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249Y1 -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 Google Patents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249Y1
KR200265249Y1 KR2020010034927U KR20010034927U KR200265249Y1 KR 200265249 Y1 KR200265249 Y1 KR 200265249Y1 KR 2020010034927 U KR2020010034927 U KR 2020010034927U KR 20010034927 U KR20010034927 U KR 20010034927U KR 200265249 Y1 KR200265249 Y1 KR 200265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ngdong
composite cable
cable
separato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순덕
한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엔티
Priority to KR2020010034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249Y1/ko

Links

Landscapes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통신용의 광섬유와 송전용의 동선들이 함께 내설된 광동 복합케이블의 분배(절체)시에 사용되는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에 광섬유 인출구와 동선 인출구를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광섬유와 동선을 서로 섞이지 않게 분리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A separate device for composite cable having coppers and optical fiber}
본 고안은 광통신용의 광섬유와 송전용의 동선들이 함께 내설된 광동 복합케이블의 분배(절체)시에 사용되는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에 광섬유 인출구와 동선 인출구를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광섬유와 동선을 서로 섞이지 않게 분리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통신용 광케이블과 송전용의 동케이블이 별도로 설치 운용되고 있었으나, 각각의 케이블을 별도로 설치 운용해야 하므로 제조 및 설치비용이 증대하고 작업을 이중으로 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과 유지보수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광케이블과 송전용의 동케이블이 함께 내설된 광동 복합케이블이 새로운 대안으로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광동 복합케이블은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케이블의 과도한 굴신을 방지하기 위한 중심인장선(13)이 설치되고 그 외곽으로 다수의 광섬유(12)가 내설된 루즈튜브등이 다수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의 외곽으로 동선(11)들이 설치되며, 최외곽을 케이블 외피(14)가 감싸고 있는 구조가 제안될 수 있다.
물론 광동 복합케이블의 구성형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광섬유와 다수의 동선이 함께 내설되는 여하한 구조도 모두 가능할 것이다.
현재 통신케이블의 중간 분배함이나 중계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광케이블과 이와 별도의 송전케이블이 별도로 인입되어 절체되는 형식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광동 복합케이블의 분배 또는 절체시에는 기존의 케이블 인입부재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광동 복합케이블의 사용시 종래의 케이블 인입부재가 갖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광섬유와 동선을 분리해서 인출할 수 있는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와 체결이 간편한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서로 체결되는 인입분리구와 확장분리구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확장분리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입 분리구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3,도4 및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분리구의 정면도,종단면도 및 평면도
도6과 7은 본 고안에 따른 인입분리구의 정면도와 종단면
도8,도9 및 도10은 본 고안의 전체 조립된 사시도, 그 정면도 및 그 종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이 사용되는 광동 복합케이블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광동 복합케이블 100: 확장분리구
110: 확장분리구 몸체 111: 분리벽
112: 광섬유 인출구 113: 동선 인출구
115: 고정편 120: 분리구간 체결부
200: 인입 분리구 210: 인입분리구 몸체
211: 체결돌기 220: 케이블 고정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확장분리구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입 분리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서로 체결되는 확장분리구와 인입분리구로 구성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하부에 형성되어 광동 복합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220)와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가 통개되어 그 내부로 절피된 광동복합케이블의 심선들이 통과하는 인입몸체(210)로 형성된 인입분리구(200)와,
하부는 상기 인입몸체(21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상하 통개된 분리구간 체결부(120)로 형성(도4 참조)되고 그 상부는 그 내부 공간을 광섬유 인출구(112)와 동선 인출구(113)로 분할하는 분리벽(111)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상하 통개된 확장분리구(100)로 구성된다.
도6 및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입분리구(200)의 케이블 고정부(220)는 양쪽에 볼트공(221)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편(222)을 갖는 반절된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칭되는 형상의 결합구(223)가 상기 케이블 고정부(220)에 체결되어 그 내부에 삽입된 광동 복합케이블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인입분리구(200)의 인입몸체(210)의 양쪽 외벽에는 상하로 길게 돌출된 체결돌기(2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입분리구(200)와 결합되는 확장분리구는 도3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확장분리구(100)의 분리구간 체결부(120)의 양쪽 내벽면에는 상기 인입분리구(200)의 체결돌기(211)가 삽입되는 체결홈(121)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벽(111)의 중앙에는 상하 통개되는 중심인장선 통과공(114)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몸체(110)의 양쪽 외벽면에는 시설물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공(116)이 형성된 고정편(115)을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상기 확장분리구(100)와 인입분리구(200)의 조립된 상태는 도8 내지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입분리구(200)의 인입몸체(210)가 확장분리구(100)의 분리구간 체결부(120)로 삽입되어 체결되되, 상기 인입분리구의 몸체(210)의 체결돌기(211)가 확장분리구(100)의 분리구간 체결부(120)의 체결홈(121)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되게 된다.
상기 분리구간 체결부(120)의 내부는 상하통개된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그 상부의 확장몸체(110)의 내부는 분리벽(111)에 의하여 광섬유 인출구(112)와 동선 인출구(113)의 두개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하방으로 부터 인입된 광섬유와 동선이 각각 별개의 출구를 통하여 인출되게 된다.
즉, 광동 복합케이블의 절피되지 않은 선단부가 케이블 고정부(220)에 고정되어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상부로는 외피(14)가 절피된 상태로 광동 복합케이블 내부의 심선들(광섬유 및 동선)이 인입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상기 심선들은 광섬유와 동선으로 양쪽으로 분리하여 확장 분리구의확장몸체(110)의 내부로 통과하게 한다.
상기 확장몸체의 내부는 분리벽(111)에 의해 광섬유 인출구(112)와 동선 인출구(113)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리된 광섬유와 동선은 각각의 인출구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광섬유와 동선은 각각 서로 섞이지 않고 정리된 상태로 인출되어 광분배반(또는 광 절체반)과 동선 절체반으로 각각 안내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분리구(100)의 확장몸체(110)의 외벽에 형성된 고정편(115)을 설치되는 시설물의 랙등에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고정함으로써 본 고안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11)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심인장선 통과공(114)은 광동 복합케이블의 중심 인장선이 통과하며, 상기 중심인장선 통과공(114)을 통과한 중심 인장선은 시설물의 랙 등에 접지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광동 복합케이블에 가장 적합하게 구성되어 내부의 광섬유와 동선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분리하여 인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케이블 절체작업이나 분배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분리된 내선들을 가지런히 분리하여 정리할 수 있다는 많은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하부에 형성되어 광동 복합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220)와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가 통개되어 그 내부로 절피된 광동복합케이블의 심선들이 통과하는 인입몸체(210)로 형성된 인입분리구(200)와,
    하부는 상기 인입몸체(21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상하 통개된 분리구간 체결부(120)로 형성되고 그 상부는 그 내부 공간을 광섬유 인출구(112)와 동선 인출구(113)로 분할하는 분리벽(111)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상하 통개된 확장분리구(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분리구(200)의 케이블 고정부(220)는 양쪽에 볼트공(221)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편(222)을 갖는 반절된 파이프형상으로 되고, 이에 대칭되는 형상의 결합구(223)가 상기 케이블 고정부(220)에 체결되어 그 내부에 삽입된 광동 복합케이블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입분리구(200)의 인입몸체(210)의 양쪽 외벽에는 상하로 길게 돌출된 체결돌기(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분리구(100)의 분리구간 체결부(120)의 양쪽 내벽면에는 상기 인입분리구(200)의 체결돌기(211)가 삽입되는 체결홈(121)이 형성되고 , 상기 분리벽(111)의 중앙에는 상하 통개되는 중심인장선 통과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몸체(110)의 양쪽 외벽면에는 시설물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공(116)이 형성된 고정편(115)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KR2020010034927U 2001-11-14 2001-11-14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KR200265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27U KR200265249Y1 (ko) 2001-11-14 2001-11-14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27U KR200265249Y1 (ko) 2001-11-14 2001-11-14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249Y1 true KR200265249Y1 (ko) 2002-02-21

Family

ID=7311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27U KR200265249Y1 (ko) 2001-11-14 2001-11-14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2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6588A1 (en) * 2020-07-28 2022-02-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Management device for hybrid c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6588A1 (en) * 2020-07-28 2022-02-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Management device for hybrid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5895B2 (en) Housing for optical components
EP2537056B1 (en) Cable support for distribution boxes, in particular for ftth environments
CN101669057A (zh) 带有保持连接电缆用的固定座的引入终端
US20020036906A1 (en) Enhancements for a suspension, coupling and alignment system and passage for electrical energy cables for fluorescent luminaires
RU2007133646A (ru) Ответвительная промежуточная муфта сверхпроводящего кабеля
WO2001095003A2 (en) Telescoping trough
KR200409251Y1 (ko) 광케이블 단자함
US6201922B1 (en) Sealed equipment box having an access for a cable
KR200265249Y1 (ko) 광동 복합케이블 분리구
KR20038099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100584843B1 (ko)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KR200422298Y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CN204719284U (zh) 一种多用分光分纤盒
RU2632926C2 (ru) Кожух кабель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CN211928265U (zh) 一种便于缠纤收集的光纤盒
KR200350838Y1 (ko)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KR200166995Y1 (ko) 광섬유의 여장판
KR200218431Y1 (ko) 광전력 복합 케이블용 단자함
CN207851376U (zh) 一种端部多模块式光分路器分纤盒
KR102073174B1 (ko) 안전 터미널블록
CN201837752U (zh) 一种光纤分歧盒
CN205484970U (zh) 一种改进型分光分纤盒
KR200261539Y1 (ko) 인입부에 슬롯과 여장판이 구비된 광접속함체
KR200444464Y1 (ko) 광단자함
KR102255089B1 (ko) 광케이블용 광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