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720Y1 -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720Y1
KR200166720Y1 KR2019970032902U KR19970032902U KR200166720Y1 KR 200166720 Y1 KR200166720 Y1 KR 200166720Y1 KR 2019970032902 U KR2019970032902 U KR 2019970032902U KR 19970032902 U KR19970032902 U KR 19970032902U KR 200166720 Y1 KR200166720 Y1 KR 200166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ing device
pipe
post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263U (ko
Inventor
황창조
Original Assignee
황창조
대한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조, 대한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창조
Priority to KR2019970032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720Y1/ko
Publication of KR980003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고종력을 강화하여 설치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가설 포스트를 따라 고정지점의 위치가변이 용이하도록 하는 클램핑 장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장치는 H형 가설재 포스트(1)의 전면 또는 후면의 양단을 감싸 지지되도록 양단을 절곡한 지지판(3), 상기 지지판(3) 절곡부의 반대면에 용접되며 비계 파이프(2)가 취부되도록 내면이 곡선형을 이루고 그 선에는 나사부 (40)가 형성된 클램프(4), 상기 클램프(4)의 나사부(40)에 체결되어 고정판(5)을 클램프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7)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장치
본 고안은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고정력을 강화하여 설치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가설 포스트를 따라 고정지점의 위치가변이 용이하도록 하여, 설치성을 향상시킨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건설중인 건물의 외부에 방음벽 또는 차단벽(egifence) 등을 설치하여 건설중에 발생하는 소음 및 기자재 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필수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방음벽이나 차단벽들은 비교적 중량물이므로 고정력이 미약할 경우, 인명사고는 물론 대물사고 등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소지를 안고 있었으므로, 방음벽 등을 강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도 1은 방음벽이나 차단벽 등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재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종래 클램핑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부호 1은 기립상태로 설치되어 양쪽으로 방음벽이나 차단벽이 끼워지도록 H빔형성을 가진 가설재 포스트인데, 상기 가설재 포스트(1)는 비계 파이프(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가설재 포스트(1)와 비계 파이프(2)는 다수의 보울트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의 가설재 포스트(1)와 비계 파이프(2)의 고정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고정 시에는 나름대로의 설정된 안전기준에 의거하여 고정하기는 하지만 많은 작업공수에 비해 고정력이 강력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고, 안전성이 뛰어나지 못하여 차단벽등이 이탈될 수 있는 소지가 많았으므로, 가설재 포스트(1)와 비계 파이프(2)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쓰이는 가설재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함은 물론 그 결합력을 강화하여 이에 고정되는 구조물의 결합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H형 가설재 포스트의 전면 또는 후면의 양단을 감싸 지지되도록 양단을 절곡한 지지판, 상기 지지판 절곡부의 반대면에 용접되고 비계 파이프가 취부되도록 내면이 곡선형을 이루고 그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클램프, 사기 클램프의 선단으로 취합되어 비계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장판 및 상기 클램프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고정판을 클램프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를 포함하는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종래 가설 포스트(Post)와 비계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평면도이다.
제2도는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본 고안의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결합상태도이다.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설재 포스트 2 : 비계 파이프
3 : 지지판 4 : 클램프
5 : 고정판 6 : 와셔
7 : 너트 30 : 끼움부
40 : 나사부 41 : 제1곡선부
50 : 통공 51 : 제 2곡선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 클램핑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클램핑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상기의 클램핑장치는 H형 가설재 포스트(1)의 전면 또는 후면의 양단을 감싸도록 양단을 뒤쪽과 내측으로 2단절곡하여 끼움부(30)가 형성된 지지판(3), 상기 지지판(3)의 전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비계 파이프(2)가 관통되는 클램프(4) 및 상기 클램프(4)의 선단에 고정되어 비계 파이프(2)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판(5)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클램프(4)는 선단에 나사부(40)가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 내면은 비계 파이프(2)가 삽입되었을 때 비계 파이프의 외주면 내측이 밀착되도록 비계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된 제1곡선부(41)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외형이 "U" 자형을 이룬다.
또한 상기 고정판(5)은 상기 나사부(40)가 관통되는 통공(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비계 파이프(2)의 외주면 외측에 밀착되도록 비계 파이프(2)의 외경과 동일반경으로 외향으로 불룩한 제2곡선부(51)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통공(50)을 관통한 나사부(40)에는 와셔(6)와 너트(7)를 결합하여 클램프(4)와 고정판(5)을 체결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장치는 도 3에서와 같이 기립상태로 설치된 가설재 포스트(1)의 전면 양단에 지지판(3)의 끼움부(30)를 끼운 다음, 원통형의 비계 파이프(2)가 클램프(4)의 내부로 관통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비게 파이프(2)는 제1곡선부(41)에 밀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나사부(40)가 형성된 클램프(4)의 선단을 고정판(5)의 통공(50)으로 관통시킨다.
그런 다음, 통공(5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된 나사부(40)에 와셔(6)와 너트(7)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조이면, 고정판(5)의 제2곡선부(41) 내면이 비계 파이프(2)의 외주면 일부에 밀착되면서 결합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모든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3)은 별도의 고정수단(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가설재 포스크(1)에 끼워 넣어져,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판(3), 클램프(4) 및 고정판(5)의 재질은 강성이 비교적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한 전기아연이 도금된 철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사용하지만, 이외에도 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재질이라면 상기의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장치를 사용하면, 가설재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를 간편 용이하게 결합 함은 물론 그 결합력을 강화하여 이에 고정되는 구조물의 결합강도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H형 가설재 포스트의 전면 또는 후면의 양단을 감싸 지지되도록 양단을 절곡한 지지판 ;
    상기 지지판 절골부의 반대면에 용접되며 비계 파이프가 취부되도록 내면이 곡선형을 이루고 그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클램프 ;
    상기 클램프의 선단으로 취합되어 비계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 ; 및,
    상기 클램프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고정판을 클램프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를 포함하는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장치.
KR2019970032902U 1997-11-19 1997-11-19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 장치 KR200166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02U KR200166720Y1 (ko) 1997-11-19 1997-11-19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02U KR200166720Y1 (ko) 1997-11-19 1997-11-19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63U KR980003263U (ko) 1998-03-30
KR200166720Y1 true KR200166720Y1 (ko) 2000-01-15

Family

ID=1951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902U KR200166720Y1 (ko) 1997-11-19 1997-11-19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7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22B1 (ko) * 2008-03-04 2008-10-01 이상재 유물 발굴용 임시 지상구조물에서 하나의 내부 지주를 임시적으로 탈착하는 방법
KR101036329B1 (ko) 2009-02-13 2011-05-23 조응래 건축용 비계의 보조결합구
KR20230109826A (ko) * 2022-01-13 2023-07-21 서해영 과채류 포장봉지 결속와이어 부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22B1 (ko) * 2008-03-04 2008-10-01 이상재 유물 발굴용 임시 지상구조물에서 하나의 내부 지주를 임시적으로 탈착하는 방법
KR101036329B1 (ko) 2009-02-13 2011-05-23 조응래 건축용 비계의 보조결합구
KR20230109826A (ko) * 2022-01-13 2023-07-21 서해영 과채류 포장봉지 결속와이어 부착장치
KR102601280B1 (ko) 2022-01-13 2023-11-14 서해영 과채류 포장봉지 결속와이어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63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720Y1 (ko) 가설 포스트와 비계 파이프의 클램핑 장치
JP3068799B2 (ja) 足場つなぎ構造
CN109707044B (zh) 钢结构房屋用抗振型连接结构
KR100865991B1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1023080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JPH0925718A (ja) はね出し足場用ブラケット
JPH0449323Y2 (ko)
JP4710209B2 (ja) Zクリップ回転防止金具及び建材の留付構造
KR200177564Y1 (ko) 에이치-빔용 클램프 어셈블리
KR200163423Y1 (ko) 거푸집구조물
KR200222883Y1 (ko) 비계 고정용 티형 클램프
JPH0316362Y2 (ko)
KR950001201Y1 (ko) 온실 구조물 파이프의 고정 클램프
JPH1068232A (ja) 仮囲い支柱支持金具
JPH08232424A (ja) 手摺支柱の取付構造
JP2560068Y2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継手用金具
JPH07217224A (ja) 角材に着脱自在な手摺パイプ用取付金具
KR100462355B1 (ko) 난간대 설치용 지지구
JP2502704Y2 (ja) 鉄骨階段の踊り場用手摺
KR101059156B1 (ko) 로프체결형 강관 이음장치
JPH08144508A (ja) 足場の壁つなぎ装置
JP2001241015A (ja) ガードレールへの支柱固定方法及び支柱固定具
JP3328398B2 (ja) 屋根上工事用転落防止装置
JPH0116343Y2 (ko)
JPS6317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