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569Y1 - 액체 펌프 - Google Patents

액체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569Y1
KR200166569Y1 KR2019990016444U KR19990016444U KR200166569Y1 KR 200166569 Y1 KR200166569 Y1 KR 200166569Y1 KR 2019990016444 U KR2019990016444 U KR 2019990016444U KR 19990016444 U KR19990016444 U KR 19990016444U KR 200166569 Y1 KR200166569 Y1 KR 200166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cylinder
clos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19990016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를 통한 액체 내용물의 유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펌핑 작동이 부드럽지 못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액체 펌프는, 배출공(11)이 뚫려있는 캡(10)과, 지지체(20)와, 지지체(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실린더(90)와, 실린더(90)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안착돌기(71)와 개폐돌봉(72)이 형성된 개폐봉(70)과, 개폐봉(70)에 끼워진 스프링(60)에 의하여 지지되고 개폐돌륜(51)이 내주면에 형성된 피스톤 부재(50)와, 피스톤 부재(50) 및 캡(10)과 삽입 결합된 누름봉(30)으로 형성되며, 특히 실린더(9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밸브 안착부(91)에 흡입밸브(110)가 놓여지고, 흡입밸브(110)의 상부면 중앙부를 개폐봉(70)이 가볍게 눌러 고정하며, 피스톤부재(50)의 상단부에 배출밸브(120)가 놓여지고, 배출밸브(120)의 상부면 중앙부를 누름봉(30) 내측에 형성된 밸브 누름봉(130)이 가볍게 눌러 고정한다. 본 고안의 밸브(110, 120)들은 다른 부분에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내용물의 압력 변화에 따라 쉽게 열리고 닫히므로 내용물의 유통이 훨씬 원활해지며, 따라서, 제품 사용시의 펌핑 작동이 종전보다 훨씬 부드러워지고 제품 신뢰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액체 펌프 {Liquid Pump}
본 고안은 액체 내용물을 압출시키는데 사용되는 액체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 내용물의 유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핑 작동을 부드럽게 구현할 수 있는 흡입밸브와 배출밸브를 구비한 액체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 등에서 사용되는 액체 펌프는 용기 내에 담겨 있는 액체 내용물을 용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액체 펌프를 설명하자면, 지지체(20) 내부에 결합된 실린더(90) 내부에는 개폐봉(70)과 스프링(60) 및 피스톤 부재(50)가 설치되고, 피스톤 부재(50)와 결합된 누름봉(30)에는 캡(10)이 끼워져 결합된다. 개폐봉(70) 하단에는 흡입밸브(80)가 끼움 결합되는 한편, 누름봉(30) 상단에는 배출밸브(40)가 역시 끼움 결합된다.
액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캡(10)을 누르게 되면, 누름봉(30)과 피스톤부재(50)가 하강하면서 피스톤 부재(50)와 개폐봉(70) 사이에 틈새가 생겨 액체 내용물이 유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피스톤 부재(50)의 하강에 따라 실린더(9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실린더(90) 내부에 담겨있는 내용물은 배출밸브(40)를 밀어내면서 캡(10)의 배출공(11)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밸브(40)는 누름봉(30) 상단에 형성된 끼움돌기(32)에 끼워져 결합되며, 끼움돌기(32)들 사이의 틈을 통하여 내용물이 상승할 때 배출밸브(40)의 가장자리 부분이 위로 들리면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내용물 배출후 눌렀던 캡(10)을 놓게 되면, 피스톤 부재(50)는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90) 내부의 압력은 감소하게 되며, 그에 따라 흡입밸브(80)의 가장자리가 들리면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빨아들이게 된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액체 펌프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은 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7-17762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액체 펌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펌프의 기능은 실린더(9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흡입밸브(80) 또는 배출밸브(40)를 열고 닫으면서, 용기 내부로부터 실린더(90) 안으로 액체 내용물을 유입하거나 실리더(90)로부터 용기 밖으로 액체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펌프 구조에서 흡입밸브(80)와 배출밸브(40)는 각각 개폐봉(70)과 누름봉(30)에 끼움 결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끼움 결합되는 부위인 각 밸브의 중앙부는 실제 액체 내용물의 유통에 관여하지 못한다. 즉, 밸브의 중앙부는 항상 고정된 상태로 있으며, 내용물을 유통시키기 위하여 열고 닫히는 부위는 밸브의 가장자리 부분이다. 따라서, 액체 내용물의 유통은 밸브 가장자리가 들릴 때의 미세한 틈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아무리 탄력성이 좋은 재질의 밸브라 할지라도 밸브의 구조상 내용물의 원활한 유통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내용물의 유통이 원활하지 못하면, 실제로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펌핑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는 곧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체 내용물의 유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핑 작동을 부드럽게 구현할 수 있는 액체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체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 펌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 펌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캡을 눌렀을 때를 나타내며 도 4b는 눌렀던 캡을 놓았을 때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캡 20: 지지체
30: 누름봉 40, 120:배출밸브
50: 피스톤 부재 60: 스프링
70: 개폐봉 80, 110: 흡입밸브
90: 실린더 130: 밸브 누름봉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출공(11)이 뚫려있는 캡(10)과,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실린더(90)와, 상기 실린더(90)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안착돌기(71)와 개폐돌봉(72)이 형성된 개폐봉(70)과, 상기 개폐봉(70)에 끼워진 스프링(60)에 의하여 지지되고 개폐돌륜(51)이 내주면에 형성된 피스톤 부재(50)와, 상기 피스톤 부재(50) 및 상기 캡(10)과 삽입 결합된 누름봉(30)으로 형성되어 펌핑작동을 하는 공지의 펌프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9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밸브 안착부(91)에 흡입밸브(110)가 놓여지고, 상기 흡입밸브(110)의 상부면 중앙부를 상기 개폐봉(70)이 가볍게 눌러 고정하며, 상기 피스톤 부재(50)의 상단부에 배출밸브(120)가 놓여지고, 상기 배출밸브(120)의 상부면 중앙부를 상기 누름봉(30) 내측에 형성된 밸브 누름봉(130)이 가볍게 눌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 펌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체(20) 내부에는 실린더(90)가 끼움 결합되고, 실린더(90) 내부에는 개폐봉(70)과 스프링(60) 및 피스톤 부재(50)가 설치된다. 개폐봉(70) 하부에는 다수의 안착돌기(7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90) 내부의 바닥에 안착된다. 안착돌기(71)들 사이의 틈은 내용물이 유통되는 통로이다. 개폐봉(70) 상부에는 개폐돌봉(72)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돌봉(72)은 피스톤 부재(50)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개폐돌륜(51)에 걸리게 된다. 개폐봉(70) 외주면에는 스프링(60)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60)에 의하여 피스톤 부재(50)가 지지된다. 피스톤 부재(50)는 지지체(20) 상부로 삽입되는 누름봉(30)과 결합되며, 누름봉(30)에는 캡(10)이 끼워진다. 캡(10)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공(11)이 뚫려있다.
실린더(90) 내측 하단의 밸브 안착부(91)에는 흡입밸브(110)가 놓여지고, 흡입밸브(110)의 상부면 중앙부를 개폐봉(70)이 가볍게 눌러 고정한다. 반면, 피스톤 부재(50)의 상단부에는 배출밸브(120)가 놓여지고, 배출밸브(120)의 상부면 중앙부를 누름봉(30) 내측에 형성된 밸브 누름봉(130)이 가볍게 눌러 고정한다.
흡입밸브(110)와 배출밸브(120)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와 같이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가 얇은 원판형의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원판형의 형태가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은 아니므로, 밸브의 형태가 반드시 원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흡입밸브(110)와 배출밸브(120)의 상하부면에는 각각 가장자리를 따라 환돌기(112, 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액체 펌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캡을 눌렀을 때와 눌렀던 캡을 놓았을 때로 구분하여 각각 도 4a와 도 4b에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을 누르면 누름봉(30)과 피스톤 부재(50)도 같이 하강한다. 따라서, 개폐돌륜(51)과 개폐돌봉(72)으로 인하여 막혀있던 피스톤 부재(50)와 개폐봉(7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이 틈새를 통하여 액체 내용물이 유통할 수 있게 된다. 피스톤 부재(50)의 하강은 실린더(9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실린더(90) 내부에 담겨있는 내용물은 피스톤 부재(50) 상단에 위치한 배출밸브(120)를 밀어내면서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밸브(120)는 종래의 경우와 달리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있지 않다. 단지, 피스톤 부재(50) 상단부에 놓여져 있을 뿐이다. 그리고 밸브 누름봉(130)이 배출밸브(120)의 상부면 중앙부를 가볍게 눌러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배출밸브(120)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하여 쉽게 들리며, 내용물의 배출통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배출밸브(120)를 결합하기 위한 종래의 끼움돌기와 같은 수단이 필요 없으므로 그만큼 내용물 배출통로가 증가하는 효과도 있다.
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 배출후 눌렀던 캡(10)을 놓게 되면 피스톤 부재(50)는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90) 내부의 압력은 감소하게 되며, 그에 따라 흡입밸브(110)의 가장자리가 들리면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빨아들이게 된다. 배출밸브(120)와 마찬가지로 흡입밸브(110) 역시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실린더(90) 내측 하단의 밸브 안착부(91)에 놓여져 있다. 그리고, 개폐봉(70)이 흡입밸브(110)의 상부면 중앙부를 가볍게 눌러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실린더(90) 내부의 압력 감소에 따라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쉽게 실린더(90)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 펌프는 기존의 액체 펌프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즉, 밸브의 중앙부를 다른 부분에 결합하고 밸브 가장자리가 미세하게 열리고 닫히는 작용에 의하여 액체 내용물의 유통을 제어하던 종래의 펌프 구조를 탈피함으로써, 내용물의 압력 변화에 따라 밸브가 쉽게 열리고 닫히게 되어 내용물의 유통이 훨씬 원활해진다. 따라서, 제품 사용시의 펌핑 작동이 종전보다 훨씬 부드러워지며,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출공(11)이 뚫려있는 캡(10)과,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실린더(90)와, 상기 실린더(90)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안착돌기(71)와 개폐돌봉(72)이 형성된 개폐봉(70)과, 상기 개폐봉(70)에 끼워진 스프링(60)에 의하여 지지되고 개폐돌륜(51)이 내주면에 형성된 피스톤 부재(50)와, 상기 피스톤 부재(50) 및 상기 캡(10)과 삽입 결합된 누름봉(30)으로 형성되어 펌핑작동을 하는 공지의 펌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9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밸브 안착부(91)에 상하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환돌기(112)가 형성된 흡입밸브(110)가 놓여지고, 상기 흡입밸브(110)의 상부면 중앙부를 상기 개폐봉(70)이 가볍게 눌러 고정하며, 상기 피스톤 부재(50)의 상단부에 상하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환돌기(122)가 형성된 배출밸브(120)가 놓여지고, 상기 배출밸브(120)의 상부면 중앙부를 상기 누름봉(30) 내측에 형성된 밸브 누름봉(130)이 가볍게 눌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프.
KR2019990016444U 1999-08-11 1999-08-11 액체 펌프 KR200166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444U KR200166569Y1 (ko) 1999-08-11 1999-08-11 액체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444U KR200166569Y1 (ko) 1999-08-11 1999-08-11 액체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569Y1 true KR200166569Y1 (ko) 2000-02-15

Family

ID=1958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444U KR200166569Y1 (ko) 1999-08-11 1999-08-11 액체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5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6207A1 (en) * 2006-05-22 2007-11-29 Chong Woo Co., Ltd. Small-sized hand-operated spray pu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6207A1 (en) * 2006-05-22 2007-11-29 Chong Woo Co., Ltd. Small-sized hand-operated spray pu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104B1 (en) Coffee maker
CN108652363A (zh) 两件式防洒开口杯
EP3495281A1 (en) Beverage receptacle and valve for injection-via-bottom beverage receptacle
KR101816554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166569Y1 (ko) 액체 펌프
KR102078287B1 (ko) 화장품 용기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200383124Y1 (ko)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JPH09240701A (ja) チューブ容器の吐出開口装置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KR200393970Y1 (ko)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
US20040144435A1 (en) Check valve
KR200337845Y1 (ko) 액상펌프의 패킹구조
KR200227201Y1 (ko) 액체 펌프 및 그 액체 펌프와 피스톤이 설치된 화장품 용기
JP3000655U (ja) 液体容器
KR200166563Y1 (ko) 파우치 펌프 디스펜서 구조
KR920004351Y1 (ko)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KR200159542Y1 (ko) 액체 펌프
KR101966415B1 (ko) 일체형 타이어 밸브
CN201046426Y (zh) 一种液体内装物喷出用的喷液泵
US20230182973A1 (en) Cover and Water Container Using Same
JPS5814298Y2 (ja) オ−バ−フロ−防止機構を備えた貯液装置
JPH0344680Y2 (ko)
KR200253320Y1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기
KR200222698Y1 (ko) 액체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