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995Y1 - 광섬유의 여장판 - Google Patents

광섬유의 여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995Y1
KR200166995Y1 KR2019970016313U KR19970016313U KR200166995Y1 KR 200166995 Y1 KR200166995 Y1 KR 200166995Y1 KR 2019970016313 U KR2019970016313 U KR 2019970016313U KR 19970016313 U KR19970016313 U KR 19970016313U KR 200166995 Y1 KR200166995 Y1 KR 200166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ptical fiber
sleeve
junction box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729U (ko
Inventor
신중현
Original Assignee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채준
Priority to KR2019970016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9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5Boxes with lateral pivoting co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7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with divided sh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섬유 여장판에 관한 것으로, 여장판의 중심부 일측에 단심 관통홀 가이드가 형성된 슬리브를 나사 조임으로 체결하고, 중심부 타측의 양특으로 6심 가이드가 형성된 각각의 슬리브를 엇갈리게 나사 조임으로 체결함으로써 다수의 단심 광섬유 또는 6심 광섬유를 여장 및 고정시키는데 용이하며, 특히 단심 광섬유를 슬리브에 형성된 24개의 관통홀가이드에 의하여 더많은 고정이 가능하며 또한 단심 관통홀 가이드와 6심 가이드가 형성된 슬리브를 각각 금형 제작 함으로써 공정이 단조로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섬유의 여장판
본 고안은 광섬유 여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함체 내부에 볼트 체결방식에 의해 적층 설치되는 여장판에 다수개의 슬리브를 각각 나사 조임으로 체결하여 다수개의 광섬유를 여장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 광섬유 여장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전송 선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통하여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광섬유의 길이를 어느 정도로 한정되게 제작하고 있으므로 긴 광전송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광섬유를 직선 상으로 연결하면서 사용하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광섬유는 내부에 광전도 매질을 형성하여 그 직경에 따라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광이 통과하도록 한 것이지만, 광전도 매질인 광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광로를 통과하는 신호의 수를 제한할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통신회선의 수에 따라 다수의 광섬유를 일체로 형성한 다심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다.
광케이블 여장판은 광섬유의 연결 부위나 분배 위치인 철주를 다른장소로 옮기게 되거나하는 경우에 대비하고 케이블의 시설 전,후에 케이블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케이블이 신장하여 광섬유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주에 설치되는 접속함체의 내부에 여장부를 반드시 형성하여야 하였다.
이와같은 기능을 가지는 종래 광케이블 여장판은 첨부도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덮게(22)가 일측의 힌지(23)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직육면체인 접속함체(21)의 타측에는 인입구(24) 및 인출구(25)를 다수 돌출형성하고, 상기 접속함체(21)의 내부에 볼트체결 방식에 의해 적층 설치되는 여장판(26)의 중앙에는 단심 가이더(28)와 6심가이더(29)가 각각 다수개씩 형성된 슬리브 고정부(27)를 볼트 체결로 고정하고, 상기 슬리브 고정부(27)의 양측에는 여장용 고정구(30)를 원주상으로 다수개씩 고정하여 양측의 광케이블의 통과 요홈(31)을 통하여 유입되는 단심 광섬유 또는 6심 광섬유가 여장용 고정구(30)를 경유하는 중에 여장 처리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광케이블 여장판은 접속함체(21)의 일측에 힌지(23)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연결한 덮개(22)의 개방 상태를 조절하면, 그위에 작업 도구들을 올려 놓을 수 있게 되며, 상기 접속함체(21)의 타측에 형성한 인입구(24) 및/ 또는 인출구(25)를 통과하는 강선의 탄력에 의해 인입구(24)및 인출구(25)가 요동을 하면서 접속함체 내부의 여장처리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였으며, 상기의 접속함체(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너트공에 다른 보스의 볼트부가 나사 조임으로 체결되는 보스에 의해 2내지 4층으로 적층되는 여장판(26)의 중앙에는 단심 가이더(28)와 6심 가이더(29)가 각각 다수개씩 형성된 슬리브 고정부(27)를 볼트 체결로 고정하고, 상기 슬리브 고정부(27)의 양측에는 여장용 고정구(30)를 원주상으로 다수개씩 고정함으로써 양측의 광 케이블과 통과요홈(31)을 통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단심 광섬유 또는 6심 광섬유가 여장용 고정구(30)를 경유하는 중에 만곡진 상태로 여장 처리가 됨은 물론 일측의 여장용 고정구(30)에서 다른 여장용 고정구(30)로 이동하는 광섬유의 6심 분해링과 단심 열수축 슬리브에 여장이 가능 하도록 하여왔다.
그러나, 광케이블 여장판에 나사조임으로 체결되는 슬리브가 단심 가이더와 6심 가이더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금형제작시 공정이 까다롭고, 슬리브에 단심 가이더와 6심 가이더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단심 광섬유 또는 6심 광섬유를 여장하는데 용이하지 못하였고 또한 광섬유와 광섬유의 접속 고정가능한 개수도 한정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접속하거나 분배하기위한 접속부를 보호하고, 더많은 광섬유의 여장 및 고정처리가 용이하며, 유지보수가 수월해지도록한 광섬유의 여장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은 접속함체 내부에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적층 설치되는 여장판에는 다수개의 단심 가이드홀이 형성된 슬리브와 다수개의 6심 가이드가 형성된 슬리브를 각각 나사 조임으로 체결하여 다수개의 광섬유를 여장 및 고정처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인출한 것인바,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여장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함체 2 : 덮게
3 : 힌지 4 : 인입구
5 : 인출구 6 : 여장판
7 : 단심 관통홀 슬리브 8 : 단심 가이드 홀
9 : 6심 가이드 10 : 여장용 고정구
11 : 통과 요홈 12 : 6심 슬리브]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게(2)가 일측의 힌지(3)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직육면체인 접속함체(1)의 타측에는 인입구(4) 및 인출구(5)를 다수 돌출형성하고, 상기 접속함체(1)의 내부에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적층 설치되는 여장판(6)의 중심부 일측에 다수의 단심 가이드홀(8)이 나란히 형성된 단심 관통홀 슬리브(7)를 나사 조임으로 여장판(6)에 체결하고, 중심의 타측에는 6심 가이드(9)와 6심 가이드(9a)가 형성된 6심 슬리브(12,12a)를 엇갈리게 나사조임으로 여장판(6)에 체결하고, 상기 단심 관통홀 슬리브(7)와 6심 슬리브(12,12a)의 양측에는 여장용 고정구(10)를 원주 상으로 다수개씩 고정하여 양측의 광케이블의 통과 요홈(11)을 통하여 유입되는 단심 광섬유 또는 6심 광섬유가 여장용 고정구(10)를 경유하는 중에 여장 처리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광케이블 여장판은 접속함체(1)의 일측에 힌지(3)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연결한 덮개(2)의 개방상태를 조절하면, 그위에 작업도구들을 올려 놓을 수 있게하고, 상기 접속함체(1)의 타측에 형성한 인입구(4) 및/ 또는 인출구(5)를 통과하는 강선의 탄력에 의해 인입구(4) 및 인출구(5)가 요동을 하면서 내부의 여장처리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의 접속함체(1)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너트공에 다른 보스의 볼트부가 나사조임으로 체결되는 보스에 의해 2 내지 4층으로 적층되는 여장판(6)의 중앙부의 일측에 212개의 단심 가이드홀(8)이 나란히 형성된 단심 관통홀 슬리브(7)를 나사 조임으로 여장판(6)에 체결하고, 타측에는 6심 가이더(9)와 6심 가이더(9a)가 형성된 6심 슬리브(12,12a)를 나사 조임으로 여장판(6)에 엇갈리게 체결하고, 상기 단심 관통홀 슬리브(7)와 6심 슬리브(12,12a)의 양측에는 여장용 고정구(10)를 원주 상으로 다수개씩 고정하여 양측의 광케이블과 통과 요홈(11)을 통하여 유입 또는 유출 되는 단심 광섬유 또는 6심 광섬유가 여장용 고정구(10)를 경유하는 중에 만곡진 상태로 여장처리가 됨은 물론 일측의 여장용 고정구(10)에서 다른 여장용 고정구(10)로 이동하는 광섬유의 6심 분해링과 단심 열수축 슬리브에 여장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광케이블 여장판의 일측에 단심 가이드홀이 형성된 단심 관통홀 슬리브를 나사 조임으로 체결하고, 타측의 양측으로 6심가이드가 형성된 각각의 6심 슬리브를 나사 조임으로 엇갈리게 체결함으로써 더 많은 다수의 단심 광섬유 또는 6심 광섬유를 여장 및 고정하는데 용이하며, 또한 단심 가이드홀과 6심 가이드를 형성한 슬리브를 각각 금형제작 함으로써 공정이 단조로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덮게(2)가 일측의 힌지(3)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직육면체인 접속함체(1)의 타측에는 인입구(4) 및 인출구(5)를 다수 돌출형성하고, 상기 접속함체(1)의 내부에 볼트체결 방식에 의해 적층 설치되는 여장판의 중앙부 양측에는 여장용 고정구(10)를 원주 상으로 다수개 고정한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체(1)의 내부에 적층되는 여장판(6)의 중앙부의 일측에 다수의 단심 가이드홀(8)이 나란히 형성된 단심 관통홀 슬리브(7)를 구성하고, 타측의 양측으로 6심 가이드(9a,9b)가 형성된 6심 슬리브(12,12a)를 엇갈리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섬유의 여장판.
KR2019970016313U 1997-06-28 1997-06-28 광섬유의 여장판 KR200166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313U KR200166995Y1 (ko) 1997-06-28 1997-06-28 광섬유의 여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313U KR200166995Y1 (ko) 1997-06-28 1997-06-28 광섬유의 여장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29U KR19990002729U (ko) 1999-01-25
KR200166995Y1 true KR200166995Y1 (ko) 2000-01-15

Family

ID=1950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313U KR200166995Y1 (ko) 1997-06-28 1997-06-28 광섬유의 여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9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717B1 (ko) * 1999-12-02 2007-09-21 주식회사 케이티 광케이블 중간 절체장치의 접속판
KR100760761B1 (ko) * 1999-12-02 2007-09-21 주식회사 케이티 적층형 와이어 새들
KR100738928B1 (ko) * 2006-01-24 2007-07-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심선 고정 장치를 구비한 광접속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29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9618B1 (en) Cable closure which includes a cable sheath gripping assembly
WO2018021878A1 (ko)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US5067678A (en) Optic cable management system
US20080279506A1 (en) Blown Optical Fibre Multi-Tube Terminal Connectors
CA2171001A1 (en) Optical fibre organizer
KR20030051681A (ko) 광섬유 연결 하우징
AU2010200294A1 (en)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and fiber optic network including the same
KR200166995Y1 (ko) 광섬유의 여장판
US6130982A (en) Cable sleeve for light waveguide cables
US11435540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a splice enclosure, and a splice enclosure with a cable management system
US5147979A (en) Threadless floor electric wire junction box with water-proof protection
CN101539650A (zh) 光纤接入终端
KR102350854B1 (ko) 단자함
KR200318573Y1 (ko) 광케이블 접속함
KR200242549Y1 (ko) 광섬유의접속함체
CN205450394U (zh) 一种改进型多用分光分纤盒
ITMI961711A1 (it) Scheda di giunzione per fibre ottiche
KR200350838Y1 (ko)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CA3147642A1 (en) Telecommunications boxes with movable adapter holder
RU202124U1 (ru) Корпус модуля оптического разветвителя
JP2970123B2 (ja) 空気圧送用管路の接続方法
KR200265249Y1 (ko)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KR100260376B1 (ko) 통신용 접속함의 다분기형 마개
US20150098684A1 (en) Modular break out for cable assembly
KR101819113B1 (ko) 광케이블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