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833Y1 - 낚시용 뜰채 - Google Patents

낚시용 뜰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833Y1
KR200166833Y1 KR2019990015647U KR19990015647U KR200166833Y1 KR 200166833 Y1 KR200166833 Y1 KR 200166833Y1 KR 2019990015647 U KR2019990015647 U KR 2019990015647U KR 19990015647 U KR19990015647 U KR 19990015647U KR 200166833 Y1 KR200166833 Y1 KR 200166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owers
tower
folded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기
Original Assignee
이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기 filed Critical 이영기
Priority to KR2019990015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8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줄의 낚시바늘에 낚인 큰물고기를 뜨서 물밖으로 올리기 위한 뜰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직경이 점차 작은 여러개의 망대를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제일 선단의 망대에는 뜰망을 고정한 지지틀을 고정하여서 된 낚시용 뜰채가 여러 종류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길게 전개시킨 여러개의 망대를 작은부피로 절첩시에는 순전히 인력에 의하여 절첩시키게 됨으로 많은 번거러운 불편이 따르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 망대는 경사상으로 형성하여 길게 전개시킬 시에는 각 망대가서로 경사면에 꽉 끼여지게하여 빠짐을 방지토록하여서 된 것이기 때문에 작은부피로 절첩시에는 꽉 끼인 각 망대를 처음 힘을 주어 슬라이드시켜야하게 됨으로 모터에 의한 자동화절첩구조로 구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력에 의하여 길게 전개시킨 각 망대(1)(2)(3)(4)(5)를 모터(11)의 작동에 의하여 간단히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의 목적달성을 위한 구조적인 특징은 직경이 상이한 여러개의 망대(1)(2)(3)(4)(5)를 서로 절첩되게 조립하여 망대(5)에는 손잡이(6)와 멜빵(7)을 고정하고, 망대(1)에는 나사관(8)을 고정하여 뜰망(10)을 고정한 지지틀(9)의 볼트(9')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망대(1)(2)(3)(4)(5)는 직선으로 형성하여 빠짐방지와 서로 절첩시키기 위한 걸림턱(101)(102)(201)(202)(301)(302)(401)(402)(501)(502)을 형성하고, 마개(6')로 개폐시키게 된 손잡이(6)의 내에는 축(11')에 릴(12)을 고정한 모터(11)와 건전지홀더(13)를 고정하고,
상기의 릴(12)에는 망대(1)의 나사관(8)에 고정한 작동끈(14)을 고정하여 스위치(15)로 모터(11)를 작동시켜 작동끈(14)을 릴(12)에 감기게하여 길게 전개된 망대(1)(2)(3)(4)를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뜰채{FISHING TACKLE}
본 고안은 낚싯줄의 낚시바늘에 낚인 큰물고기를 뜨서 물밖으로 올리기 위한 뜰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직경이 점차 작은 여러개의 망대를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제일 선단의 망대에는 뜰망을 고정한 지지틀을 고정하여서 된 낚시용 뜰채가 여러 종류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길게 전개시킨 여러개의 망대를 작은부피로 절첩시에는 순전히 인력에 의하여 절첩시키게 됨으로 많은 번거러운 불편이 따르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 망대는 경사상으로 형성하여 길게 전개시킬 시에는 각 망대가서로 경사면에 꽉 끼여지게하여 빠짐을 방지토록하여서 된 것이기 때문에 작은부피로 절첩시에는 꽉 끼인 각 망대를 처음 힘을 주어 슬라이드시켜야하게 됨으로 모터에 의한 자동화절첩구조로 구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력에 의하여 길게 전개시킨 각 망대(1)(2)(3)(4)(5)를 모터(11)의 작동에 의하여 간단히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의 목적달성을 위한 구조적인 특징은 직경이 상이한 여러개의 망대(1)(2)(3)(4)(5)를 서로 절첩되게 조립하여 망대(5)에는 손잡이(6)와 멜빵(7)을 고정하고, 망대(1)에는 나사관(8)을 고정하여 뜰망(10)을 고정한 지지틀(9)의 볼트(9')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망대(1)(2)(3)(4)(5)는 직선으로 형성하여 빠짐방지와 서로 절첩시키기 위한 걸림턱(101)(102)(201)(202)(301)(302)(401)(402)(501)(502)을 형성하고, 마개(6')로 개폐시키게 된 손잡이(6)의 내에는 축(11')에 릴(12)을 고정한 모터(11)와 건전지홀더(13)를 고정하고,
상기의 릴(12)에는 망대(1)의 나사관(8)에 고정한 작동끈(14)을 고정하여 스위치(15)로 모터(11)를 작동시켜 작동끈(14)을 릴(12)에 감기게하여 길게 전개된 망대(1)(2)(3)(4)를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을 길게 뺀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5 : 망대
101,201,301,401,501 : 걸림턱
102,202,302,402,502 : 걸림턱
6 : 손잡이
6' : 마개
7 : 멜빵
8 : 나사관
9 : 지지틀
9' : 볼트
10 : 뜰망
11 : 모터
11' : 축
12 : 릴
13 : 건전지홀더
14 : 작동끈
15 : 스위치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여러개의 망대(1) (2)(3)(4)(5)를 서로 절첩되게 조립하여 망대(5)에는 손잡이(6)와 멜빵(7)을 고정하고, 망대(1)에는 나사관(8)을 고정하여 뜰망(10)을 고정한 지지틀(9)의 볼트(9')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망대(1)(2)(3)(4)(5)는 직선으로 형성하여 빠짐방지와 서로 절첩시키기 위한 걸림턱(101)(102)(201)(202)(301)(302)(401)(402)(501)(502)을 형성하고, 마개(6')로 개폐시키게 된 손잡이(6)의 내에는 축(11')에 릴(12)을 고정한 모터(11)와 건전지홀더(13)를 고정하고,
상기의 릴(12)에는 망대(1)의 나사관(8)에 고정한 작동끈(14)을 고정하여 스위치(15)로 모터(11)를 작동시켜 작동끈(14)을 릴(12)에 감기게하여 길게 전개된 망대(1)(2)(3)(4)를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망대(2)(3)(4)의 걸림턱(201)(301)(401)의 일부를 도4와 같이 외부로 돌출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미설명부호 8'는 나사관(8)의 구멍이고
14'는 작동끈의 매듭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낚싯줄의 낚시바늘에 낚인 물속의 큰물고기를 뜰망(10)으로 뜨올리고자 할 때는 각 망대(1)(2)(3)(4)를 손으로 길게 뽑아 사용하게 됨은 종래와 동일한 바,
상기에 있어 본 고안은 각 망대(1)(2)(3)(4)(5)에는 걸림턱(102)(201)(202) (301)(302)(401)(402)(501)을 형성하였으므로 걸림턱(102)은 걸림턱(201)에, 걸림턱(202)은 걸림턱(301)에, 걸림턱(302)은 걸림턱(401)에, 걸림턱(402)은 걸림턱(501)에 도3과 같이 걸여져 외부로 빠짐이 방지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각 망대(1)(2)(3)(4)를 작은부피로 절첩코져 할 때는 스위치(15)를 작동시키면 모터(11)가 작동함과 동시에 모터(11)의 축(11')에 고정된 릴(12)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릴(12)에 감기는 작동끈(14)에 의하여 각 망대(1)(2)(3)(4)는 절첩되게 되는데, 이 때 절첩순서는 작동끈(14)의 단부가 고정된 망대(1)가 먼저 당기게되고, 다음 망대(2)(3)(4)의 순으로 절첩되게 되며,
이 때 각 망대(1)(2)(3)(4)(5)는 직선으로 형성되었으므로 각 망대(1)(2) (3)(4)는 작동끈(14)의 당김에 의한 이동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한손에는 낚싯대를 잡은 상태에서도 뜰채의 각 망대(1)(2)(3)(4)를 용이하게 절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직선으로 형성하고 걸림턱(101)(102)(201)(202) (301)(302)(401)(402)(501)(502)을 형성하여 절첩되게 구성한 각 망대(1)(2)(3) (4)(5)를 길게 전개시킨 상태에서 모터(11)의 작동에 의한 작동끈(14)의 당김력에 의하여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게 됨으로 종래의 수동뜰채에 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경이 상이한 여러개의 망대(1) (2)(3)(4)(5)를 서로 절첩되게 조립하여 망대(5)에는 손잡이(6)와 멜빵(7)을 고정하고, 망대(1)에는 나사관(8)을 고정하여 뜰망(10)을 고정한 지지틀(9)의 볼트(9')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망대(1)(2)(3)(4)(5)는 직선으로 형성하여 빠짐방지와 서로 절첩시키기 위한 걸림턱(101)(102)(201)(202)(301)(302)(401)(402)(501)(502)을 형성하고, 마개(6')로 개폐시키게 된 손잡이(6)의 내에는 축(11')에 릴(12)을 고정한 모터(11)와 건전지홀더(13)를 고정하고,
    상기의 릴(12)에는 망대(1)의 나사관(8)에 고정한 작동끈(14)을 고정하여 스위치(15)로 모터(11)를 작동시켜 작동끈(14)을 릴(12)에 감기게하여 길게 전개된 망대(1)(2)(3)(4)를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낚시용 뜰채.
KR2019990015647U 1999-07-28 1999-07-28 낚시용 뜰채 KR200166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647U KR200166833Y1 (ko) 1999-07-28 1999-07-28 낚시용 뜰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647U KR200166833Y1 (ko) 1999-07-28 1999-07-28 낚시용 뜰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833Y1 true KR200166833Y1 (ko) 2000-02-15

Family

ID=1958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647U KR200166833Y1 (ko) 1999-07-28 1999-07-28 낚시용 뜰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8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517A (ko) * 2001-12-29 2003-07-10 장익춘 자동접이 낚시대
KR20030059518A (ko) * 2001-12-29 2003-07-10 장익춘 낚시용 뜰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517A (ko) * 2001-12-29 2003-07-10 장익춘 자동접이 낚시대
KR20030059518A (ko) * 2001-12-29 2003-07-10 장익춘 낚시용 뜰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9437A1 (en) Collapsible trap
US7337576B2 (en) Methods and devices of the net apparatus, the fishing rod and the spinning mechanism combination
KR101325570B1 (ko) 완전 자동 우산
US5038511A (en) Ice fishing rod holder
KR200166833Y1 (ko) 낚시용 뜰채
US10595518B1 (en) Netting apparatus
US20040181995A1 (en) Collapsible crab trap
US6389733B1 (en) Collapsible and telescoping fishing net
CN201308065Y (zh) 自动钓鱼器
US6962020B2 (en) Fishing leader holder and method
KR100326169B1 (ko) 잠자리채
KR100395435B1 (ko)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CN214629233U (zh) 大口黑鲈养殖用捕捞装置
CN213044850U (zh) 一种便于安装的美国白蛾诱捕器
CN115299415B (zh) 一种多水域套式钓鱼竿
JP2002052294A (ja) ハンガー
JPH0711581Y2 (ja) 伸縮式釣竿及びたも等の釣り道具
JP3443098B2 (ja) 道糸リール付き釣竿
JP4167722B2 (ja) ハリスキャッチ
KR200239327Y1 (ko) 낚시 뜰채의 손잡이 길이 조절용 캡
KR20100004903U (ko) 중앙 분리식 통발
JPH01300836A (ja) 万能タックルボックス連動リールスタンド
CN206354237U (zh) 一种附着于渔竿尾端的易脱缷的放线器
CN2879666Y (zh) 一种钓具鱼线锁
KR200217504Y1 (ko)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