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021B1 -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 Google Patents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021B1
KR101071021B1 KR1020100013003A KR20100013003A KR101071021B1 KR 101071021 B1 KR101071021 B1 KR 101071021B1 KR 1020100013003 A KR1020100013003 A KR 1020100013003A KR 20100013003 A KR20100013003 A KR 20100013003A KR 101071021 B1 KR101071021 B1 KR 10107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umectant
container
moisture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141A (ko
Inventor
전미진
Original Assignee
전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미진 filed Critical 전미진
Priority to KR102010001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0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9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including harvesting or planting or other numerous miscellaneous processing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 씌우기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유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완료된 봉지를 습윤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봉지를 정리하여 습윤용기를 구성하는 외부용기의 내부에 수납되는 내부용기에 적재하여 준비하고, 상기 내부용기에 적재된 봉지에 습윤제를 투습 처리하고, 투습처리 한 습윤용기를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습윤제가 봉지에 침투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DAMP PROCESSING METHOD FOR FRUIT PROTECTION PAPER BAG}
본 발명은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봉지의 입구 또는 봉지 전체에 습윤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습윤처리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과일 보호용 봉지는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과 같은 과일이 어느 정도 성장한 상태에서 벌레나 곤충과 같은 유해한 해충 및 조류에 의하여 쉽게 손상을 입게 된다.
또한, 과일이 성장한 상태에서 수확시기에 직사광선의 영향을 과다하게 받을 경우에는 과일 표면의 손상 또는 기형적인 성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해충이나 조류 및 직사광선으로부터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성장이 이루어진 과일은 과일보호용 봉지를 이용하여 수용하고 그 입구는 결속수단으로 묶어 줌으로서 과일의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직사광선과 조류 및 해충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과일보호용 봉지는 착색되고 입구를 가지면서 이중으로 된 봉지 내부에 보호하고자 하는 과일을 수용시킨 후 입구를 결속선을 이용하여 단속하여 줌으로서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과일 보호용 봉지는 과일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결속선을 이용하여 봉지의 입구를 단속하여도 봉지가 건조한 상태에서 발수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봉지의 입구 부위가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이루지 못하고 많은 공간을 가지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결속불량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결속부위에 습윤처리를 수행하여 결속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습윤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봉지를 일렬로 배열하여 이송하도록 하고, 이송되는 봉지의 상부에서 습윤제를 분무하여 봉지의 결속부위에 습윤제가 도포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습윤제를 분무해도 봉지 표면이 발수 처리되어 있어 습윤제가 바로 침투하지 못하고 봉지의 표면에서 비산 되기 때문에 습윤제가 봉지에 정상적으로 침투하여 습윤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봉지가 이송될 때 습윤제가 도포 되기는 하나 봉지의 표면에 발수코팅 처리가 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분사되는 습윤제가 봉지로 침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습윤제 도포장치 자체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불필요한 습윤장치의 설치에 따르는 추가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는 등 봉지 제조에 있어 원가 상승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봉지를 완성한 후 포장하기 전 정렬한 상태에서 습윤장치로 공급되어 습윤처리 된 후에는 다시 봉지를 재정렬하여 포장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정의 추가와 더불어 부수적인 봉지정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의 투입이 필요하고 이로 인한 봉지 제조원가 상승의 또 다른 원인이 된다.
습윤제를 이송하는 봉지 위에 분사할 때 일정한 양을 고르게 분사하기는 하나 이송상태 등에 따라 분사량이 균일하지 못하고 봉지의 상태에 따라 분사된 습윤제가 봉지 내부로 침투하는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습윤처리 완료된 봉지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습윤제의 처리상태가 원활하지 못하고 습윤제의 침투상태가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봉지를 사용할 때 결속부위가 부드럽게 처리되지 못한 경우가 많아 종래와 같이 결속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결속 후에도 결속부위에 발생하는 틈을 통하여 유해충이 침투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못 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제조완료된 봉지를 습윤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봉지를 정리하여 습윤용기를 구성하는 외부용기의 내부에 투습, 투기 되지 않도록 처리하여 수납되는 내부용기에 적재하여 준비하고, 상기 내부용기에 적재된 봉지에 습윤제를 투습 처리하고, 투습 처리 한 습윤용기를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습윤제가 봉지에 침투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봉지 씌우기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유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과일보호용 봉지의 입구(결속부위) 또는 봉지 전체에 습윤처리를 수행하는 습윤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습윤처리된 봉지를 결속할 때 부드러운 상태로 접혀져 입구가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이루어 유해충 등이 봉지 내부로 침입할 수 없도록 함으로서 과일보호의 근본적인 목적을 달성하면서 수확성을 향상시켜 농가 일손을 돕고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1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2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3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4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5예의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1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2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3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4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처리상태를 도시한 5예의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은 제조완료된 봉지(100)를 습윤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봉지(100)를 정리하여 습윤용기(101) 에 적재하여 준비하고, 습윤용기(101)에 적재된 봉지(100)에 습윤제를 투습 처리한 후 습윤용기(101)를 밀봉하여 투습 처리된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완성한다.
상기 습윤처리 할 봉지(100)를 적재하는 습윤용기(101)는 봉지(100)를 적재하기 용이한 상부가 개방된 상자 또는 박스와 같은 외부용기(102)의 내부에 방습(투습 또는 투기 되지 않도록) 처리한 내부용기(103)를 수용시킨 후 내부용기(103) 내부에 봉지(100)를 적재하여 습윤처리 할 준비를 하면 된다.
상기 외부용기(102)는 봉지(100)를 출하하는 데 사용하는 포장용 박스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습윤처리 후 별도의 포장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효율적일 수 있으며, 내부용기(103)는 습윤처리 후 진공상태로 밀봉처리할 수 있는 포장용 비닐봉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봉지(100)를 내부용기(103) 내부에 적재시에는 봉지(100)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또는 습윤제의 처리 상태에 따라 눕힌 상태의 적재 또는 세운 상태의 적재 등 다양한 형태로 적재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부용기(103) 내부에 적재된 봉지(100)로의 습윤제의 투습은 봉지(100) 방향으로 습윤제를 분무(Spray)시켜 봉지(100) 전체가 습윤처리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봉지(100)의 적재 위치와는 관계없으며 분무 되는 습윤제의 양을 조절하여 습윤제가 봉지(100) 전체에 삼투 작용에 의하여 고르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내부용기(103)에 봉지(100)를 모두 적재한 후 습윤제를 분무할 경우에는 하측에 위치한 봉지(100)에는 습윤제가 미치지 못하게 되므로 봉지(100)를 적재하면서 순차적으로 습윤제를 분무하여 내부용기(103)에 적재되는 봉지(100) 전체에 고르게 습윤제가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봉지(100)를 한 매 한 매마다 습윤제를 분무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한번에 다량(100∼200매 정도)의 봉지(100)를 적재한 상태에서 습윤제를 분무하는 형태를 수회(대략 3∼4회) 반복함으로써 건조 상태의 봉지(100) 전체가 서서히 습윤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봉지(100)로의 습윤제 투습의 다른 예로서는, 내부용기(103)의 바닥면에 봉지(100)를 일정량 누운 상태로 적재하고, 적재된 봉지(100) 위에 함침시트(104)를 적재하고, 상기 함침시트(104) 위에 다시 봉지(100)를 적재하는 것을 반복하고, 함침시트(104)에 처리된 습윤제가 봉지(100)로 침투하여 습윤처리되도록 한다.
상기 봉지(100)로의 습윤제 투습의 또 다른 예로서는, 내부용기(103)에 봉지(100)를 직립 된 상태로 배열하여 결속부위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 결속부위에 습윤제를 처리한 함침시트(104)를 적재함으로써, 함침시트(104)의 습윤제가 결속부위로 침투하여 습윤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함침시트(104)는 액상의 습윤제를 충분하게 흡수하여 서서히 방출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습윤제에는 살균 및 살충제를 포함시켜 혹여 있을 수 있는 유해균이나 유해충이 봉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원천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봉지(100)로의 습윤제 투습의 또 다른 예로서는, 내부용기(103)의 바닥면에 함침시트(104)를 배치하고, 상기 함침시트(104)의 상면에 결속부위가 위치하도록 봉지(100)를 배열하여 함침시트(104)의 습윤제가 결속부위로 침투하여 습윤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봉지(100)로의 습윤제 투습의 또 다른 예로서는, 습윤용기(101)를 구성하는 외부용기(102)에 많은 수의 통습구(110)를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봉지(100)를 외부용기(102)에 수용시키고, 이러한 다수개의 외부용기(102)를 밀폐된 공간(111)에 다단으로 적재한 후 강제 또는 반강제로 습윤제를 가습형태로 제공하여 소정의 시간 동한 습윤처리 한다.
상기와 같이 습윤처리된 봉지(100)를 방습처리된 내부용기(103)에 수용하여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포장하여 과일보호용 봉지(100)를 습윤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과일보호용 봉지(100)는 봉지(100)를 완료하여 포장하는 과정에서 포장용 상자로 사용되는 외부용기(102)의 내부에 방습처리하여 수용시킨 내부용기(103)에 봉지(100)를 적재하면서 습윤제를 투습처리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습윤제가 투습처리 한 후 내부용기(103)를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출하함으로써, 출하과정 또는 출하대기 상태 또는 출하한 후 농가에서 과일에 씌우기 작업을 수행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습윤제가 봉지(100)로 침투하여 봉지(100) 전체 또는 봉지의 결속부위가 습윤처리되어 부드러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부용기(103)로부터 봉지(100)를 인출하여 과일을 보호하기 위하여 씌우는 작업을 수행할 때 봉지(100) 전체 또는 봉지(100)의 결속부위가 습윤상태에 있으므로 유연성을 가지게 되므로 결속하는 과정에서 봉지(100)의 입구가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입구를 통하여 유해충이 침투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봉지(100)를 이용하여 과일 씌우기 작업이 종료된 후 일정시간 경과 하면 외부환경(바람이나 햇빛 등)에 의하여 습윤제가 증발하여 습윤 처리하지 않은 상태의 봉지(100)와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봉지(100)는 습윤제로 습윤 처리된 봉지(100)의 입구 또는 봉지(100) 전체가 촉촉하여 부드러운 상태에 있으므로 봉지(100) 씌우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봉지(100)가 유연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봉지 내부에 과일을 수용시킨 후 입구를 밀착시키면 긴밀한 상태의 밀착이 이루어져 공간이나 틈이 없어지게 되므로 유해충이 봉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습윤제를 봉지에 직접 분무 또는 함침시트에 처리할 때에는 상온보다 높은 온도(약 60∼80℃)를 유지하도록 할 경우에는 습윤제가 봉지에 더욱 용이하게 침투하여 습윤처리되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100; 봉지
101; 습윤용기
102; 외부용기
103; 내부용기
104; 함침시트

Claims (5)

  1. 제조완료되어 정리된 봉지(100)를 습윤용기(101)를 구성하는 외부용기(102)의 내부에 수납되고 방습처리된 내부용기(103)에 적재하고;
    상기 내부용기(103)에 적재된 봉지(100)에 습윤제를 분무하는 것을 반복하여 투습 처리하고;
    투습처리 한 내부용기(103)를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습윤제가 봉지(100)에 침투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2. 제조완료되어 정리된 봉지(100)를 습윤용기(101)를 구성하는 외부용기(102)의 내부에 수납되고 방습처리된 내부용기(103)에 누운 상태로 적재하여 준비하고;
    적재된 봉지(100) 위에 습윤제 처리된 함침시트(104)를 적재하는 것을 반복하여 투습처리 하고;
    투습처리 한 내부용기(103)를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습윤제가 봉지(100)에 침투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3. 제조완료되어 정리된 봉지(100)를 습윤용기(101)를 구성하는 외부용기(102)의 내부에 수납되고 방습처리된 내부용기(103)에 직립상태로 배열하고;
    배열된 봉지(100)의 상측에 함침시트(104)를 적대하여 결속위치에 투습처리 하고;
    투습처리 한 내부용기(103)를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습윤제가 봉지(100)에 침투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4. 습윤용기(101)를 구성하는 외부용기(102)의 내부 바닥에 함침시트(104) 배치하고;
    상기 함침시트(104) 위에 제조완료되어 정리된 봉지(100)를 결속위치가 함침시트 방향으로 향하도록 역 직립상태로 배열하여 투습처리 하고;
    투습처리 한 내부용기(103)를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습윤제가 봉지(100)에 침투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5. 습윤용기(101)를 구성하는 외부용기(102)에 많은 수의 통습구(110)를 형성하여 봉지(100)를 수용시키고;
    상기 외부용기(102)를 밀폐된 공간(111)에 다단 적재한 후 강제 또는 반강제로 습윤제를 제공하여 습윤처리 하고;
    습윤처리된 봉지(100)를 방습처리된 내부용기(103)에 수용하여 습윤제가 휘발 되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습윤제가 봉지(100)에 침투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KR1020100013003A 2010-02-11 2010-02-11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KR101071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03A KR101071021B1 (ko) 2010-02-11 2010-02-11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03A KR101071021B1 (ko) 2010-02-11 2010-02-11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41A KR20110093141A (ko) 2011-08-18
KR101071021B1 true KR101071021B1 (ko) 2011-10-06

Family

ID=4492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03A KR101071021B1 (ko) 2010-02-11 2010-02-11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0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914Y1 (ko) 1999-08-19 2000-02-15 박상율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KR100607076B1 (ko) 2006-02-23 2006-08-01 최영봉 물티슈 제조방법 및 제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914Y1 (ko) 1999-08-19 2000-02-15 박상율 과실봉지 연화처리 장치
KR100607076B1 (ko) 2006-02-23 2006-08-01 최영봉 물티슈 제조방법 및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41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305B2 (en) Flexible ultra-low permeability transport system and method
MX2011000266A (es) Redes impregnadas con insecticidas y su uso para la proteccion contra parasitos.
CN108529016B (zh) 一种自调节内环境的叶菜保鲜储运箱及其使用方法
Villers et al. Development of hermetic storage technology in sealed flexible storage structures
Mutambuki et al. Efficacy of different hermetic bag storage technologies against insect pests and aflatoxin incidence in stored maize grain
KR101046456B1 (ko) 훈증용 백
KR101071021B1 (ko) 과일보호용 봉지 습윤방법
Dadlani et al. Seed storage and packaging
KR101183103B1 (ko)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CN107980745A (zh) 提高白蚁诱集性能的饵木制备法
US20230322473A1 (en) Method for protecting plant products during transport, and corresponding treatment device
KR101842445B1 (ko)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벌채목 훈증 방제 박스
CN104429758B (zh) 一种利用植物纤维培育树苗的方法
Aksoy et al. Effect of postharvest carbon dioxide application on storage pests and fruit quality of dried figs
CN205794702U (zh) 一种复合式减震果蔬保鲜垫
TWM529359U (zh) 套袋組合結構
Finkelman et al. New prospects for ethyl formate as a fumigant for the date industry.
van S Carbon dioxide fumigation of processed dried vine fruit (sultanas) in sealed stacks
FI129519B (fi) Menetelmä taimien suojaamiseksi kasvituholaisilta
CN105904796A (zh) 一种龙眼保鲜纸的应用
CN107853389A (zh) 一种甘薯储藏保鲜方法
Likhayo et al. Combined effect of hermetic bag and insect resistant variety for the control of larger grain borer and maize weevil in stored maize
EP3104681B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pplication of a liquid medium to seedlings
Singh Thakran Modelling a Cocoa Supply Chain: Specific Problems and Their Countermeasures
KR101421107B1 (ko) 유기질문화재의 친환경성 생물방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