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914Y1 -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914Y1
KR200166914Y1 KR2019990017144U KR19990017144U KR200166914Y1 KR 200166914 Y1 KR200166914 Y1 KR 200166914Y1 KR 2019990017144 U KR2019990017144 U KR 2019990017144U KR 19990017144 U KR19990017144 U KR 19990017144U KR 200166914 Y1 KR200166914 Y1 KR 200166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ag
fabric
roller
sof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율
백현동
백현철
Original Assignee
박상율
백현동
백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율, 백현동, 백현철 filed Critical 박상율
Priority to KR2019990017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는, 하나는 고정축에 다른 하나는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맞도는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롤러 표면에 연속되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봉지 원단에 따라 연화장치의 롤러를 통과하기 전에 가습처리로 연화효과 증대할 수 있도록 원단에 습기가 닿도록 하는 가습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화된 과실봉지 제조설비와 별도로 과실봉지의 원단을 처리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기존의 제조설비의 라인상 한 부분에서 원단쪽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면 큰 공정부담 없이 부드러운 재질의 과실봉지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과실농사에서 봉지 씌우기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적시에 적은 노력으로 다량의 봉지 씌우기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사과봉지의 경우 겉 봉지 제거시 낙과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Apparatus for softenning envelope which is used for ripening fruit}
본 고안은 과실봉지의 연화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봉지로 과실을 감싸 씌우는 작업을 할 때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봉지를 부드럽게 해주는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실봉지는 과실을 씌워서 감싸주는 봉지이다. 봉지는 대개 두겹의 지면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변은 속을 볼 수 있도록 개방되며 다른 쪽 변들은 속에 든 내용물이 새나가지 않도록 밀봉된 구성물이다. 봉지는 흔히 포장용 재료로 사용되지만 과실봉지는 과실 판매를 위한 포장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과수에 결과가 이루어지고, 과실이 발육하고 성숙하는 과정에서 과실에 바람직한 광량, 온도, 습도 등 환경을 제공하고 외피의 훼손을 방지하며, 잔류농약을 감소시킴으로써 수확될 과실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과실봉지의 사용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몇 가지 과실의 경우, 특히 고급 과실이나 수출용 과실의 경우, 과실봉지의 사용은 보편화 되어 있다. 과실봉지를 사용하는 과실들로 사과, 배, 포도, 복숭아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과실봉지 사용의 주요 원인도 과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공통적으로 언급될 수 있는 것으로 표면 손상의 방지, 저공해 과실의 생산, 외관의 향상 등을 들 수 있고 이차적으로 저장성의 증진을 들 수 있다.
표면 손상의 방지는 과실을 손상시키는 곤충이나 조수가 드러난 과실을 파먹어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하고, 우박과 같은 자연재해나 작업하는 사람의 손길로부터도 표면이 훼손되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이다. 저공해 과실의 생산은 과실이 병원균이나 해충과 접촉할 기회를 줄여 과실의 훼손을 막는 동시에 과실에 직접 농약을 뿌릴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며, 과수에 농약을 뿌릴 때에도 과실에는 직접 농약이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외관의 향상은 소비자들이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품을 보면서 구매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현대의 소비자들은 상품의 외관을 품질의 지표로 보는 경향이 있으므로 점차로 중요해지는 것인데, 과실이 성장한 환경에 따라, 특히 빛에 노출된 양에 따라 과실의 색깔과 윤기가 결정되므로 과실들이 필요한 단계에서 적정한 양의 빛을 쬐도록 하고 발육과 외관에 좋은 온도와 습도 환경을 만들어 주어 최상의 외관을 가지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조건을 만족시켜면서 성장한 과일들은 외피에 상처가 없고 부딪혀 멍이 들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 병원균이 침입하여 부패할 염려가 없고 외피가 내부 과일을 하나의 안정된 계로 만들어 선도를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과일의 보존성이 향상되어 과실을 적절한 시기에 고가로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과실봉지의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과실봉지는 해당 과실의 발육과 성숙에 적당한 환경을 줄 수 있는 형태와 구조 및 특성을 가져야 한다.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 사과봉지와 배봉지의 경우 봉지는 차광성이 크도록 내부를 검은색으로 처리한 통기성이 있는 종이 겉 봉지와 과실의 착색에 적합한 색깔을 가지고 밑이 개방된 형태의 속지를 가지며 적당한 방습 혹은 보습을 위한 파라핀 코팅 등이 사용되고 있다. 사과봉지인 경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시기에 겉 봉지를 제거하고 일정 기간 속지만을 씌워 착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동시에 과일봉지는 봉지 씌우기 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좋아야 한다. 과실봉지는 과실을 보호하므로 과실의 상품성을 좋게 하는 역할과 함께 과실봉지를 씌우지 않았을 때 과실을 보호하기 위해 해야했던 일들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과실봉지를 과실에 씌우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새로운 작업이 생기게 된다. 또한 과실에 대한 봉지 씌우기 작업은 과실 하나하나를 작업자가 일일히 과실봉지로 싸주는 작업이므로 작업량이 많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에서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봉지를 씌우기에 편리하고, 봉지를 씌운 다음 필요에 따라 제거하는 작업도 편리하도록 홈이나 절취선, 접힘 등을 형성시키는 예가 많이 있다.
더우기 과실은 자연 속에서 계절의 변화에 따라 발육 성숙하는 속성을 가지므로 봉지 씌우기 작업의 시간이 지연될 경우에는 작업자는 과실들이 작업에 적합한 어린과일 시기인 2 내지 3 주의 시간을 놓치고, 과실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많은 과실들에 과실봉지를 씌우는 어린 과실꼭지에 영향이 없도록 하면서도 작업의 능률, 속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과실봉지가 작업에 능률적으로 제작되었는가가 과실 봉지 씌우기 작업에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된다.
그런데 종래의 과실봉지를 보면 봉지를 이루는 지질이 부드럽게 접히기 어려우며 질기고 뻣뻣한 느낌을 주는 것이었다. 이런 지질은 표면에 글씨를 쓰거나 일정형태로 접고 오려서 일정 구조물을 만들기에는 다소 편리할 수도 있으나, 봉지의 입구를 벌려 과실을 넣고 다시 과실꼭지 주변으로 입구를 오므려서 철사끈이나 클립으로 밀봉하는 과실 봉지 씌우기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은 점이 많았다. 즉, 뻗뻗한 봉지의 재질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감이 떨어지고 따라서 작업의 능률도 떨어지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봉지의 모서리가 어린 과실과 닿아 과실에 상처가 생기거나 낙과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과실봉지의 원단으로 부드러운 천이나 다른 고가의 종이를 사용할 수도 없는 것이어서 기존의 봉지재료로 사용되는 봉지 원단을 사용하면서도 작업감을 높일 수 있는 과실봉지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도 과실봉지의 입구부분에서 아래로 일정 간격을 세로로 접히는 줄을 형성하는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부드러운 작업감으로 능률을 높이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고, 세로로 접히는 줄을 형성하는 것도 다소 번거로움이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과실의 봉지 씌우기 작업에서 작업감을 좋게하고 따라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실봉지를 제조하기 위해 과실봉지 제조과정에서 봉지의 전면에 대한 연화처리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서 한 쌍의 롤러가 맞닿는 부분을 롤러 축을 지나는 면으로 잘라서 확대하여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3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지지대 12,13: 축
14,15: 롤러 16,17: 기어
18: 벨트 풀리 19: 벨트
20: 원단 21: 홈
22: 스프링 23: 블럭부재
24: 조정볼트 25: 마감부재
30: 원단 롤러 31: 스팀
32: 스팀분사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는, 하나는 고정축에 다른 하나는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맞도는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롤러 표면에 연속되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홈은 피치가 1mm 내지 수 mm, 홈의 높이도 수 mm 정도로 형성되며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을 이루는 산과 골은 크랭크 모양이나 톱니모양과 같이 각이지게 형성되면 봉지 원단에 파손이 생길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쌍을 이루는 롤러의 표면에는 각각 홈을 형성하되 롤러의 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한다.
본 고안에는 봉지 원단이 롤러를 통과하기 전에 가습처리를 받을 수 있도록 원단에 습기를 닿게 하는 가습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습기는 원단이 습기를 보다 빨리 흡수할 수 있도록 열을 가지고 있는 수증기의 형태가 더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고정된 지지대(11)에 수평으로 2 개의 축(12,13)이 형성되어 있고 각 축에는 롤러(14,15)가 설치되어 서로 마주닿아 돌도록 형성되어 있다. 롤러(14,15)의 표면에는 원단(20)이 통과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홈(21)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위쪽의 롤러(15)와 아래쪽 롤러(14)는 각각에 형성된 홈(21)이 도2의 단면 확대도와 같이 서로 맞물려 있다. 여기서 도2는 본 고안에서 한 쌍의 롤러가 맞닿는 부분을 롤러 축을 지나는 면으로 잘라서 확대하여 본 확대 단면도이다. 설치된 각 축(12,13)에는 롤러와 별도로 서로 맞물리도록 기어(16,17)가 설치되어 있고 2 개의 축 가운데 아래쪽의 축(12)은 지지대(11)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끝단에는 벨트 풀리(1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동력을 벨트(19)를 통해 전달받아 아래쪽 롤러(14)가 돌면서 기어(17)가 위쪽 축(13)에 동력을 전달하여 위쪽 롤러(15)가 아래쪽 롤러(14)와는 반대로 돌게 한다. 결국, 한쌍의 기어(16,17)와 한쌍의 롤러(14,15)는 서로 마주 닿아 돌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장치에서 반드시 롤러 축에 동력을 별도로 전달하는 장치가 구비될 필요는 없다. 가령 원단(20)을 앞쪽에서 당기는 힘이 있다면 원단과 롤러(14,1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도 원단(20)이 앞으로 당겨지면서 롤러(14,15)가 돌면서 원단(20)을 압착할 수 있다. 원단(20)이 두 롤러(14,15) 사이를 통과하면 아래쪽 롤러(14)의 축(12)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변동이 없고 위쪽의 롤러 축(13)은 스프링(22)에 의해 고정되므로 스프링(22)이 다소 변형되면서 봉지 원단(20)의 두께에 따라 조금 축(13)이 올라간다. 그리고 봉지 원단(20)은 롤러(15)의 무게와 변형된 스프링(22)이 복원하려는 힘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서 롤러(14,15) 사이를 눌려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내용은 도3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를 보면 보다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봉지 원단(20)은 원단 롤러(30)에 감겨있다가 공급되거나 다른 봉지 제조장비의 부분을 거쳐 공급되여 본 고안 실시예의 롤러(14,15) 사이에 투입되기 전에 가습분사구(32)를 거치게 된다. 가습분사구(32)에서는 에어졸 형태의 습기 혹은 고온의 스팀(31)을 봉지 원단(20)에 쬐어 봉지 원단의 미세한 펄프들의 결합이 근본적인 물성의 변화 없이 늘여질 수 있도록 펄프 조직의 결합력을 느슨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롤러(14,15) 사이로 들어간 봉지 원단(20)은 롤러(14,15)의 회전에 따라 롤러 표면에 형성된 위 아래로 서로 이가 물려있는 홈(21)의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평면으로 된 원단(20)이 홈(21)에 물려 전체적으로 원단(20)이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되는 롤러 축(12,13) 방향으로 원단(20)을 늘리려는 힘을 받게 된다. 롤러(14,15)에 형성된 홈(21)의 굴곡이 심하지 않으므로 찢어지는 정도까지 힘을 받지는 않아도 원단(20)을 이루는 펄프의 조직이, 특히 원단이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많이, 변형되고 풀어져서 원단을 이루는 종이의 조직이 약화된다. 따라서 원단(20)에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구부러지고 접히게 되며 작업자의 느낌에 부드럽게 느껴지게 되고 이 원단으로 만든 과실봉지에서 과실봉지 입구를 열고 밀봉하기 위해 과실꼭지쪽으로 봉지를 오무릴 때 별다른 저항이 없이 쉽게 오무려지고 다시 펴지려는 속성도 적어 쉽게 밀봉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봉지의 전체부분이 롤러처리를 통해 연화되어 있으므로 부분적으로 연화된 봉지의 경우보다 훨씬 쉽게 작업자가 봉지 씌우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대개 롤러 홈(21)은 롤러(14,15)의 축(12,13)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롤러(14,15)를 거쳐 빠져나오는 봉지 원단(20)에서 원단이 통과하는 방향으로 눌려진 줄이 형성이 된다. 이 줄은 롤러(14,15)를 나오면서 과실봉지 제조과정을 통해 외관으로는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봉지는 이 원단(20)을 나오는 방향과 수직으로 끊어 사용하게 되므로 완성된 과실봉지의 세로방향으로 눌려진 줄이 생기도록 가공하는 형태가 된다. 롤러(14,15)의 홈(21)은 롤러 축(12,13)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봉지는 원단(20)에서 눌려진 줄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서 두 롤러 축이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벨트(19)에 의해 구동이 되는 아래 축(12)은 지지대(11)에 베어링을 통해 고정되며, 위 축(13)은 지지대(11)에 홈을 내어 형성한 가이드 레일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블럭부재(23)에 베어링을 통해 고정된다. 가이드 레일의 길이는 가이드 레일 위쪽 단을 막고있는 마감부재(25)에 밖으로 설치된 조정볼트(24)를 통해 조절될 수 있으며, 마감부재(25)와 블럭부재(23) 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조정볼트(24)를 풀면 마감부재(25)가 조금 위로 이동하므로 압축코일 스프링(22)의 압축력이 조금 떨어지고 작업시 원단(20)에 주어지는 압력은 조금 줄어들게 된다. 블럭부재(23)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캠과 연결된 레버가 설치되어 레버를 당기면 블럭부재(23)에 대해 캠이 돌아가 블럭부재(23)를 가이드 레일의 위쪽 끝단으로 고정시키고 위쪽 롤러(15)를 올림으로써 마주보는 롤러(14,15) 사이를 벌려 롤러 사이에 원단(20)을 끼우거나 수리하는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예에서는 과실봉지의 원단을 연화처리하는 것에 대해서 주로 설명이 되었으나 이는 이미 완성된 과실봉지를 연화처리하는 것을 배재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과실봉지에서 주로 연화처리가 필요한 부분은 겉 봉지가 될 것이나 과실봉지는 겉 봉지에 속지를 넣어서 작업하는 것이고, 속지도 부드러운 것이 작업에는 더 바람직한 것이므로 겉 봉지와 속 봉지를 모두 각각으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연화처리할 수도, 혹은 과실봉지를 형성한 상태에서 함께 연화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과실봉지의 원단 전면에 대한 연화처리를 주로 전제하는 것이므로 롤러에서의 홈의 형성폭은 봉지 원단의 폭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인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는 기존의 기계화된 과실봉지 제조설비와 별도로 과실봉지의 원단을 처리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기존의 제조설비의 라인상 한 부분에서 원단쪽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면 큰 공정부담 없이 부드러운 재질의 과실봉지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과실농사에서 봉지 씌우기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적시에 적은 노력으로 봉지 씌우기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4)

  1. 하나는 고정축에 다른 하나는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맞도는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롤러 표면에 연속되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전단에 과실봉지 원단을 가습처리하기 위한 가습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KR2019990017144U 1999-08-19 1999-08-19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KR200166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44U KR200166914Y1 (ko) 1999-08-19 1999-08-19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44U KR200166914Y1 (ko) 1999-08-19 1999-08-19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914Y1 true KR200166914Y1 (ko) 2000-02-15

Family

ID=1958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144U KR200166914Y1 (ko) 1999-08-19 1999-08-19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9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021B1 (ko) 2010-02-11 2011-10-06 전미진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021B1 (ko) 2010-02-11 2011-10-06 전미진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04153T2 (de) Hermetische Umhüllung für Nahrungsmittel, entsprechendes Verfahren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
DE1692210A1 (de) Verfahren zur Verpackung verderblicher Erzeugnisse
CA2647918C (en) Coir fibre rope, plant liner, pot and insulating product
DE1692211A1 (de) Verfahren zum Verpacken verderblicher Erzeugnisse
US20020146528A1 (en) Method of using a floral package
KR200166914Y1 (ko)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KR101368207B1 (ko) 주름부를 갖는 원터치형 과일봉지
CA2919565C (en) Ribbon decor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green fibrous plant stalks
JP2881601B2 (ja) 葡萄用果実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48588B1 (ko) 과실 보호용 포장 봉지
CN208439468U (zh) 一种空心李包膜保鲜机
KR20040010439A (ko) 과실봉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것에 사용되는연화처리 장치
CN206782205U (zh) 一种具有防鼠功能的奶茶袋封口装置
KR200328610Y1 (ko) 원터치형 과일봉지
KR100541941B1 (ko)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WO2012019247A1 (en) Producing a veneer
KR200210377Y1 (ko) 합성수지재 끈봉투
KR200185732Y1 (ko) 과실 및 포도 보호용 봉투
JP7481760B2 (ja) 果実袋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DE863446C (de)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ichkaese, insbesondere Chesterkaese
CN219628502U (zh) 一种水果套袋
KR200299304Y1 (ko) 과채류 보호봉지
CN209693622U (zh) 一种农业生产育苗用地膜覆盖装置
KR200200089Y1 (ko) 과수봉투
CN213187423U (zh) 临武柚雷公1号越冬贮藏保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616

Effective date: 200506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708

Effective date: 200604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