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113B1 - 광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113B1
KR101819113B1 KR1020150180358A KR20150180358A KR101819113B1 KR 101819113 B1 KR101819113 B1 KR 101819113B1 KR 1020150180358 A KR1020150180358 A KR 1020150180358A KR 20150180358 A KR20150180358 A KR 20150180358A KR 101819113 B1 KR101819113 B1 KR 101819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box
case
optical cab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030A (ko
Inventor
임채현
Original Assignee
임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현 filed Critical 임채현
Priority to KR102015018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1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광케이블 및 상기 광케이블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장비들을 내장 설치하기 위한 제1내장공간부가 형성된 제1접속함과; 상기 제1접속함의 제1내장공간부와 대응되는 제2내장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1접속함의 후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접속함과;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 각각의 후면에는 상기 제1접속함의 제1내장공간부와 상기 제2접속함의 제2내장공간부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 연통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의 증설 또는 분기시 기존의 광케이블 접속함의 내부와 증설 또는 분기를 위한 접속함 내부의 공간을 서로 연통 및 공유시킴으로써, 확장에 따른 접속함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함{Optical cable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확장에 따른 접속함의 무게와 부피를 감소시키고, 외관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은 복수의 광케이블 클러스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각 광케이블 클러스터는 복수의 광섬유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광케이블은 무한한 길이로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설정된 길이로 제조되어 드럼에 권취되며, 광케이블을 먼 거리까지 설치하기 위해서는 중간 중간에서 이를 연결하여야 한다.
이렇게 광케이블을 중간에서 연결하거나 또는 광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해 광케이블 접속함이 사용되는데,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은 크게 나누어 광케이블이 인입되어 접속되는 제1함체와, 상기 제1함체에 결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필요 시 개방 가능한 제2함체로 구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트레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함체의 양측에는 광케이블을 함체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광케이블 인입구가 형성되고, 양측의 광케이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은 트레이 부분에서 서로 연결 접속되거나 분기된다.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함에서 광케이블 인입구로 인입된 광케이블은 케이블 자체의 장력 등에 의해 항상 함체의 바깥 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며, 이러한 힘으로부터 광케이블의 연결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광케이블 접속함에는 인입된 광케이블을 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의 증설이나 분기시 기설치된 접속함에 또 다른 접속함을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단순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복수의 접속함이 상하로 적층되거나 또는 좌우로 늘어지게 되는 구조이므로, 그 무게와 부피가 배로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이전에 포설된 광케이블과 증설되는 광케이블 또는 분기되는 광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해서는 일 측 접속합의 접속부로부터 타 측 접속함의 접속부로 광케이블이 별도로 더 설치되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KR 10-2002-0077973 A KR 10-2003-000056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케이블의 증설 또는 분기시 기존의 광케이블 접속함의 내부와 증설 또는 분기를 위한 접속함 내부의 공간을 서로 연통 및 공유시킴으로써, 확장에 따른 접속함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설용 광케이블 또는 분기용 광케이블과 기존 포설된 광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광케이블을 접속함 내부에서 접속시키도록 함으로써 접속함 외부로 별도의 광케이블을 노출시키지 않아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 및 상기 광케이블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장비들을 내장 설치하기 위한 제1내장공간부가 형성된 제1접속함과; 상기 제1접속함의 제1내장공간부와 대응되는 제2내장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1접속함의 후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접속함과;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 각각의 후면에는 상기 제1접속함의 제1내장공간부와 상기 제2접속함의 제2내장공간부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 연통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속함의 후면과 상기 제2접속함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통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접속함 및 제2접속함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접속함 또는 상기 제2접속함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2접속함 또는 상기 제1접속함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속함에 대한 상기 제2접속함의 결합위치 또는 상기 제2접속함에 대한 상기 제1접속함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결합위치결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접속함 및 상기 제2접속함 각각의 후면 가장자리로부터 인입되고 상기 제1접속함 및 상기 제2접속함 각각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끼움홈과, 상기 제1접속함의 끼움홈에 일 측이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제2접속함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접속함의 후면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부와, 상기 결합돌기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접속함의 후면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된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개구부는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개구부는 상기 제1접속함 및 제2접속함의 상하 길이방향 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접속함 및 제2접속함의 좌우 길이방향 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에 의하면 광케이블의 증설 또는 분기시 기존의 광케이블 접속함의 내부와 증설 또는 분기를 위한 접속함 내부의 공간을 서로 연통 및 공유시킴으로써, 확장에 따른 접속함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에 의하면 증설용 광케이블 또는 분기용 광케이블과 기존 포설된 광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광케이블을 접속함 내부에서 접속시키도록 함으로써 접속함 외부로 별도의 광케이블을 노출시키지 않아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케이블 접속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1)은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과, 결합부와, 실링부(60)와, 결합위치결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접속함(10)은 광케이블 및 상기 광케이블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자 및 트레이 등을 포함하는 접속장비를 내장 설치하기 위한 제1내장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속함(20)은 상기 제1접속함(10)과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접속함(10)의 제1내장공간부(11)와 대응되는 제2내장공간부(21)가 내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결합부에 의해 후면(31)이 상기 제1접속함(10)의 후면(31)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은 크기, 형상 및 구조 등 모두 동일한 것을 적용한다.
상기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 각각은 제1내장공간부(11) 및 제2내장공간부(21)를 형성하는 본체(30) 및 덮개(40)와,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상기 덮개(4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의 후면(31)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상기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의 결합시 상기 본체(30)들끼리 밀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45)는 본체(30)에 대하여 덮개(40)의 상측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제1내장공간부(11) 및 제2내장공간부(21)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본체(30)와 덮개(40)의 하부 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속함(10)과 상기 제2접속함(20)의 후면(31) 즉, 본체(30)의 후면(31)에는 상기 제1접속함(10)의 제1내장공간부(11)와 상기 제2접속함(20)의 제2내장공간부(21)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 연통개구부(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접속함(10)에 형성된 연통개구부(35)와 제2접속함(20)에 형성된 연통개구부(35)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개구부(35)는 제1접속함(10) 측에서 제2접속함(20) 측으로 광케이블을 진입시키거나 제2접속함(20) 측에서 제1접속함(10) 측으로 광케이블을 진입시킬 수 있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제1접속함(10) 또는 제2접속함(20)으로부터 제2접속함(20) 또는 제1접속함(10)으로 연장되는 광케이블 부분을 제거 또는 생략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 각각은 본체(30)의 후면(31)과 인접하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광케이블을 제1내장공간부(11) 및 제2내장공간부(21)로 인입시키기 위한 광케이블출입부(33)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의 상부에는 와이어 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1)을 걸어두기 위한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케이블출입부(33)와 고리부는 상기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의 정비나 수리시 광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40)에 형성되지 않고 본체(30)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접속함(10)과 상기 제2접속함(20)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접속함(10) 또는 상기 제2접속함(20)의 후면(31)으로부터 상기 제2접속함(20) 또는 상기 제1접속함(10)의 후면(31)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결합볼트(51)와, 상기 결합볼트(5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너트(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의 후면(31) 즉 각각의 본체(30)에는 상기 연통개구부(35)의 가장자리 측을 따라 상기 결합볼트(51)를 통과시키기 위한 결합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본체(30)의 후면(31)에 형성된 연통개구부(35) 주변의 일정 영역에는 후술하는 실링부(60)를 일부분 삽입할 수 있도록 연통개구부(35) 주변을 따라 사각 형상으로 연장된 실링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60)는 상기 제1접속함(10)의 후면(31)과 상기 제2접속함(20)의 후면(3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통개구부(35)를 통해 상기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제1접속함(10)의 본체(30) 후면(31)에 형성된 실링홈(32)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제2접속함(20)의 본체(30) 후면(31)에 형성된 실링홈(32)에 또 다른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결합위치결정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함(10)에 대한 상기 제2접속함(20)의 결합위치 또는 상기 제2접속함(20)에 대한 상기 제1접속함(1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끼움홈(71)와 끼움돌기(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71)는 상기 제1접속함(10) 및 상기 제2접속함(20) 각각의 후면(31) 가장자리로부터 인입되고, 상기 제1접속함(10) 및 상기 제2접속함(20) 각각의 후면(31)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71)은 상기 제1접속함(10)과 상기 제2접속함(20)의 본체(30) 후면(31) 가장자리 주변의 일정 영역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부(41a)와, 상기 인입홈부(41a)를 복수의 끼움홈(71)으로 각각 구획하는 구획리브(41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구획리브(41b)는 덮개(40)의 보강을 위해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72)는 상기 제1접속함(10)의 끼움홈(71)에 일 측이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제2접속함(20)의 끼움홈(71)에 삽입되도록 끼움홈(7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위치결정부의 또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함(10)의 본체(30) 후면(31)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부(73)와, 상기 결합돌기부(73)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접속함(20)의 본체(30) 후면(31)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돌기부(7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된 결합홈부(74)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부(73)는 상기 제1접속함(10) 또는 제2접속함(20)의 본체(30) 후면(31)에 대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 예로, 후면(31) 좌측 상부와 우측 하부 또는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에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구조를 통해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의 결합시 제1접속함(10)의 결합돌기부(73)와 제2접속함(20)의 결합돌기부(73)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위치결정부는 결합볼트(51)와 결합너트(52)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을 결합시키기 이전에 제1접속함(10)과 제2접속함(20)의 결합 위치 즉, 결합구멍들의 위치를 바로잡아 줌으로써 결합부를 통한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은 상기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에 각각 형성되는 연통개구부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6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체(30)의 후면(31)에 제1연통개구부(35a) 내지 제3연통개부구(35c)를 본체(30)의 후면(31) 좌우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개구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의 상하 길이방향 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의 좌우 길이방향 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연통개구부(135)는 광섬유 또는 광섬유 번들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접속함(10) 및 제2접속함(2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통과슬롯(135a)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로 연장된 구조를 통해 광섬유 또는 광섬유 번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속되게 정렬시킬 수 있고,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구조를 통해 광섬유 또는 광섬유 번들을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광섬유 또는 광섬유 번들의 순번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연통개구부는 광섬유 또는 광섬유 번들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제1접속함 및 제2접속함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접속함 및 제2접속함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통과슬롯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로 연장된 구조를 통해 광섬유 또는 광섬유 번들을 상하방향으로 연속되게 정렬시킬 수 있고,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된 구조를 통해 광섬유 또는 광섬유 번들을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접속함
20 : 제2접속함
30 : 본체
31 : 후면
35 : 연통개구부
40 : 덮개부
45 : 힌지부
60 : 실링부
71 : 끼움홈
72 : 끼움돌기
73 : 결합돌기부
74 : 결합홈부

Claims (8)

  1. 광케이블 및 상기 광케이블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장비들을 내장 설치하기 위한 제1내장공간부가 형성된 제1접속함과;
    상기 제1접속함의 제1내장공간부와 대응되는 제2내장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1접속함의 후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접속함과;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제1접속함에 대한 상기 제2접속함의 결합위치 또는 상기 제2접속함에 대한 상기 제1접속함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결합위치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 각각의 후면에는 상기 제1접속함의 제1내장공간부와 상기 제2접속함의 제2내장공간부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 연통개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접속함 및 상기 제2접속함 각각의 후면 가장자리로부터 인입되고 상기 제1접속함 및 상기 제2접속함 각각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끼움홈과, 상기 제1접속함의 끼움홈에 일 측이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제2접속함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의 후면 가장자리 주변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부와, 상기 인입홈부를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리브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함의 후면과 상기 제2접속함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통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접속함 및 제2접속함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접속함 또는 상기 제2접속함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2접속함 또는 상기 제1접속함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개구부는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개구부는 상기 제1접속함 및 제2접속함의 상하 길이방향 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접속함 및 제2접속함의 좌우 길이방향 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KR1020150180358A 2015-12-16 2015-12-16 광케이블 접속함 KR101819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358A KR101819113B1 (ko) 2015-12-16 2015-12-16 광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358A KR101819113B1 (ko) 2015-12-16 2015-12-16 광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030A KR20170072030A (ko) 2017-06-26
KR101819113B1 true KR101819113B1 (ko) 2018-01-16

Family

ID=5928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358A KR101819113B1 (ko) 2015-12-16 2015-12-16 광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1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2309A1 (en) * 2004-05-11 2006-10-05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Convertible fiber closure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2309A1 (en) * 2004-05-11 2006-10-05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Convertible fiber closure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030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3451B2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enclosure
US20200124809A1 (en) Fiber optic enclosure for retrofitting pedestals in the field
CN101263409B (zh) 用于通信线路和接头的护套及管理器
JP2010527463A (ja) 光ファイバの接続及び配線のための筐体
CN102985859A (zh) 可拆卸光纤分接盘
US11815726B2 (en) Fiber optic closure terminals with increased versatility
KR20030051681A (ko) 광섬유 연결 하우징
CN205826927U (zh) 室内外综合布线ftth光纤接续盒
US20140153891A1 (en)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KR101819113B1 (ko) 광케이블 접속함
US20220390675A1 (en) Optical termination and derivation box
CN106405767B (zh) 双层光缆接头盒
US20230296856A1 (en) Telecommunications Boxes With Movable Adapter Holder
CN101539650A (zh) 光纤接入终端
US11226462B2 (en) Fiber connection box for multi-dwelling unit
US20130236151A1 (en) Fiber optics connection box
KR102350854B1 (ko) 단자함
KR200456905Y1 (ko) 광통신 모듈
EP3639073B1 (en) A port sealing device for an optical cable termination box
WO2017133764A1 (en) Splice tray for optical fibers
WO2015066185A1 (en) Fiber optic splice closure
KR101370419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함체체결장치
KR101471960B1 (ko) 광 접속함용 광케이블 분기클립
KR20170060405A (ko) 내부 공간이 분리된 광케이블 접속함
KR101816829B1 (ko) 광케이블 고정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