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158Y1 - 배수관 - Google Patents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158Y1
KR200167158Y1 KR2019970029377U KR19970029377U KR200167158Y1 KR 200167158 Y1 KR200167158 Y1 KR 200167158Y1 KR 2019970029377 U KR2019970029377 U KR 2019970029377U KR 19970029377 U KR19970029377 U KR 19970029377U KR 200167158 Y1 KR200167158 Y1 KR 200167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pipe
drain
rain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163U (ko
Inventor
나용수
Original Assignee
노강호
주식회사광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강호, 주식회사광호산업 filed Critical 노강호
Priority to KR2019970029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158Y1/ko
Publication of KR980003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를 수집하여 배수시키는 배수로에 설치되는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 단면이 원형으로써 관부와 상부의 중심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철망을 착탈할 수 있게 하며, 그 양측에는 장방향의 장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은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배수관의 상면 전 길이에 걸쳐 요입홈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바닥면의 장공 위치에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는 원형 구멍을 상기 관부로 수직 천공하며, 사각관 형태의 외관 구조를 설치시 1/2 높이인 중앙이 배가 부르게 테이퍼진 육각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관
본 고안은 우수를 집수하여 배수시키는 배수로에 설치되는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관은 제1도에서와 같이 U형 하부관(100)과 그 상부에 덮어 씌워지는 캡형 상부관(200)이 상호 단턱(110, 210)에 의해 결합되어 한 개의 배수관을 형성한다.
이 때 상부관(200)의 상면에는 중심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철망(22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집중호우와 같이 급속한 수량의 증가시 배출이 용이케 함과 더불어 구간별로 내부에 쌓인 토사 등의 배출통로도 되게 한다.
한편, 상기의 배수관은 하수관과 달리 도로의 가장자리에 또는 골프장 등과 산사태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장소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단순 거푸집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그 강도가 취약할 뿐만 아니라 배수관이 상하로 구분되어 있어, 지반의 침하나 그 밖의 토압에 의해 쉽게 상하부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원심력에 의해 배수관을 상하구분 없이 일체형으로 만들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원심력 배수관을 제2도 및 제3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 단면이 원형으로써 관부(10)와 상부의 중앙부에 개구(11)를 형성하여 철망(12)을 착탈할 수 있게 하며, 그 양측에는 장방형의 장공(13)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은 배수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상하 분리형에 따른 문제점을 일소하여 지반의 침하나 토압에 잘 견디도록 된다.
그러나, 이는 제3도에서와 같이 배수관의 상면이 평평하기 때문에 우수가 밀려오는 반대쪽에 물막이 구조가 없는 상황에서는 그대로 지나치는 우수가 발생되어 배수관의 효용성을 십분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다량의 우수가 급속히 유입될 때는 더욱 그러하다.
한편, 밀려오는 우수와의 접촉을 길게 하기 위한 제2도에 표현된 장방형의 장공(13) 또한 상기의 이유로 그 기능을 제대로 갖지 못하고 오히려 토사나 이물질의 유입만 좋게 하여 배수관 내부에 토사가 쌓여 우수의 흐름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며, 심지어는 구간별로 막혀 우수가 역류되어 범람되는 현상까지 보임을 관찰하였다.
또한 제3도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배수관의 수로는 원형이고 외부의 사각 관부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배수관의 1/2 높이에서는 배수관의 두께(d)가 최소화되고, 그 상, 하부로 갈수록은 불필요한 두께를 갖는 비경제적 구조로 되어 같은 단면적과 대비하여 볼 때 구조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 구분없이 일체로 된 원심 배수관을 형성하되 우수의 유입성을 좋게 하면서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같은 단면적과 대비하여 단면구조 강도의 효율적 제고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 단면이 원형으로써 관부와 상부의 중앙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철망을 착탈할 수 있게 하며, 그 양측에는 장방형의 장공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한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배수관의 상면 전길이에 걸쳐 오입홈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바닥면의 장공 위치에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는 원형 구멍을 상기 관부로 수직으로 뚫으며, 사각관 형태의 외관 구조를 설치시 1/2 높이인 중앙이 배가 부르게 테이퍼진 육각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분할 배수관을 보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원심 배수관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부 20 : 요입 홈부
21 : 원형 구멍 D : 두께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 단면이 원형으로써 관부(10)와 상부의 중앙부에 개구(11)를 형성하여 철망(12)을 착탈 할 수 있게 하며, 그 양측에는 원형 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은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배수관의 상면 전 길이에 걸쳐 오입홈부(20)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바닥면의 장공 위치에 상대적으로 소경의 다수의 원형 구멍(21)을 상기 관부(10)로 수직으로 뚫으며, 그 외관부는 배수관의 1/2높이인 중앙이 외면으로 융출되는 테이퍼진 육각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이때 1/2 높이의 관부(10)에서 외부의 두께(D)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3은 배수관의 후방에 형성된 걸이맞춤홈에 연결될 돌기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수관을 설치, 시공하다 보면 배수관의 한쪽 면으로만 우수가 유입되는 것만이 아니라 양쪽 모두 우수의 유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제3도에서와 같이 배수관의 상면이 평평하기 때문에 우수가 밀려 오는 반대쪽에 물막이 구조가 없는 상황에서는 그대로 지나치는 우수가 발생되어 배수관의 효용성을 십분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다량의 우수가 급속히 유입될 때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배수관의 상면에 요입홈부(20)를 형성하고 있어 일단 어느 방향에서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그냥 지나쳐 통과하지 않고 배수관의 상면에 정체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우수의 유입효과가 증대된다.
한편, 종래에 밀려오는 우수와의 접촉을 길게 하기 위한 장방형의 장공(13) 또한 상기의 이유로 그 기능을 제대로 갖지 못하고, 오히려 토사나 이물질의 유입만 좋게 하여 배수관 내부에 토사가 쌓여 우수의 흐름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며, 심지어는 구간별로 막히어 우수가 역류되어 범람되는 현상까지 모임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요입홈부(20)에서 우수가 저류되는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작은 원형 구멍(21)으로 하여도 되며, 따라서 토사 및 이물질의 유입 양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배수관의 보수를 그만큼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형 구멍(21)을 통해 배수관의 관부(10)로 유입되는 우수는 장공일 때보다 원형일 때가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구멍의 면적이 작더라도 유입 량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5도인 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배수관의 관부(10)는 원형이고 외부의 형태는 배수관의 1/2높이에서 배가 부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관부(10) 전체 둘레에서 외부로의 두께가 비교적 고르다.
따라서 같은 단면적 대비하여 볼 때 경제적 구조로 되어 구조 강도가 상승되는 작용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상하 구분없이 일체로 된 원심 배수관의 우수 유입성을 좋게 하면서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같은 단면적을 대비하여 볼 때 단면 구조 강도의 효율적 제고를 가지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내부 단면이 원형으로써 관부(10)와 상부의 중심부에 개구(11)를 형성하여 철망(12)을 착탈할 수 있게 한 배수관에 있어서, 배수관의 상면 전 길이에 걸쳐 요입홈부(20)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바닥면에 소경의 다수의 원형 구멍(21)을 상기 관부(10)에 대하여 수직으로 뚫고, 외관 형태를 배수관의 1/2 높이인 중앙부가 외면으로 융출되는 테이퍼진 육각구조로 되어 관부(10)와 외면과의 두께(D)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수관.
KR2019970029377U 1997-10-23 1997-10-23 배수관 KR200167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77U KR200167158Y1 (ko) 1997-10-23 1997-10-23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77U KR200167158Y1 (ko) 1997-10-23 1997-10-23 배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63U KR980003163U (ko) 1998-03-30
KR200167158Y1 true KR200167158Y1 (ko) 2000-06-01

Family

ID=1951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377U KR200167158Y1 (ko) 1997-10-23 1997-10-23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1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085B1 (ko) 2021-03-26 2022-01-19 주식회사 창성섬유 종광유닛의 개구방식 개선에 의한 직기 효율이 향상되는 다기능 태핏 직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63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2871B (zh) 液体泄流处理系统
JP3944518B2 (ja) 境界ブロックを用いた道路の排水構造
KR200167158Y1 (ko) 배수관
KR200463521Y1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CN213233719U (zh) 边坡地表截排水结构
KR200434066Y1 (ko) 차도 측구용 우수받이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CN217460987U (zh) 微排水结构
KR101757325B1 (ko) 옹벽블록
KR100570462B1 (ko) 우수배수 저감용 집수정 및 그의 설치방법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CN220538808U (zh) 一种市政路面排水结构
KR200183158Y1 (ko) 암거용 유공관
KR100620326B1 (ko) 도로용 보강토 옹벽 설치구조
CN219653557U (zh) 一种适用于下沉洞口的重力流排水结构
KR200334316Y1 (ko) 트랩 일체형 우수받이
KR100525059B1 (ko) 건축물의 비탈면 옹벽 보호 구조
CN214784155U (zh) 带有排水功能的挡墙与边沟组合体
JP2504572B2 (ja) 暗渠排水管による排水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暗渠排水管
KR200396772Y1 (ko) 측면유로를 갖는 측구
KR200411820Y1 (ko) 도로 경사면 빗물 배수로 박스의 설치구조
KR100648962B1 (ko) 트랩 일체형 우수받이
CN211621546U (zh) 边坡半开式排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