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811B1 - 직교류형 냉각탑 - Google Patents

직교류형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811B1
KR101093811B1 KR1020090000218A KR20090000218A KR101093811B1 KR 101093811 B1 KR101093811 B1 KR 101093811B1 KR 1020090000218 A KR1020090000218 A KR 1020090000218A KR 20090000218 A KR20090000218 A KR 20090000218A KR 101093811 B1 KR101093811 B1 KR 10109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distribution
tank
fi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983A (ko
Inventor
구제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to KR102009000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8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 분배 개선을 통하여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직교류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류형 냉각탑은 본체, 충진재, 팬 구동부, 상부수조, 하부수조, 냉각수 공급관 그리고 냉각수 분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는 외형을 형성한다. 충진재는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냉각수가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한다. 상부수조는 본체의 내측으로 충진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냉각수가 일시 수용되도록 하고, 충진재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밑판에 다수개의 분배홀이 형성되거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냉각수가 충진재로 분사 유입되도록 한다. 냉각수 공급관은 냉각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부수조에 연결된다. 그리고 냉각수 분배장치는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되 상부수조의 내측에 상부수조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분사홀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배관과, 분배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분배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력을 감소시켜 상부수조에 공급하는 분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가 충진재에 균일하게 분사 유입되도록 한다.
직교류형 냉각탑, 충진재, 상부수조, 분배판, 송풍팬, 냉각수

Description

직교류형 냉각탑{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본 발명은 직교류형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 분배 개선을 통하여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직교류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기와 같은 열교환기나 공기조화설비에는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콘덴서로부터 보내진 온수의 열을 냉각하여 저온의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재순환 공급하기 위한 냉각탑이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냉각탑은 고온이 된 냉각수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와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는데,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식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주로, 고온의 냉각수를 대기 속에 분무하거나 물방울 지어 떨어지게 하고, 떨어지는 냉각수에 자연통풍이나 송풍기 등에 의한 강제통풍으로 공기를 송풍시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각탑은 열교환 방식에 따라 흘러내리는 고온의 냉각수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서로 역방향으로 마주치면서 고온의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하는 향류형(counter flow type)과, 흘러내리는 고온의 냉각수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직교하도록 교차하면서 고온의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하는 직교류형(cross flow type)으로 대별된다.
도 1은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의 상부수조와 물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의 상부수조에 냉각수가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은 본체(110)의 내측에 충진재(120)가 구비되고, 상기 충진재(120)의 상측에는 상부수조(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조(130)에는 냉각수 공급배관(140)이 연결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기 상부수조(130)로 분사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수조(13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133)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관통홀(133)을 통해 배출된 냉각수는 하측에 구비된 상기 충진재(120)로 낙하되어 상기 충진재(1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진재(120)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충진재(120)를 통과하는 공기와 접하면서 열교환되어 냉각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각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냉각수 공급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가 상부수조의 일부분에 집 중됨에 따라, 냉각수가 분사되는 힘에 의해 냉각수가 분사되는 부분의 주위(E)에는 냉각수가 고이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냉각수가 분사되는 부분을 통해 충진재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양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냉각수 공급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가 상부수조의 일부분에 집중됨에 따라, 냉각수가 분사되는 부분(E)이나 상부수조의 구석부분(F)에서의 냉각수의 저수량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되어 전체적으로 냉각수가 상기 상부수조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낙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부수조의 모든 부분에서 균일한 분포로 냉각수가 충진재로 유입되지 못함에 따라 충진재를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냉각수의 열교환 효율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냉각수 공급배관이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의 자극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산이나 건물 또는 구조물 따위가 하늘을 배경으로 하는 선 또는 윤곽을 의미하는 스카이라인(skyline)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각수 분배 개선을 통하여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직교류형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냉각수가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충진재;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상기 충진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가 일시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재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밑판에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로 분사 유입되도록 하는 상부수조; 상기 냉각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수조에 연결되는 냉각수 공급관: 그리고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에 균일하게 분사 유입되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력을 감소시켜 상기 상부수조에 공급하는 냉각수 분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는 상기 냉각수 공급관과 연결되되, 상기 상부수조의 내측에 상기 상부수조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분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배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력을 감소시켜 상기 상부수조에 공급하는 분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제공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분사홀은 상기 분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기 분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양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의 기울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판은 상기 분배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배관을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방향에 대응되고 분사되는 상기 냉각수가 담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의 분사력이 감소되어 상기 상부수조로 배출되도록 하는 댐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의 끝단과 상기 분배관 사이에는 상기 상부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수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관은 상기 상부수조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보다 아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공급관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상부수조의 양측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의 양측에서 유입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류형 냉각탑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사홀이 형성된 분배관의 외측에 분배판이 구비되되, 상기 분패판의 양측에는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방향에 대응되고 분사되는 냉각 수가 일시적으로 담아지도록 댐퍼부가 형성됨으로써, 냉각수는 분사력이 감소된 상태로 상기 상부수조로 배출될 수 있다.
둘째, 냉각수의 분사력이 감소된 상태로 상부수조로 배출될 수 있음으로써 상부수조에는 냉각수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며 수용될 수 있게 되므로, 상부수조에 형성된 모든 분배홀을 통해 균일한 냉각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분배홀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가 균일하고 일정한 유량을 이룰 수 있게 되므로 충진재로 낙하하는 유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분포를 이루면서이동할 수 있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냉각수가 배출되는 분배관과 배수부가 상부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됨으로써 상부수조로의 보다 광범위하고 안정적인 냉각수 공급이 가능하다.
다섯째, 상부수조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냉각수 공급관과,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는 냉각수 분배장치가 본체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어 외부에서의 자극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미관(美觀)이 향상되고 스카이라인도 좋아질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교류형 냉각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교류형 냉각탑의 상부수조와 냉각수 분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교류형 냉각탑의 상부수조와 분배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직교류형 냉각탑은 본체(10), 충진재(20), 상부수조(30), 냉각수 공급관(40) 그리고 냉각수 분배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상기 충진재(20)가 구비되고, 상기 충진재(20)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수조(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수조(30)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관(40)과 연결되는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50)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50)는 상기 상부수조(30)의 내측에 상기 상부수조(3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배관(60)과, 상기 분배관(60)의 외측에서 상기 분배관(6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분배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배판(70)에는 상기 분배관(6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력이 감소하도록 하는 댐퍼부(7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분배관(6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는 상기 분배판(70)에 의해 분사력이 감소되어 상기 상부수조(30)로 공급되어 균일한 분포로 수용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냉각수는 상기 충진재(20)로 보다 넓고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량도 증가하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는 고온의 콘덴서에 의해 고온의 온수로 되었다가 충진재에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저온의 냉각수로 지속적으로 재순환되어 상기 직교류형 냉각탑에서 순환되는 순환수를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본체(10)는 상기 직교류형 냉각탑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본 체(10)의 내측으로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는 공기유입부(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부(13)는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부(13)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충진재(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20)는 다수개의 충진판(23)이 겹쳐져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충진재(20)는 후술할 상부수조(30)에서 유입되는 냉각수와 상기 공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접하면서 열교환되어 상기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진판(23)은 상기 냉각수와 상기 공기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판(23)을 따라 흐르는 냉각수가 공기의 송풍력에 의해 공기의 흐름방향으로 흘러 상기 충진판(23)의 외부로 벗어나거나 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충진판(23)은 냉각수의 흐름 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진판(23)은 목재, 합성수지, 금속 박판(薄板) 또는 석면판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떠한 특정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상기 충진재(20)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수조(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수조(30)는 상기 냉각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용기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조(30)의 밑판(31)은 상기 충진재(2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밑판(31)에는 다수개의 분배홀(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수조(30)에 수용되는 상기 냉각수는 상기 분배홀(33)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충진재(20)의 상부로 낙하되어지며, 낙하되는 냉각수는 상기 충진재(20)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분배홀(33)에는 냉각수의 더욱 효율적인 분사를 위하여 별도의 분사노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수조(30)의 하측에는 상기 분사노즐이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수조(30)에는 냉각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냉각수 공급관(40)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공급관(40) 중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냉각수 공급관(40)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냉각수 공급관(40)은 유체의 흐름이 나뉘도록 사용되는 커넥터(41)를 통해 제1냉각수 공급관(43)과 제2냉각수 공급관(45)으로 분기될 수 있다.
그리고, 분기된 상기 각 냉각수 공급관(43,45)은 각각 상기 상부수조(30)의 측벽(35)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수조(30)의 내측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냉각수 공급관(43,45)은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50)와 연결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50)는 상기 상부수조(30)의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수 공급관(40) 뿐만 아니라,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50)도 상기 본체(10)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수조(30)를 덮기 위해 구비될 수 있는 덮개(미도시) 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 공급관(40)과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50)가 외부에서의 자극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미관(美觀)이 향상되고 스카이라인도 좋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50)는 분배관(60)과 분배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배관(60)은 일단부는 상기 제1냉각수 공급관(43)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냉각수 공급관(45)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배관(60)은 상기 상부수조(30)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수조(3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냉각수 공급관(40)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분기되어 이동하여 상기 분배관(60)의 양측에서 상기 분배관(60)의 중앙을 향하여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배관(60)은 상기 상부수조(30)의 폭 방향으로 중앙부분에 위치 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배관(60)에는 상기 분배관(60)의 내측으로 유입된 냉각수가 이동하면서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사홀(6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분배관(60)의 양측에서 냉각수가 유입됨에 따라, 분배관의 일측에서만 냉각수가 유입될 때보다 상기 분배관(60)의 내부에서의 냉각수 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분사홀(65)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는 보다 균일하게 상기 상부수조(30)에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분사홀(65)은 상기 분배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홀(65)은 상기 분배관(6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양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의 기울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홀(65)은 상기 분배관(6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분사홀(65)에는 별도의 노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홀(65)이 하측으로 비스듬히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분배관(60)을 통하여 이동하는 냉각수는 상기 분사홀(65)을 통해 하측으로 비스듬히 분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관(60)의 외측에는 상기 분배관(60)을 감싸도록 분배판(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배판(70)은 상기 분배관(6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배관(60)을 감싸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에서 연장형성되는 댐퍼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몸체부(71)는 상부가 상기 분배관(60)의 상부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양측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71)는 상기 분배관(60)에 용접 결합되거나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73)는 상기 몸체부(71)의 양측 단부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분사홀(65)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방향에 대응되어 안쪽으로 벤딩 형성되어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담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사홀(65)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력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부(73)는 상기 냉각수와 1차적으로 충돌되는 부분이 상기 분사홀(65)과 가장 멀리 위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1차적으로 충돌된 냉각수가 퍼지면서 곧장 상기 상부수조(3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댐퍼부(73)는 양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홀(65)에서 분사되는 냉각수는 상기 댐퍼부(73)에 부딪혀 상기 댐퍼부(73)의 내부에서 잠시 동안 저장될 수 있어 분사력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73)에 수용된 냉각수는 분사력이 감소된 상태로 배수부(75)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상부수조(30)로 유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부(75)는 상기 각 댐퍼부(73)의 단부가 상기 분배관(60)과 소정의 간격을 이룸에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배수부(75)는 상기 상부수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수조(30)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배수부(75)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는 상기 상부수조(30)의 어느 한 지점에 국소적으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보다 넓게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분배판(70)에 의해 분사력이 감소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부(75)는 상기 상부수조(30)에 수용된 냉각수에 잠기도록 위치되거나 상기 상부수조(30)에 수용된 냉각수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어떤 특정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flow control valve)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상기 상부수조(30)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상부수조(30)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분배홀(33)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 또한 균일하고 일정한 유량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충진재(20)로 낙하하는 유량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홀(65)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의 양이 상기 분배홀(33)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의 양보다 많아 상기 상부수조(30)에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홀(65)과 상기 분배홀(33)은 적절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각탑은 직교류형 뿐만 아니라, 향류형 또는 직교류형과 향류형을 복합시킨 형태인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의 상부수조와 물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3은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의 상부수조에 냉각수가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교류형 냉각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교류형 냉각탑의 상부수조와 냉각수 분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교류형 냉각탑의 상부수조와 분배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본체 20,120: 충진재
30,130: 상부수조 33: 분배홀
35: 측벽 40: 냉각수 공급관
43: 제1냉각수 공급관 45: 제2냉각수 공급관
50: 냉각수 분배장치 60: 분배관
65: 분사홀 70: 분배판
71: 몸체부 73: 댐퍼부
75: 배수부 140: 냉각수 공급배관

Claims (7)

  1.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냉각수가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충진재;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상기 충진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가 일시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재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밑판에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로 분사 유입되도록 하는 상부수조;
    상기 냉각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수조에 연결되는 냉각수 공급관: 그리고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에 균일하게 분사 유입되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력을 감소시켜 상기 상부수조에 공급하는 냉각수 분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는 상기 냉각수 공급관과 연결되되, 상기 상부수조의 내측에 상기 상부수조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분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배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력을 감소시켜 상기 상부수조에 공급하는 분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직교류형 냉각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은 상기 분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기 분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양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의 기울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분배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배관을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방향에 대응되고 분사되는 상기 냉각수가 담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의 분사력이 감소되어 상기 상부수조로 배출되도록 하는 댐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의 끝단과 상기 분배관 사이에는 상기 상부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수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상기 상부수조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보다 아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관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상부수조의 양측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의 양측에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KR1020090000218A 2009-01-05 2009-01-05 직교류형 냉각탑 KR10109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18A KR101093811B1 (ko) 2009-01-05 2009-01-05 직교류형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18A KR101093811B1 (ko) 2009-01-05 2009-01-05 직교류형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983A KR20100080983A (ko) 2010-07-14
KR101093811B1 true KR101093811B1 (ko) 2011-12-19

Family

ID=4264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18A KR101093811B1 (ko) 2009-01-05 2009-01-05 직교류형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8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4764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KR20190050164A (ko) 2017-11-02 2019-05-10 미션크리티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간 수조를 구비하는 냉각탑
KR20190058398A (ko) 2017-11-02 2019-05-29 미션크리티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간 수조를 구비하는 냉각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8039U (ko) 1978-03-17 1979-09-25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8039U (ko) 1978-03-17 1979-09-2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4764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KR101940817B1 (ko) * 2012-05-31 2019-04-10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KR20190050164A (ko) 2017-11-02 2019-05-10 미션크리티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간 수조를 구비하는 냉각탑
KR20190058398A (ko) 2017-11-02 2019-05-29 미션크리티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간 수조를 구비하는 냉각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983A (ko)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811B1 (ko) 직교류형 냉각탑
KR20130060694A (ko) 냉각탑
KR20110072825A (ko) 3면 흡입식 냉각탑
KR100921674B1 (ko) 밀폐형 냉각탑
KR101195989B1 (ko) 백연방지 향류형 냉각탑
KR20100001341A (ko) 직교류형 냉각탑
KR102071276B1 (ko)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KR20120110864A (ko) 냉각탑
KR101331593B1 (ko) 직교류형 이원 냉각탑
KR20100035838A (ko) 하이브리드형 냉각탑
KR101121173B1 (ko)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향류형 냉각탑
JP2008128595A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CN110671764B (zh) 一种集成喷雾功能的空调机组
KR102258941B1 (ko)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JP2006322669A (ja) 冷却塔
KR101377160B1 (ko) 리필타입 수질개선재 적용 냉각탑
KR200306045Y1 (ko) 냉각탑
KR101225348B1 (ko) 냉각탑
CN103307906A (zh) 逆流旋转喷射冷却塔
KR200496603Y1 (ko) 냉각탑의 냉각수 분배 장치
JP3095116U (ja) 流線形断面の銅管を使用し冷媒コイル巻管を作ったコンデンサ
KR102124349B1 (ko) 냉각탑용 급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
KR101363005B1 (ko) 냉각탑 수분배 장치
CN213914375U (zh) 一种管喷漆用冷却设备
CN213714011U (zh) 一种余热发电冷却水散热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