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821Y1 - 빙축열조용순환수유동장치 - Google Patents

빙축열조용순환수유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821Y1
KR200166821Y1 KR2019990014811U KR19990014811U KR200166821Y1 KR 200166821 Y1 KR200166821 Y1 KR 200166821Y1 KR 2019990014811 U KR2019990014811 U KR 2019990014811U KR 19990014811 U KR19990014811 U KR 19990014811U KR 200166821 Y1 KR200166821 Y1 KR 200166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ice storage
water
i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윤재근
남임우
강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센추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센추리
Priority to KR2019990014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8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빙축열조용 순환수 유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수관의 내부 일끝에 분사공을 구비한 분사부재를 결합.설치하여, 빙축열조 내에 수용된 물의 유동을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일부의 제빙된 얼음을 신속하게 녹여 순환수의 순환.공급을 원할하게 하고, 이에따라 냉방의 효과를 신속한 시간내에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빙축열조용 순환수 유동장치{circular water flowing device for ice storage}
본 고안은 빙축열조용 순환수 유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빙축열조의 내부로 회수 유입되는 회수관에 분사부재를 설치하여 순환수의 분사압력을 높여 수조에 수용된 물의 유동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빙축열조에 제빙된 일부 얼음을 신속한 시간내에 용이하게 녹이고, 이에따라 순환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냉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축열시스템에 구비되는 빙축열조의 내부에 순환수를 일정수위까지 수용한 다음, 하절기에 비용이 저렴한 심야전력을 이용하여 야간에 얼음으로 축냉시켰다가 주간에 얼음을 해빙시킨 냉수를 실내기로 공급하여 냉방에 사용을 함으로써, 주간에 실내기의 냉방운전에 따른 전력사용의 비용을 현저히 줄여 경제적인 냉방을 함은 물론, 주간에 전력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냉각방식인 것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종래의 빙축열시스템의 빙축열조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빙축열조(10)의 상단 일측면에는 내부에 물(12)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밸브(14)를 구비한 급수관(16)이 연결.설치되어 있고, 이 빙축열조(10) 내에 수용된 물에는 개별적으로 '⊂' 형상의 각 라인을 이루는 다수개의 열교환파이프(18)가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이격.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열교환파이프(18)의 상부 일끝은 냉매공급파이프(20)가 연결된 하나의 분배관(22)에 모두 연결되어 있고, 이 열교환파이프(18)의 다른 일끝은 냉매를 통합.회수하기 위한 하나의 회수관(24)에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회수관(24)의 중앙에는 회수파이프(26)가 연결되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빙축열조(10)의 일측 바닥면에는 순환펌프(2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순환펌프(28)는 빙축열조(10)의 상부부위와 연결파이프(18)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다른 측면의 하부에는 조절밸브(32)를 구비한 회수관(34)이 빙축열조(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28)의 토출부는 순환수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36)를 매개로 하여 실내기와 연결되어 있고, 이 실내기는 냉방을 도모한 순환수를 빙축열조(10)로 회수하고자 회수파이프(38)를 매개로 상기 회수관(34)과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빙축열조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도시되지 않은 실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냉매공급파이프(20)를 따라 하나의 분배관(22)에 모여지게 되는데, 이때 분배관(22)에는 개별적으로 각 라인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열교환파이프(18)의 상부 일끝이 모두 연결되어 있어 분배관(22)에 모여진 냉매가 각 라인의 열교환파이프(18)에 일시에 공급되며, 각 라인의 열교환파이프(18)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는 열교환파이프(18)의 또 다른 하부 일끝이 연결된 하나의 회수관(24)으로 통합.회수되어 회수파이프(26)를 통해 실외기로 회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매가 각 라인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열교환파이프(18)를 따라 이동시, 이 열교환파이프(18)는 빙축열조(10)에 수용된 물(12)에 잠겨 있어 이동하는 냉매와 물(12)이 열교환하여 열교환파이프(18)의 표면상에 얼음이 형성되는데, 이때 수직으로 설치된 열교환파이프(18)의 상부로 부터 최초로 열교환하게 되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냉매의 냉각온도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결국, 빙축열조(10)의 상부로 부터 점차적인 제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간에 냉방을 하고자 빙축열조(10)에 설치된 순환펌프(28)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순환펌프(28)는 빙축열조(10)의 상부와 연결파이프(30)를 매개로 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어 빙축열조(10)에 존재하게 되는 냉온의 물(12)을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물(12)은 순환펌프(28)에 연결된 공급파이프(36)를 따라 실내기로 공급되어 열교환을 수행한 후, 이 실내기와 연결된 회수파이프(38)를 따라 빙축열조(10)의 내부로 회수되는데, 이때 회수되는 물(12)은 실내기와 열교환하기 전의 온도보다 상승된 온도로 빙축열조(10)에 회수.유입됨으로써, 결국 회수되는 물(12)의 온도에 의해 빙축열조(10)에 존재하게 되는 얼음을 신속하게 녹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빙축열조(10)에 수용된 물(12)은 그 온도를 0℃로 설정.유지하여 고체의 얼음과 액체의 물(12)이 비슷한 비율로 모두 존재하도록 하게 하는데 이는 그 이하의 영하 온도로 설정할 경우에 빙축열조(10)에 수용된 물(12)이 전부 고체의 얼음으로 얼게 되어 추후 빙축열 냉방에 따른 순환수의 공급이 불가능하게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아울러 상기 빙축열조(10)의 연결파이프(30)와 회수관(34)의 수평 위치를 이격시킨 이유는 회수관(34)으로 부터 유입되는 상승된 물(12)이 해빙의 역할을 도모하지 못하고 동일선상에 위치된 연결파이프(30)로 바로 유입됨으로써, 해빙과 냉방의 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빙축열조(10)는 먼저, 빙축열조(10)에 제빙된 얼음을 녹인 냉수를 실내기로 순환시켜 냉방을 도모한 다음 빙축열조(10)로 회수시키게 되는데, 이때 회수파이프(38)로 부터 회수되는 순환수의 유입 압력으로는 빙축열조(10)에 존재하게 되는 물(12)을 전체적으로 유동시키기가 어렵고, 아울러 회수관(34)의 설치 위치상 빙축열조(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부에 존재하게 되는 얼음은 신속하게 해빙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빙축열조의 내부로 회수 유입되는 회수파이프에 분사부재를 설치하여 수조에 수용된 물을 유동시킴으로써, 축열조에 제빙된 얼음을 신속.용이하게 녹여 순환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이에 의해 냉방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빙축열조용 순환수 유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회수관의 내측 일끝에는 일정길이로 수직을 이루면서 중앙에 연결관을 구비한 분사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이 연결관을 중심으로 하여 분사부재의 양편부위에는 측면에 분사공을 형성한 굴곡부가 빙축열조의 내측면과 대향되도록 굴곡된 구조로서, 빙축열조에 제빙된 얼음을 신속.용이하게 녹여 순환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빙축열조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열교환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빙축열조용 순환수 유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은 도 2의 유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빙축열조 12 : 물
14 : 급수밸브 16 : 급수관
18 : 열교환파이프 20 : 냉매공급장치
22 : 분배관 24,34 : 회수관
26,38 : 회수파이프 28 : 순환펌프
30 : 연결파이프 32 : 조절밸브
36 : 공급파이프 40 : 열결관
42 : 분사부재 44 : 분사공
46 : 굴곡부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축열장치용 순환수 유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인 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 및 도 2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빙축열조(10) 내부에는 열교환파이프(18)가 설치되어 있고, 빙축열조(10)의 양측 상,하부위에는 내부와 연결되는 상태로 연결파이프(30)와 회수관(34)이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본 고안은 회수관(34)의 내측 일끝에 수직을 이루며 중앙에 연결관(40)을 일체로 형성한 분사부재(42)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분사부재(42)의 양편 일정부위에는 각 측면에 분사공(44)을 형성한 굴곡부(46)가 빙축열조(10)의 내면방향과 대향되는 상태로 굴곡.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냉매가 열교환파이프(18)를 따라 순환하면서 빙축열조(10)에 수용된 물(12)이 일부 제빙된 상태로 빙축열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간에 냉방시, 빙축열된 얼음을 녹여 냉온의 물(12)을 실내기로 순환시켜 냉방을 도모한 후, 빙축열조(10)의 회수관(34)을 통하여 회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수관(34)의 내측 일끝에는 양측에 분사공(44)을 형성한 분사부재(42)가 결합되어 있어서, 회수되는 물(12)이 분사분재(42)의 분사공(44)을 통하여 빙축열조(10)의 내부로 유입시, 상기 빙축열조(10)의 내부로 회수되는 물(12)은 실내기와 열교환하기 전의 온도보다 상승된 온도로 회수.유입되면서 분사공(44)에 의해 높은 압력으로 분사.회수됨으로써, 그 분사압력으로 물(12)을 전체적으로 유동시키고, 분사되는 물(12)의 온도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일부 제빙된 얼음을 해빙시키게 되어, 수환수의 원활한 순환과 냉방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컨데, 상기 분사공(44)을 빙축열조(10)의 내측면과 대향시킨 이유는 분사되는 물(12)이 빙축열조(10)의 내면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면서 이 내면에 존재하게 되는 물(12)을 흔들어 줌으로써 전체적인 물(12)의 유동을 쉽게 형성하기 위함이며, 이와 반대의 방향 즉, 빙축열조(10)의 중앙으로 분사시키게 될 경우, 중앙에 존재하게 되는 얼음은 신속하게 녹일수 있으나 이 분사물이 얼음에 충돌하면서 여러방향으로 비산되어 분사력이 약해짐으로써 그 이외에 존재하게 되는 얼음은 신속하게 녹일수 없으며, 아울러 물(12)이 빙축열조(10)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점성에 의해 흔들림이 크게 형성되지 않아 제빙된 얼음을 더욱 신속하게 녹일 수 없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빙축열조의 회수관에 분사부재를 설치하여 회수되는 순환수의 회수 압력을 높여 빙축열조에 수용된 물을 유동시킴으로써, 빙축열조에 일부 존재하게 되는 얼음을 신속하게 녹여 순환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냉방의 효과를 신속한 시간내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실내기로 부터 순환하는 순환수를 회수시키고자 빙축열조(10)에 회수관(34)이 관통 결합된 빙축열조(10)에 있어서,
    상기 회수관(34)의 내측 일끝에는 일정길이로 수직을 이루면서 중앙에 연결관(40)을 구비한 분사부재(42)가 결합되어 있고, 이 연결관(40)을 중심으로 하여 분사부재(42)의 양편부위에는 측면에 분사공(44)을 형성한 굴곡부(46)가 빙축열조(10)의 내측면과 대향되도록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조용 순환수 유동장치.
KR2019990014811U 1999-07-23 1999-07-23 빙축열조용순환수유동장치 KR200166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811U KR200166821Y1 (ko) 1999-07-23 1999-07-23 빙축열조용순환수유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811U KR200166821Y1 (ko) 1999-07-23 1999-07-23 빙축열조용순환수유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821Y1 true KR200166821Y1 (ko) 2000-02-15

Family

ID=1958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811U KR200166821Y1 (ko) 1999-07-23 1999-07-23 빙축열조용순환수유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8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2827B2 (ja) パネル型機器用散水システム
CN103917829A (zh) 空调装置的室外机
KR200166821Y1 (ko) 빙축열조용순환수유동장치
KR200242390Y1 (ko) 빙축열조용 분사구
KR200222684Y1 (ko) 빙축열조용 해빙장치
KR200166820Y1 (ko) 빙축열시스템용축열장치
KR101093811B1 (ko) 직교류형 냉각탑
JP3611199B2 (ja) 自然冷気を利用した蓄熱空調システム
JP3179463U (ja) 屋根散水装置
CN219868645U (zh) 可快速排尽水的水冷系统
JP4218026B2 (ja) 循環バブリングシステム
JP3192866B2 (ja) ダイナミック氷蓄熱システムの蓄熱槽
JP5711413B1 (ja) 流水除雪装置
JP2008050808A (ja) 融雪装置
KR100313082B1 (ko) 지하수를 이용한 용수의 관리시스템
JP2002147912A (ja) 床面流水熱交換
JP3365371B2 (ja) 氷蓄熱装置
JP6279906B2 (ja) 雪類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
JP2696046B2 (ja) 潜熱蓄熱装置
KR20030061575A (ko)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
CN219347412U (zh) 一种用于冷却塔进风口防结冰的加热系统
CN219953412U (zh) 一种用于隧道高温环境下的降温装置
CN209147411U (zh) 一种排水盘组件
JP2002250547A (ja) 氷蓄熱装置
KR20020014625A (ko) 빙축열 축열조 열교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