (en) Sewing box
US1950168A (en) Storage chest
KR20130027131A (ko) 받침대 고정부가 부설된 케익 포장용 상자
KR200169029Y1 (ko) 다용도소품보관함
KR102096712B1 (ko) 포장용 상자
KR200244486Y1 (ko) 다용도 보관함
KR200236863Y1 (ko) 다용도 박스
US1210008A (en) Display device.
KR100961609B1 (ko) 다용도 전통 반닫이
JP3239452U (ja) 商品陳列用ケース
KR200491731Y1 (ko) 포장 및 전시용 박스
KR200180443Y1 (ko) 장식물 진열대
JPS593933Y2 (ja) 包装用箱
KR200257014Y1 (ko) 포장용 상자
KR101277459B1 (ko) 접이식 수납체
JPS6221543Y2 (ko)
KR200367545Y1 (ko) 소형 물품용 종이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