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970Y1 -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970Y1
KR200393970Y1 KR20-2005-0015463U KR20050015463U KR200393970Y1 KR 200393970 Y1 KR200393970 Y1 KR 200393970Y1 KR 20050015463 U KR20050015463 U KR 20050015463U KR 200393970 Y1 KR200393970 Y1 KR 200393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ver
lid
projection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문
Original Assignee
윤기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문 filed Critical 윤기문
Priority to KR20-2005-0015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대가 내장되는 물병에 관한 것으로, 뚜껑이 오픈됨과 동시에 물병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빨대가 펼쳐지면서 빨대를 통하여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을 닫을 때 빨대가 2차로 절곡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물병이 넘어졌을 경우 물이 빨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뚜껑 몸체(1)에 설치되어 있는 빨대(2)의 후미에 공기공급밸브(3)를 설치하되 그 후미 양측에 덮개(4)를 고정하는 지지구(5)를 돌출 형성하여 덮개(4)를 지지함으로써 덮개(4)에 의하여 공기공급 밸브(3)가 자동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며, 덮개(4)의 선단부 저면에는 차단판(6)과 압착돌기(7)를 돌출 형성하며 차단판(6)과 압착돌기(7)와 대응되는 뚜껑 몸체(1)의 체결부에는 걸림돌기(8)와 고정돌기(9)를 돌출 형성하고, 차단판(6)이 빨대(2)의 끝 부분을 밀폐되게 막도록 하고, 저면에 압착돌기(7)와 고정돌기(9)에 의하여 빨대(2)가 'M'형으로 절첩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뚜껑에 설치된 덮개의 열고 닫음에 의하여 밸브가 작동함으로써 빨대를 통하여 물이 넘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빨대를 'M'형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물병이 넘어져도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을 닫을 때 뚜껑의 끝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이 빨대의 끝 부분을 막은 상태에서 절첩되도록 함으로서, 빨대의 내부로 불결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Air feed mechanism of the water bottle where the straw is had built-in}
본 고안은 빨대가 내장되는 물병에 관한 것으로, 뚜껑이 오픈됨과 동시에 물병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빨대가 펼쳐지면서 빨대를 통하여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을 닫을 때 빨대가 2차로 절곡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물병이 넘어졌을 경우 물이 빨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용 물병은 물병 몸체와 뚜껑이 결합된 것과 뚜껑에 빨대가 내장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바, 이 중에서도 특히 빨대가 내장된 물병은 내부에 물을 넣은 상태에서 물병을 보관할 경우 날씨가 더우면 내부에 기압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병 내부의 공기가 팽창됨으로써 물을 밖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와 같은 기압의 차이 때문에 물은 빨대를 타고 출구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빨대가 설치된 물병은 뚜껑 몸체의 상부 중앙부에 빨대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뚜껑 몸체와 덮개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되 삽입홈의 상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뚜껑이 닫히면서 빨대를 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빨대가 돌출부가 형성된 삽입홈으로 절곡하게 됨으로써 그 상부를 덮개가 지나가면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빨대는 뚜껑이 미는 힘에 의하여 삽입홈으로 절곡되면서 돌출부에 의하여 압착하고 있기 때문에 빨대의 내부가 막히게 됨으로써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단순히 빨대를 'ㄱ'형으로 절곡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온도의 차이에 의하여 물병의 내부에 압이 발생할 경우 물이 빨대의 절곡된 부분을 밀고 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빨대가 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공기 공급 밸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을 오픈한 상태에서 공기공급밸브를 열고 닫아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의 물병은 뚜껑을 오픈하기 전에 사용자가 일일이 공기공급밸브를 손으로 회전시켜 열고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공기공급밸브를 열지 않고 뚜껑을 오픈하였을 경우 물병의 내부에 있던 압이 팽창하면서 빨대의 절곡부에 압박하고 있던 물이 빨대가 수직으로 펼쳐짐과 동시에 빨대를 통하여 외부로 튀어나오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얼굴이나 옷에 물이 묻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뚜껑을 오픈함과 동시에 공기 공급밸브가 작동하여 오픈하게 되고, 뚜껑이 완전히 오픈되면 공기 공급 밸브의 작동이 끝난 상태이며, 뚜껑을 닫게 되면 다시 밸브가 자동으로 닫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빨대를 'M'형으로 절곡되게 함으로서, 물병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여도 절곡부에 의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덮개를 닫을 때 덮개의 끝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차단판이 빨대의 끝부분을 막은 상태에서 절첩되도록 함으로서, 빨대의 내부로 불결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통 몸체의 상부에 뚜껑이 설치되고 뚜껑의 중앙부에는 빨대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여 덮개에 의하여 빨대가 절첩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뚜껑 몸체(1)에 설치되어 있는 빨대(2)의 후미에 공기공급밸브(3)를 설치하되 그 후미 양측에 덮개(4)를 고정하는 지지구(5)를 돌출 형성하여 덮개(4)를 지지함으로써 덮개(4)에 의하여 공기공급 밸브(3)가 자동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며, 덮개(4)의 선단부 저면에는 차단판(6)과 압착돌기(7)를 돌출 형성하며 차단판(6)과 압착돌기(7)와 대응되는 뚜껑 몸체(1)의 체결부에는 걸림돌기(8)와 고정돌기(9)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차단판(6)이 빨대(2)의 끝부분을 밀폐되게 막도록 하고 압착돌기(7)와 고정돌기(9)에 의하여 빨대(2)가 'M'형으로 절첩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공기 공급밸브(3)는 뚜껑 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빨대의 후미에 흡입공(10)이 형성된 삽입홈(11)을 장공형으로 형성하되 삽입홈(11)의 중앙부에 돌출부(12)를 돌출 형성하고, 삽입홈(11)의 후미 양측에는 덮개(4)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구(5)를 형성하며 삽입홈(11)에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된 연질의 작동구(13)를 삽입하되 작동구(13)의 저면 일측에는 차단돌기(14)를 돌출 형성하여 흡입공(10)을 차단하도록 하고, 중간부에는 요홈(15)을 형성하여 돌출부(12)가 삽입되도록 하되 돌출부에 의하여 작동구(13)가 좌우로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덮개(4)의 후미에는 돌출부(16)를 돌출 형성하여 덮개가 열렷을 때 돌출부가 스톱퍼 구실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덮개(4)의 후미 저면에는 압착돌기(17)를 돌출형성하여 작동구(13)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뚜껑 몸체(1)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4)를 오픈시키기 위하여 덮개(4)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덮개의 차단판(6) 끝부분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와 뚜껑 몸체(1)에 형성된 걸림돌기(8)가 이탈하게 되면서 뚜껑 몸체(1)와 덮개(4)사이에 절첩되어 있던 빨대(2)의 탄력에 의하여 덮개(4)가 열리게 된다.
이때 덮개(4)가 열림과 동시에 덮개(4)의 후미가 공기공급밸브(3)에 설치된 작동구(13)의 후미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구(13)는 뚜껑 몸체(1)의 삽입홈(11)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2)에 의하여 좌우로 작동하게 되므로 작동구(13)의 일측 저면에 형성된 차단돌기(14)가 흡입공(10)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물병의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뚜껑 몸체(1)에 설치된 덮개(4)가 오픈되면 덮개에 막혀 있던 빨대(2)가 'M'형으로 절첩되어 있다가 덮개(4)가 오픈됨과 동시에 자체 탄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덮개(4)의 후미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6)가 작동구(13)와 접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구(13)가 연질이므로 돌출부(16)가 작동구(13)에 고정됨으로써 덮개(4)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4)를 닫고자 할 경우 덮개(4)를 닫기 위하여 지지구(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덮개(4)의 끝부분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차단판(6)이 빨대(2)의 끝부분에 닿게 되고, 이와 동시에 차단판(6)의 후미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압착돌기(7)가 빨대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4)를 닫게 되면 차단판(6)과 압착돌기(7)에 의하여 빨대(2)가 'ㄱ' 형상으로 절첩하게 되고, 빨대(2)가 뚜껑 몸체(1)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9)에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계속 누르게 되면 빨대가 고정돌기와 압착돌기(7)에 의하여 M형으로 절첩하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단판(6)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뚜껑 몸체(1)에 형성된 걸림돌기(8)에 걸려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덮개(4)가 닫히게 되면 덮개(4)의 저면에 형성된 압착돌기(7)가 작동구(13)를 타측방향으로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구(13)가 작동하여 작동구의 저면에 형성된 압착돌기(17)가 흡입공(10)을 막게 됨으로써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뚜껑에 설치된 덮개의 열고 닫음에 의하여 공기흡입밸브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뚜껑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빨대를 'M'형으로 절곡되게 함으로서, 물병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여도 절곡부에 의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뚜껑에 설치된 덮개의 열고 닫음에 의하여 밸브가 작동함으로써 빨대를 통하여 물이 넘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빨대를 'M'형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물병이 넘어져도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을 닫을 때 뚜껑의 끝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이 빨대의 끝 부분을 막은 상태에서 절첩되도록 함으로서, 빨대의 내부로 불결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로서 뚜껑을 개폐할 때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밸브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는 뚜껑이 열린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뚜껑이 닫힐 때 뚜껑에 설치된 돌출부가 발대의 끝 부분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뚜껑 몸체 2. 빨대 3. 공기공급밸브
4. 덮개 5. 지지구 6. 차단판
7. 압착돌기 8. 걸림돌기 9. 고정돌기
10. 흡입공 11. 삽입홈 12. 16. 돌출부
13. 작동구 14. 차단돌기 15. 요홈
17. 압착돌기

Claims (4)

  1. 물통 몸체의 상부에 뚜껑이 설치되고 뚜껑의 중앙부에는 빨대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여 덮개에 의하여 빨대가 절첩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뚜껑 몸체(1)에 설치되어 있는 빨대(2)의 후미에 공기공급밸브(3)를 설치하되 그 후미 양측에 덮개(4)를 고정하는 지지구(5)를 돌출 형성하여 덮개(4)를 지지함으로써 덮개(4)에 의하여 공기공급 밸브(3)가 자동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며, 덮개(4)의 선단부 저면에는 차단판(6)과 압착 돌기(7)를 돌출 형성하며 차단판(6)과 압착돌기(7)와 대응되는 뚜껑 몸체(1)의 체결부에는 걸림돌기(8)와 고정돌기(9)를 돌출 형성하고, 차단판(6)이 빨대(2)의 끝부분을 밀폐되게 막도록 하고, 저면에 압착돌기(7)와 고정돌기(9)에 의하여 빨대(2)가 'M'형으로 절첩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밸브(3)는 뚜껑 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빨대의 후미에 흡입공(10)이 형성된 삽입홈(11)을 장공형으로 형성하되 삽입홈(11)의 중앙부에 돌출부(12)를 돌출 형성하고, 삽입홈(11)의 후미 양측에는 덮개(4)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구(5)를 형성하며 삽입홈(11)에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된 연질의 작동구(13)를 삽입하되 작동구(13)의 저면 일측에는 차단돌기(14)를 돌출 형성하여 흡입공(10)을 차단하도록 하고, 중간부에는 요홈(15)을 형성하여 돌출부(12)가 삽입되도록 하되 돌출부에 의하여 작동구(13)가 좌우로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덮개(4)의 후미에는 돌출부(16)를 돌출 형성하여 덮개가 열렷을 때 돌출부가 스톱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덮개(4)의 후미 저면에는 압착돌기(17)를 돌출형성하여 작동구(13)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공급장치.
  3. 제 1항에 이어서, 뚜껑 몸체(1)의 체결부에는 걸림돌기(8)와 고정돌기(9)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차단판(6)이 빨대(2)의 끝부분을 밀폐되게 막도록 하고, 저 면에 압착돌기(7)와 고정돌기(9)에 의하여 빨대(2)가 'M'형으로 절첩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뚜껑 몸체에 설치된 덮개의 열고 닫음에 의하여 공기공급밸브가 열고 닫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공급장치.
KR20-2005-0015463U 2005-05-31 2005-05-31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 KR200393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463U KR200393970Y1 (ko) 2005-05-31 2005-05-31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463U KR200393970Y1 (ko) 2005-05-31 2005-05-31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970Y1 true KR200393970Y1 (ko) 2005-08-30

Family

ID=4369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463U KR200393970Y1 (ko) 2005-05-31 2005-05-31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9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19B1 (ko) 2008-01-22 2009-11-16 박헌호 이중밸브가 형성된 음료용기의 스트로 마개
KR102318570B1 (ko) * 2020-06-15 2021-10-27 천성배 접이식 빨대컵용 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19B1 (ko) 2008-01-22 2009-11-16 박헌호 이중밸브가 형성된 음료용기의 스트로 마개
KR102318570B1 (ko) * 2020-06-15 2021-10-27 천성배 접이식 빨대컵용 뚜껑
CN113800086A (zh) * 2020-06-15 2021-12-17 千成培 折叠式吸管杯用盖
WO2021256792A1 (ko) * 2020-06-15 2021-12-23 천성배 접이식 빨대컵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2731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навесной крышкой для бутылок и тому подобных с систем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крывания крышки
MX2008013812A (es) Tapon con tapa abatible para botellas y similares dotado de un sistema automatico de apertura de la tapa que comprende un pulsador mejorado.
KR200393970Y1 (ko) 빨대가 내장된 물병의 공기 공급장치
KR101303923B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ITMI990229A1 (it) Coperchio per recipienti
KR20060116628A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 밀폐용기
JPH04215721A (ja) コーヒメーカまたはティーメーカ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容器
KR200353418Y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200192606Y1 (ko) 우유병의 공기유입장치
KR100462455B1 (ko) 밸브 기능을 갖는 스트로우
KR20070049913A (ko) 역류방지수단을 갖는 음료용기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442421Y1 (ko) 원터치로 공기단속수단을 갖는 용기뚜껑
KR200166569Y1 (ko) 액체 펌프
CN213820882U (zh) 一种水杯及水杯组件
CN217659128U (zh) 一种吸管杯锁止结构以及杯盖
KR200230226Y1 (ko) 화장품 토출용 노즐의 토출공 개폐구조
KR200429385Y1 (ko) 개폐가 용이한 물병용 뚜껑
JP3662428B2 (ja) 液体容器
JP3490053B2 (ja) スイッチ式シャワー器
KR200393975Y1 (ko) 물병의 공기흡입밸브의 마찰력 감소장치
KR200327760Y1 (ko) 냉온수용 절수형 풋밸브
KR970006023Y1 (ko) 진공 보온병용 속마개
KR200173355Y1 (ko) 진공 보온병용 뚜껑
JP2002282118A (ja) 吸 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