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337Y1 -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337Y1
KR200167337Y1 KR2019990018288U KR19990018288U KR200167337Y1 KR 200167337 Y1 KR200167337 Y1 KR 200167337Y1 KR 2019990018288 U KR2019990018288 U KR 2019990018288U KR 19990018288 U KR19990018288 U KR 19990018288U KR 200167337 Y1 KR200167337 Y1 KR 200167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g
stand
sides
suppor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재
Original Assignee
임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재 filed Critical 임관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3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50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 A63B55/57Bags with tripod or like set-up st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양측과 하측부로는 체결홈(11)이 위치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며, 구형상을 갖는 작동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12)의 전면 양측으로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13)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으로는 접지면(14)이 위치되며, 상기 경사면(13)의 단부로는 지지면(15)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13)의 상부 양측으로는 끼움돌기(16)가 하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판(10)과;
상기 상부지지판(10)의 작동부(12) 양측 경사면(13)에 형성된 끼움돌기(16)와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형의 형상을 갖으며, 몸체 내측으로는 삽입홈(21)이 끼움돌기(16)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몸체 중앙 하부에는 외측으로 체결돌기(22)가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장착홈(23)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 배면 상부로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지지턱(24)이 형성된 회동체(20)와;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하부 저면부에 형성된 장착홈(23)에 끼워지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스탠드(30)와;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하부 외측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2)에 장착되고, 회동체(20)의 개방후 지지력 및 복원력을 제어하며, 몸체 하부로는 지지판(41)이 구비되는 텐션스프링(40)으로 구성되므로, 보다 견고히 골프백(50)을 지면에서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골프백(50)의 이동시 스탠드(30)가 골프백(50)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Golf bag stand}
본 고안은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골프백을 지면에 안정된 상태로 견고히 지지하며, 골프백의 이동시 스탠드의 다리가 골프백의 몸체에 밀착되어 다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백의 몸체 후측에는 사용자가 골프백을 지면에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로 안착시킨 후 골프채를 용이하게 인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지지용 스탠드가 구비된다.
종래,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끼움홈이 형성된 고정대가 구비되고, 몸체 하측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몸체 외측부에는 체결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의 고정대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 장착되며, 몸체 상부로는 텐션스프링이 구비되고, 몸체 하부로는 안착판이 형성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 하부에 형성되며, 몸체에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몸체 상부로는 고정홈이 구비된 하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의 몸체 상부와 하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골프백에 밀착되는 지지대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골프백 지지장치중 미국 특허(제 4,921,192호)에서와 같이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의 구성이 수직상태와 상대적인 예각상태에서 골프백을 지지하여, 골프클럽을 인출하기 쉬운상태로 구성되는 제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미국 특허(제 5,036,974호)에서와 같이 골프백의 스탠드가 지면에서 골프백을 지지하다가 골프백을 이동하기 위하여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모여지면서, 골프백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제안된 제품도 있다.
또한, 미국 특허(제 5,152,483호, 제 5,156,366호, 5,147,089호, 5,154,377호)의 구성역시 골프백을 지면에서 지지하며, 스탠드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품들이다.
따라서,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는 스탠드를 측면방향으로 펼칠 때 텐션스프링에 탄성력에 의해 개방각을 유지하며, 이동시 텐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대가 골프백에 밀착되는 원리로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는 첫째, 비교적 복잡한 기능들로 몸체가 형성 되어지므로 이동시 무게의 하중에 의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의 무게감량을 위해 작동부 등을 과도히 단순화한 결과 견고성이 결여되어, 스탠딩 상태가 불안정 하거나, 스탠드의 다리펴짐의 한계를 유지하지 못해 골프채를 담은 골프백이 자주 넘어지는 폐단이 있다.
셋째, 이동시 골프백을 경사지게 들어 올릴 때 스탠드에 부착된 텐션스프링의 강도에 의해 스탠드의 다리가 골프백의 몸체에 밀착되게 하는 원리이나, 스탠드의 무게와 텐션스프링의 강성비율이 상이하여 스탠드가 쉽게 파손되거나, 절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고 중복된 기능이 많아 가격이 상승되고, 골프백에 지지용 스탠드를 부작할 때에도 조립공수가 많아 골프백 전체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폐단이 있다.
다섯째, 상기 스탠드를 개방각을 제어하는 텐션스프링이 골프백의 외부로 돌설되어 있어, 스탠드의 꼬임현상이 발생하고, 스탠드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 개방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상기 스탠드의 회전작동부분이 폭이 넓고, 스탠드가 부착된 상태에서 스탠드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골프백의 디자인을 용이치 못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의 기능이 단순화 되면서도, 골프백 지지능력이 우수한 제품들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골프백을 지면에 안정된 상태로 견고히 지지하며, 골프백의 이동시 스탠드가 골프백의 몸체에 밀착되어 스탠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프백을 지지하는 스탠드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보다 안정되게 골프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백의 지지상태 및 스탠드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에 의해 골프백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작동부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스탠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의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작동부에 의해 스탠드가 양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상부지지판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작동부 양측에 설치되는 회동체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지지판 11 - 체결홈
12 - 작동부 13 - 경사면
14 - 접지면 15 - 지지면
16 - 끼움돌기 17 - 모서리부
20 - 회동체 21 - 삽입홈
22 - 체결돌기 23 - 장착홈
24 - 지지턱 30 - 스탠드
40 - 텐션스프링 41 - 지지판
50 - 골프백 60 - 탄성제어클립
100 -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양측과 하측부로는 체결홈(11)이 위치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며, 구형상을 갖는 작동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12)의 전면 양측으로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13)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으로는 접지면(14)이 위치되며, 상기 경사면(13)의 단부로는 지지면(15)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13)의 상부 양측으로는 끼움돌기(16)가 하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판(10)과;
상기 상부지지판(10)의 작동부(12) 양측 경사면(13)에 형성된 끼움돌기(16)와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형의 형상을 갖으며, 몸체 내측으로는 삽입홈(21)이 끼움돌기(16)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몸체 중앙 하부에는 외측으로 체결돌기(22)가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장착홈(23)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 배면 상부로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지지턱(24)이 형성된 회동체(20)와;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하부 저면부에 형성된 장착홈(23)에 끼워지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스탠드(30)와;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하부 외측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2)에 장착되고, 회동체(20)의 개방후 지지력 및 복원력을 제어하며, 몸체 하부로는 지지판(41)이 구비되는 텐션스프링(4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100)는 상부지지판(10)의 내측부에 회동체(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13) 및 접지면(14)이 형성되고, 텐션스프링(40)에 의해 회동체(20)의 개방각 및 복원각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히 골프백(50)을 지면에서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골프백(50)의 이동시 스탠드(30)가 골프백(50)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에 의해 골프백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작동부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스탠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의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작동부에 의해 스탠드가 양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상부지지판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중 작동부 양측에 설치된는 회동체의 형상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100)의 상부지지판(10)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양측과 하측부로는 체결홈(11)이 위치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며, 구형상을 갖는 작동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12)의 몸체 양측 및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11)은 골프백(50)에 상부지지판(10)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보다 견고하게 상부지지판(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3점 지지방식으로 형성되어 견고성을 확보하고 조립공정수를 절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판(10)의 몸체 중앙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며, 구형상을 갖는 작동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12)는 후술될 회동체(20)가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골프백(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12)는 회동체(20)가 소정의 회동 주기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형상을 갖으며, 전면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12)가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스탠드(30)를 개방시킨 후 보다 견고하게 골프백(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부(12)의 전면 양측으로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13)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12)의 전면 양측으로 내측면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된 경사면(13)은 회동체(20)가 선택적으로 회동되면서 스탠드(30)가 개방되었을 경우 골프백(50)을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즉, 상기 경사면(13)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경사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동체(20)의 작동시 경사면(13)과 회동체(20)의 몸체가 면접촉이 되면서 보다 견고히 골프백(5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동부(12)의 양측에 경사부를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다른 이유는 상기 경사면(13)에 의해 골프백(50)의 이동시 스탠드(30)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결국, 상기 경사면(13)이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므로, 골프백(50)의 이동시 회동체(20)가 경사면(13)과 밀착되어, 스탠드(30)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12)의 몸체 상부 양측으로는 접지면(14)이 위치된다.
상기 접지면(14)은 회동체(20)의 개방시 지지상태를 안정화 하기 위하여 경사면(13)과 함께 형성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회동체(20)는 개방시 후술될 회동체(20)의 지지턱(24)이 경사면(13)과 접지면(14) 사이의 모서리부(17)에 2중 지지되는 방식으로 견고히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지면(14)과 경사면(13)은 회동체(20)의 개방을 위해 회동될 때 상기 회동체(20)를 가이드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경사면(13)의 단부로는 지지면(15)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면(15)은 회동체(20)의 개방시 회동체(2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접지판의 역활을 하며, 동시에 회동체(20)가 작동부(12)에 개방전의 조립된 상태에서는 스탠드(30)가 더 이상 골프백(50) 방향으로 휘어지지 못하게 하는 역활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12)의 전면 몸체 양측 및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경사면(13)과 접지면(14) 그리고 지지면(15)은 상기 회동체(20)가 선택적으로 회동되면서 골프백(50)을 지지할 경우 보다 견고히 회동체(20)와 밀착되면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체(20)가 개방되는 것을 제어하여 골프백(5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3)의 상부 양측으로는 끼움돌기(16)가 하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16)는 회동체(20)가 작동부(12)의 양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이유는 회동체(20)가 골프백(50)을 지지하는 셋팅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기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판(10)의 작동부(12) 양측 경사면(13)에 형성된 끼움돌기(16)에는 회동체(20)가 위치된다.
상기 회동체(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회동되어, 회동체(20)의 하부에 고정된 스탠드(30)를 개방시켜 골프백(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20)는 작동부(12)와 조립시 동일한 구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의 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내측으로는 삽입홈(21)이 끼움돌기(16)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체(20)는 상부지지판(10)의 작동부(12) 몸체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기(16)에 삽입홈(21)이 끼워지면서 작동부(12)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하부에는 외측으로는 체결돌기(22)가 위치된다.
상기 체결돌기(22)는 후술될 텐션스프링(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저면부에는 장착홈(23)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홈(23)은 스탠드(3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배면 상부로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지지턱(24)이 위치된다.
상기 지지턱(24)의 회동체(20)가 선택적으로 회동되면서 작동부(12)에서 개방될 때 작동부(12)의 경사면(13)과 접지면(14) 그리고, 지지면(15) 선상의 모서리부(17)에 회동체(20)가 걸려져 회동체(20)가 2중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하부에는 스탠드(30)가 설치되어 지므로, 상기 회동체(2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면, 셋팅된 개방각도의 최종지점에서는 회동체(20)의 지지턱(24)이 상기 모서리부(17)에서 2중 지지되면서, 작동부(12)의 강성을 강화하고, 스탠드(30)의 지지상태를 안정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배면 상부에 형성된 지지턱(24)은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는 데 그 이유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17)에 회동체(20)가 개방되어 밀착될 때 보다 견고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지지턱(24)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하부 외측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2)에는 회동체(20)의 개방후 지지력 및 복원력을 제어하며, 몸체 하부로는 지지판(41)이 구비되는 텐션스프링(40)이 설치된다.
상기 텐션스프링(40)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골프백(50)을 지지하고 있던 스탠드(30)를 골프백(50)의 이동시 스탠드(30)가 골프백(50) 몸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텐션스프링(40)은 회동체(20)가 작동부(12)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 개방되었을 경우 회동체(20)를 견고히 지탱하는 역활도 수행한다.
이는 즉, 상기 텐션스프링(40)의 탄성력 복원력에 의해 스탠드(30)가 개방되었을 경우에는 개방된 각을 탄성력에 의해 견고히 유지시키는 역활을 하며, 골프백(50)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텐션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탠드(30)가 접히게 하는 역활과 동시에 스탠드(30)가 골프백(50)에 밀착되게 하는 역활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텐션스프링(40)은 회동체(20)에 장착된 스탠드(30)가 개방전 작동부(12)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역활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텐션스프링(40)은 골프백(50)의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스탠드(30)와 직접접촉 되지 않게 하므로써, 스탠드(30)와 텐션스프링(4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텐션스프링(40)의 몸체 중앙부에는 선택적으로 텐션스프링(40)의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탄성제어클립(6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상기 텐션스프링(40)의 몸체 에 탄성제어클립(60)을 설치하므로써, 텐션스프링(40)의 폭을 가감시켜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100)는 스탠드(30)의 회전작동 부분의 폭을 최소화하고 개방각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의 편의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종래의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에 비해 기능을 단순화 하고 부품수를 줄여 무게가 경량화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작동 편의성을 향상킬 수 있다.
둘째, 작동부(12)의 강성을 강화하고, 스탠드(30)의 지지상태를 안정화 하기 위해 경사면(13), 접지면(14), 지지면(15)을 소정의 경사각으로 2중 지지되도록 형성하므로, 골프백(50)의 지지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골프백(50)의 이동시 골프백(50)을 경사지게 들어 올리면, 스탠드(30)에 부착된 텐션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스탠드(30)가 처지는 현상없이 골프백(50) 몸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작동부(12)의 경사면(13)이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골프백(50)의 이동시 스탠드(3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부지지판(10)을 골프백(50) 몸체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3점 지지방식을 사용하므로, 견고성을 확보하고, 조립공정수를 절감할 수 있다.
여섯째, 텐션스프링(40)이 골프백(50)의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스탠드(30)와 텐션스프링(40)의 간섭을 방지하였다.
일곱째, 작동부(12)의 지지면(15)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므로, 회동체(20)의 개방전에 스탠드(30)가 골프백(50) 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스탠드(30)의 회전 작동부분의 폭을 최소화 하고 개방각을 극대화 하기 위해 전면부로 돌출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품성 및 작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양측과 하측부로는 체결홈(11)이 위치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며, 구형상을 갖는 작동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12)의 전면 양측으로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13)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으로는 접지면(14)이 위치되며, 상기 경사면(13)의 단부로는 지지면(15)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13)의 상부 양측으로는 끼움돌기(16)가 하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판(10)과;
    상기 상부지지판(10)의 작동부(12) 양측 경사면(13)에 형성된 끼움돌기(16)와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형의 형상을 갖으며, 몸체 내측으로는 삽입홈(21)이 끼움돌기(16)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몸체 중앙 하부에는 외측으로 체결돌기(22)가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장착홈(23)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 배면 상부로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지지턱(24)이 형성된 회동체(20)와;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하부 저면부에 형성된 장착홈(23)에 끼워지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스탠드(30)와;
    상기 회동체(20)의 몸체 중앙 하부 외측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2)에 장착되고, 회동체(20)의 개방후 지지력 및 복원력을 제어하며, 몸체 하부로는 지지판(41)이 구비되는 텐션스프링(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KR2019990018288U 1999-08-31 1999-08-31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KR2001673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501A KR20010019854A (ko) 1999-08-31 1999-08-31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501A Division KR20010019854A (ko) 1999-08-31 1999-08-31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337Y1 true KR200167337Y1 (ko) 2000-02-15

Family

ID=196093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288U KR200167337Y1 (ko) 1999-08-31 1999-08-31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KR1019990036501A KR20010019854A (ko) 1999-08-31 1999-08-31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501A KR20010019854A (ko) 1999-08-31 1999-08-31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73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3723A (zh) * 2017-02-28 2017-07-14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高尔夫球袋的铁线结构
KR20230002360U (ko) 2022-06-07 2023-12-14 (주)골프스킨 골프백 보관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342B1 (ko) 2019-03-25 2020-05-20 박민규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3723A (zh) * 2017-02-28 2017-07-14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高尔夫球袋的铁线结构
CN106943723B (zh) * 2017-02-28 2020-03-17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高尔夫球袋的铁线结构
KR20230002360U (ko) 2022-06-07 2023-12-14 (주)골프스킨 골프백 보관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54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680B2 (en) Foldable stand for display device
EP1785660A2 (en) Stand for a display device
US5823485A (en) Automatically foldable support stand for golf bag
US5895022A (en) Monitor support adjusting apparatus
KR200167337Y1 (ko)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CA2420752A1 (en) Golf bag and frame for the same
US5860521A (en) Golf bag frame
USD419759S (en) Umbrella
US20030122346A1 (en) Leg support of a tricycle for children having a cycle frame
EP0972473A1 (en) Split lockable hinge for a baby bed
EP0436953A2 (en) Stabilized ironing board
US6634497B1 (en) Golf bag support mechanism
JP4698898B2 (ja) 引戸のハンドル装置
JP3965296B2 (ja) 折り畳み椅子
US6739474B1 (en) Garbage can for use in an automobile
US20030097711A1 (en) Detachable supporting leg for a baby playpen
KR200257323Y1 (ko) 골프백
JP2000041780A (ja) 壁備付け用折畳み椅子
JP3513925B2 (ja) 椅 子
JPH0724606B2 (ja)
KR200284325Y1 (ko) 스탠드형절첩식거울
CN217285270U (zh) 儿童餐椅的支撑结构及儿童餐椅
KR200155925Y1 (ko) 골프백의 스탠드장치
JP3867239B2 (ja) フックハンガー用アダプタ
KR900000137Y1 (ko) 키보드 경사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