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342B1 -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 Google Patents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342B1
KR102113342B1 KR1020190033345A KR20190033345A KR102113342B1 KR 102113342 B1 KR102113342 B1 KR 102113342B1 KR 1020190033345 A KR1020190033345 A KR 1020190033345A KR 20190033345 A KR20190033345 A KR 20190033345A KR 102113342 B1 KR102113342 B1 KR 10211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older
stand
attached
golf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342B9 (ko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박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09196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133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규 filed Critical 박민규
Priority to KR1020190033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42B1/ko
Publication of KR10211334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4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50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 A63B55/57Bags with tripod or like set-up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백을 받쳐서 세우는 스탠드의 양쪽 레그 사이에 연결되어 스탠드를 지지하는 홀더에 관한 것으로, 양쪽 레그에 각각 연결되는 제1밴드와 제2밴드가 분리된 채 구비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밴드띠; 밴드띠 일면에 부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벨크로띠; 밴드띠 일단 측에 구비되어 밴드띠의 양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고리홀이 형성된 보강부재; 및 고리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고리로 이루어지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벨크로띠들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1밴드와 제2밴드의 각 벨크로띠가 서로 겹쳐진 정도에 따라 홀더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HOLDER FOR SUPPORTING STAND OF GOLF BAG}
본 발명은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백을 받쳐서 세우는 스탠드의 양쪽 레그 사이에 연결되어 스탠드를 지지하는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백의 몸체 후방에는 골프백을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로 세워서 지지한 채 사용자가 골프채를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후 다시 수납할 수 있도록 스탠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스탠드는 골프백에 접철 가능하게 부착되어 골프 경기 중 사용자는 카트를 타고 이동하거나 골프백을 어깨에 메고 이동하면서 골프백을 지면에 접지시킨 후 스탠드의 레그를 양쪽으로 펼쳐서 골프백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몸체 양측과 하측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구형상을 갖는 작동부가 구비되며, 작동부 양측에 내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단부에 지지면이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경사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경사각을 유지하며 돌출 형성된 상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의 작동부 양측 경사면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고정되고, 구 형상을 가지며, 몸체 배면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지지턱이 형성된 회동체와, 회동체의 몸체 중앙 하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지고,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된 스탠드와, 회동체의 몸체 중앙 하부의 외측으로 형성된 체결돌기에 장착되고, 회동체의 개방후 지지력 및 복원력을 제어하며 몸체 하부에 지지판이 구비된 텐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은 구성 및 작동이 복잡하고, 스탠드의 레그가 양쪽으로 소정의 개방각을 유지하며 벌려져 설치되기 때문에 견고하지 못하고, 골프백의 무거운 하중을 계속하여 지지하기 곤란하며,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9854호(2001.03.15.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쪽 밴드로 분리되도록 구비되고 양쪽 밴드가 서로 겹쳐진 정도에 따라 홀더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레그의 여러 위치에 연결하여 스탠드를 지지할 수 있고, 샷을 하는 장소와 지면 상태에 따라 홀더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며, 스탠드와의 연결 및 길이 조절이 간편하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견고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고, 시인성이 우수한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백을 받쳐서 세우는 스탠드의 양쪽 레그 사이에 연결되어 스탠드를 지지하는 홀더에 있어서, 양쪽 레그에 각각 연결되는 제1밴드와 제2밴드가 분리된 채 구비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밴드띠; 밴드띠 일면에 부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벨크로띠; 밴드띠 일단 측에 구비되어 밴드띠의 양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고리홀이 형성된 보강부재; 및 고리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고리로 이루어지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벨크로띠들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1밴드와 제2밴드의 각 벨크로띠가 서로 겹쳐진 정도에 따라 홀더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쪽 밴드로 분리되도록 구비되고 양쪽 밴드가 서로 겹쳐진 정도에 따라 홀더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레그의 여러 위치에 연결하여 스탠드를 지지할 수 있고, 샷을 하는 장소와 지면 상태에 따라 홀더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며, 스탠드와의 연결 및 길이 조절이 간편하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견고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고, 시인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밴드의 양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밴드의 양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밴드와 제2밴드의 길이 조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보관 및 휴대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로 체결된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파지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스탠드에 연결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1)는 골프백(B)을 받쳐서 세우는 스탠드(S)의 양쪽 레그(L) 사이에 연결되어 스탠드(S)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밴드의 중앙을 절개하여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1밴드(100)와 제2밴드(200)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비되고, 제1밴드(100)와 제2밴드(200)는 각각 양쪽 레그(L)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서로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를 위하여,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제1밴드(100)는 납작하고 길죽한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띠 형상의 제1밴드띠(110)가 구비되고, 제1밴드띠(110)는 천, 가죽, 합성섬유,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제1밴드띠(110)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죽하게 형성된 제1벨크로띠(120)가 봉제되어 부착되고, 제1밴드띠(110) 일단 측에 천, 가죽, 함성섬유,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1보강부재(130)가 구비되어 제1밴드띠(110)의 양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봉제되어 부착되며, 제1보강부재(130)의 단부에 고리홀(13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고리홀(131)에 제1체결고리(140)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체결고리(140)는 양쪽 레그(L) 중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제2밴드(200)는 납작하고 길죽한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띠 형상의 제2밴드띠(210)가 구비되고, 제2밴드띠(210)는 천, 가죽, 합성섬유,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제2밴드띠(210)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죽하게 형성된 제2벨크로띠(220)가 봉제되어 부착되고, 제2밴드띠(210) 일단 측에 천, 가죽, 함성섬유,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2보강부재(230)가 구비되어 제2밴드띠(210)의 양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봉제되어 부착되며, 제2보강부재(230)의 단부에 고리홀(23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고리홀(231)에 제2체결고리(240)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체결고리(240)는 양쪽 레그(L) 중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밴드(100)와 제2밴드(200)는 제1벨크로띠(120)와 제2벨크로띠(220)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면, 제1밴드(100)는 전방에 위치하고, 제2밴드(200)는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부가 겹쳐지도록 부착되며, 제1밴드(100)의 후면에 제1벨크로띠(120)가 위치되고, 제2밴드(200)의 전면에 제2벨크로띠(220)가 위치되며, 상기 제1벨크로띠(120)와 제2벨크로띠(220)가 서로 마주본 채 부착되게 되고, 골프백을 어깨에 메고 코스 구역이나 그린의 위치를 이동할 때마다 홀더(1)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벨크로띠(120)와 제2벨크로띠(2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죽하게 형성되므로 제1벨크로띠(120)와 제2벨크로띠(220)가 겹쳐져 부착된 면적에 따라 홀더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다. 예컨대, 도 4a와 같이 제1벨크로띠(120)와 제2벨크로띠(220)의 겹쳐진 면적이 클 경우에는 홀더(1)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조절되고, 도 4b와 같이 제1벨크로띠(120)와 제2벨크로띠(220)의 겹쳐진 면적이 작을 경우에는 홀더(1)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벨크로띠(120)와 제2벨크로띠(220)의 서로 겹쳐져 부착되는 면적과 위치에 따라 홀더(1)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레그(1)의 여러 위치에 연결하여 스탠드(S)를 지지할 수 있고, 골프 경기시 샷을 하는 장소와 지면 상태에 따라 홀더(1)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스탠드(S)에 대한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며, 스탠드(S)와의 연결 및 길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약, 홀더가 하나의 밴드로만 이루어진다면 한 가지 길이로만 제공되어 항상 스탠드의 같은 위치에만 연결하게 되므로 홀더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고, 사용이 불편하며, 스탠드의 안정된 지지가 어려운 것입니다.
더불어, 도 4c를 참고하면 제1벨크로띠(120)와 제2벨크로띠(220)가 겹쳐지도록 부착한 채 홀더(1)를 보관하거나 휴대하여 소지할 수 있으므로, 홀더(1)의 전체 크기가 줄어들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착용한 옷의 주머니에 넣어 간편하게 소지하다가 꺼내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홀더가 하나의 밴드나 띠로 이루어진 경우 접어서 보관하게 되므로 접철된 자국이 남아 있게 되고, 스탠드(S)에 연결시 밴드가 접혀진 자국에서 접혀져 타이트한 상태에서 스탠드(S)를 지지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홀더(1)는 밴드를 접지 않고 겹쳐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스탠드(S)에 연결시 타이트한 상태에서 스탠드(S)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밴드(100)와 제2밴드(200)를 겹쳐서 부착할 때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밴드(100)는 전면에 복수 개의 스터드(15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물론 제2밴드(200)에도 스터드(미도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스터드(15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특히 야외 필드에서 빛을 반사시켜 시인성이 우수하므로, 골프 경기나 연습 중에 스탠드(S)의 지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홀더(1)를 분실한 위험도 적어지며, 외관의 디자인도 단조롭지 않고 향상된 심미감을 주게 된다. 더불어, 도 6과 같이 홀더(1)를 소지할 때 복수 개의 스터드(150) 사이에 손가락을 위치시켜 파지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1)는 체결밴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체결밴드(300)는 복수 개의 스터드(15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벨크로, 스냅단추 등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스터드(150)는 전체 또는 하부의 일부가 사각 평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양쪽에서 체결밴드(300)를 지지할 수 있고, 서로 겹쳐져 부착된 상태에 있는 제1밴드(100)와 제2밴드(200)를 함께 감싸서 연결함으로써, 골프백 하중이나 지면 상태에 따라 스탠드(S)의 양쪽 레그(L)가 밀려서 임의로 벌어지는 경우에도 체결밴드(300)가 양쪽 스터드(150)에 지지된 채 제1밴드(100)와 제2밴드(200)의 움직임을 고정하여 스탠드(150)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실시예로 체결밴드(300)는 벨크로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제1밴드(100)와 제2밴드(200)의 양면에 모두 벨크로부재가 형성되어, 체결밴드(300)가 제1밴드(100)와 제2밴드(20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밴드(100)의 제1체결고리(140)는 레그(L)와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해 몸체(141)의 양 단부가 서로 이격된 틈새(145)만큼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제1체결고리(140)의 레그(L)에 대한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고, 몸체(141)의 외면 둘레를 따라 외부돌기(142)가 형성되며, 몸체(141)의 일단부의 회동편(143)이 고리홀(131)에 연결되고, 몸체(141)의 타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돌기(144)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외부돌기(142)와 파지돌기(144)와 접촉시켜 제1체결고리(140)를 잡은 상태에서 미끄러짐없이 레그(L)에 대한 제1체결고리(140)의 연결과 분리 및 레그(L) 상에서 제1체결고리(140)의 상하 위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밴드(200)의 제2체결고리(240)는 레그(L)와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해 몸체(241)의 양 단부가 서로 이격된 틈새(245)만큼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제2체결고리(240)의 레그(L)에 대한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고, 몸체(241)의 외면 둘레를 따라 외부돌기(242)가 형성되며, 몸체(241)의 일단부의 회동편(243)이 고리홀(231)에 연결되고, 몸체(241)의 타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돌기(244)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외부돌기(242)와 파지돌기(244)와 접촉시켜 제2체결고리(240)를 잡은 상태에서 미끄러짐없이 레그(L)에 대한 제2체결고리(240)의 연결과 분리 및 레그(L) 상에서 제2체결고리(240)의 상하 위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체결고리(140) 및 제2체결고리(240)는 몸체(141,241)의 내측면에 각각 논슬립 기능을 갖는 밀착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스탠드(S)의 레그(L)에 밀착되어 착용된 채 스탠드(S)에 연결된 홀더(1)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고, 스탠드(S)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밀착패드는 중량%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30 내지 50%, 실리콘 수지 15 내지 25%,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5 내지 25%,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5 내지 10%,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5%, 폴리바이닐피롤리돈 1 내지 5%, 2-에틸페녹시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3%,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1 내지 3%, 1,4-페닐렌비스옥사졸린 0.5 내지 2%, 1,4-부탄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0.5 내지 1.5%, 테트라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 0.5 내지 1.5%, 비스(3-에틸-5-메틸-4-말레인이미드페닐)메탄 0.5 내지 1.5%, N-[4-(2-벤조이미다졸릴)페닐]말레인이미드 0.5 내지 1.5%, 스태너스 올레에이트 0.5 내지 1.5%, 디부틸틴 다이아세테이트 0.5 내지 1.5%, N,N'-비스(2-메틸-1-이미다졸릴에틸)요소 0.5 내지 1.5%, p-톨루엔술포닐하이드라자이드 0.1 내지 1.0%, 에피클로로히드린 0.1 내지 1.0%, 대전방지제 0.5 내지 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신축성을 부여하고 강성을 향상시키며, 실리콘 수지와 혼합될 때 낮은 점도로 인하여 흐름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고, 30 중량% 미만이면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실리콘 수지는 신축성이 있고 탄성과 유연성을 나타내고, 내습성이 우수하여 야외의 고온 고습 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보존성이 우수하며, 15 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유연성이 저하되어 크랙이 발생될 수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저하되어 사용이 어렵게 될 수 있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으로 밀착성이 우수하여 밀착력이 증대되고, 유연성, 경도, 내광성 등이 우수하며, 25 중량%를 초과하면 분산성 및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학 물질로, 내열성이 우수하여 야외의 온도 상승에 저항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다.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타크릴레이트는 1 내지 5 중량%를 첨가하는데 희석제로 기능하고 부착력을 우수하게 한다.
폴리바이닐피롤리돈은 N-비닐-2-피롤리돈의 중합체로, 바인더로 작용하고, 5 중량%를 초과하면 분산성 및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다.
2-에틸페녹시메타크릴레이트는 방향족 메타크릴레이트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므로, 반복된 연결 및 분리에 따른 내구성이 증가하게 된다.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는 부착력이 우수하여 다른 물질들을 정착시키고, 이를 위하여 1 내지 3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1,4-페닐렌비스옥사졸린은 아민계 첨가제로 내열성과 내구성을 증가시켜 야외의 고온 환경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부탄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와 테트라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는 가교제로서 각각 0.5 내지 1.5 중량%가 함께 포함되는데, 분자체를 상호 연결시켜 중합물로 만들고 가교 밀도를 증가시켜 기계적 성질을 강화시킬 수 있다.
비스(3-에틸-5-메틸-4-말레인이미드페닐)메탄과 N-[4-(2-벤조이미다졸릴)페닐]말레인이미드는 말레인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로 가교조제로 기능하며 각각 0.5 내지 1.5 중량%가 함께 포함되는데 반응성이 높아서 반응을 촉진시킨다.
스태너스 올레에이트와 디부틸틴 다이아세테이트는 각각 0.5 내지 1.5 중량%가 함께 포함되는데 화학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고 가교화를 촉진시켜 가교를 활성화시킨다.
N,N'-비스(2-메틸-1-이미다졸릴에틸)요소는 0.5 내지 1.5 중량%가 포함되는데, 밀착패드를 안정화시키고, 경화 속도를 증가시킨다.
p-톨루엔술포닐하이드라자이드는 0.1 내지 1.0 중량%가 포함되는데 발포제로 기능한다.
에피클로로히드린은 0.1 내지 1.0 중량%가 포함되는데 화합물을 안정화시키는 안정제로 기능하며, 대전방지제는 시아나미드(Cyanamid)사의 CYASTAT계를 사용할 수 있고 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면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고,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1)는 양쪽 밴드로 분리되도록 구비되고 양쪽 밴드가 서로 겹쳐진 정도에 따라 홀더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레그의 여러 위치에 연결하여 스탠드를 지지할 수 있고, 샷을 하는 장소와 지면 상태에 따라 홀더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며, 스탠드와의 연결 및 길이 조절이 간편하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견고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고, 시인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B. 골프백 S. 스탠드
L. 레그 1. 홀더
100. 제1밴드 110. 제1밴드띠
120. 제1벨크로띠 130. 제1보강부재
131. 고리홀 140. 제1체결고리
141. 몸체 142. 외부돌기
143. 회동편 144. 파지돌기
145. 틈새 150. 스터드
200. 제2밴드 210. 제2밴드띠
220. 제2벨크로띠 230. 제2보강부재
231. 고리홀 240. 제2체결고리
241. 몸체 242. 외부돌기
243. 회동편 244. 파지돌기
245. 틈새 300. 체결밴드

Claims (5)

  1. 골프백을 받쳐서 세우는 스탠드의 양쪽 레그 사이에 연결되어 스탠드를 지지하는 홀더에 있어서, 양쪽 레그에 각각 연결되는 제1밴드와 제2밴드가 분리된 채 구비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밴드띠; 밴드띠 일면에 부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벨크로띠; 밴드띠 일단 측에 구비되어 밴드띠의 양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고리홀이 형성된 보강부재; 및 고리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고리를 포함하고,
    제1밴드와 제2밴드의 벨크로띠들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1밴드와 제2밴드의 각 벨크로띠가 서로 겹쳐진 정도에 따라 홀더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부착시 전방에 위치하는 제1밴드는 전면에 복수 개의 스터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시인성을 갖고, 스터드 사이에 손가락을 위치시켜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고리는, 레그와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해 양 단부가 서로 이격된 틈새만큼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외면 둘레를 따라 외부돌기가 형성되며, 일단부의 회동편이 고리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돌기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손가락을 외부돌기와 파지돌기에 접촉시켜 체결고리를 잡은 상태에서 미끄러짐없이 레그에 대한 체결고리의 연결과 분리 및 체결고리의 상하 위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스터드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서로 부착된 상태에 있는 제1밴드와 제2밴드를 함께 감싸서 연결하며, 복수 개의 스터드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지지되는 체결밴드를 더 포함하는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리는 내측면에 밀착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4. 삭제
  5. 삭제
KR1020190033345A 2019-03-25 2019-03-25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KR10211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345A KR102113342B1 (ko) 2019-03-25 2019-03-25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345A KR102113342B1 (ko) 2019-03-25 2019-03-25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342B1 true KR102113342B1 (ko) 2020-05-20
KR102113342B9 KR102113342B9 (ko) 2021-12-24

Family

ID=7091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345A KR102113342B1 (ko) 2019-03-25 2019-03-25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3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959A (ja) * 1994-02-23 1995-09-05 Torai Toentei One Kk スタンド付きゴルフバッグ
JP3038071U (ja) * 1996-11-21 1997-06-06 株式会社協和 鞄吊り下げベルト
KR200149111Y1 (ko) * 1995-12-28 1999-06-15 류정열 자동차의 백도어 열림방지구
US6168060B1 (en) * 1998-09-16 2001-01-02 Edward Mayers Nested, two-layer golf bag strap for one-shoulder or two-shoulder carrying
KR20010019854A (ko) 1999-08-31 2001-03-15 임관재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KR20140125010A (ko) * 2013-04-17 2014-10-28 박원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휴대용 전자 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959A (ja) * 1994-02-23 1995-09-05 Torai Toentei One Kk スタンド付きゴルフバッグ
KR200149111Y1 (ko) * 1995-12-28 1999-06-15 류정열 자동차의 백도어 열림방지구
JP3038071U (ja) * 1996-11-21 1997-06-06 株式会社協和 鞄吊り下げベルト
US6168060B1 (en) * 1998-09-16 2001-01-02 Edward Mayers Nested, two-layer golf bag strap for one-shoulder or two-shoulder carrying
KR20010019854A (ko) 1999-08-31 2001-03-15 임관재 골프백 지지용 스탠드
KR20140125010A (ko) * 2013-04-17 2014-10-28 박원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휴대용 전자 단말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342B9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675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CN103038722B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US8727116B2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5174483A (en) Radiowrap
US6729518B2 (en) Carrying case with selectively adjustable stand
US20140166707A1 (en) Apparatus with rotating disc for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US20170112240A1 (en) Necklace for holding smart device
US9699283B2 (e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US10728372B2 (en) Hold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US20160327207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7690542B1 (en) Dual-strap carrying case
KR102113342B1 (ko) 골프백 스탠드 지지 홀더
KR101851292B1 (ko)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US20160293149A1 (en) Strapless Guitar Rest
KR20120082247A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US20120223111A1 (en) Accessory holder
KR20140001471U (ko) 모바일 단말용 파우치
US6205222B1 (en) Clamping devi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140008849A (ko)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KR101967792B1 (ko) 휴대물품 거치장치
KR2012013488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고정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KR200473826Y1 (ko)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87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18

Effective date: 202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