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351Y1 -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351Y1
KR920004351Y1 KR2019900000753U KR900000753U KR920004351Y1 KR 920004351 Y1 KR920004351 Y1 KR 920004351Y1 KR 2019900000753 U KR2019900000753 U KR 2019900000753U KR 900000753 U KR900000753 U KR 900000753U KR 920004351 Y1 KR920004351 Y1 KR 920004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button
contents
hand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853U (ko
Inventor
이무호
Original Assignee
이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호 filed Critical 이무호
Priority to KR2019900000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351Y1/ko
Publication of KR910013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8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05B11/1025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a spring urging the outlet valve in its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제 1 도는 종래 핸드펌프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 펌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용기캡 31a : 결합부
31b : 환상 걸림돌조 32 : 피스톤
32a : 팩킹부 32c : 환상걸림홈
33 : 실린더 33a : 결합부
33c : 환상걸림홈 34 : 버튼
34a : 결합부 34b : 환상 걸림돌조
34c : 배출구 35, 36 : 볼
37, 38 : 압축코일 스프링 50 : 용기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을 간단화하여 사용부품수를 절감하고, 용기 보관시 내용물이 무단히 유출된을 방지하도록 한 핸드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를 주둥이에 부착한 용기를 버튼을 누름으로서 내용물을 간편하게 추출할수 있기 때문에 로숀, 스킨, 향수, 샴푸 및 린스 등 각종 화장품 용기로서 가정 및 영업장소에 폭 넓게 이용되고 있으나, 종래에 사용되는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는 많은 사용부품이 요구되는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있고, 용기의 내용물이 무단히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제 1 도는 종래 용액 추출용 핸드 펌프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20)에 나사맞춤으로 결합되는 용기캡(1)의 중간 결합부(1a) 내측에는 상단부(2a)에 볼(3)이 삽입되는 중공관체상 피스톤(2)을 하측에서 삽입하며, 그 피스톤(2) 하단부에는 피스톤 팩킹(4)을 개재하고 팩킹받침(5)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플랜지(6a)와 결합부(6b)를 가지는 실린더(6)를 상기 용기캡(1)의 결합부(1a)에 끼워 고정하고, 그 실린더(6)의 플랜지(6a)하면에는 용기(20)의 상단부와 기밀유지를 위한 팩킹(7)을 고정하며, 상기 실린더(6)의 하단부 유입구(6c)측에는 볼(8)을 삽입하고 상기 실린더(6)의 내부에는 상기 볼(8)을 하향으로, 상기 피스톤(2)을 상향으로 탄지하는 압축코일 스프링(9)을 삽입하는 한편, 상기 피스톤(2)의 상단부에는 배출구(10a)를 가지는 버튼(10)을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는 피스톤(2)의 내측 유동로를 보인 것이고, 1b, 20a는 용기캡(1)과 용기(20)의 주둥이에 형성된 나사부를 각각 보인 것이며, 11은 실린더(6)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용기(20)의 내용물에 잠기는 호스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핸드 펌프는 제 1 도의 상태에서는 실린더(6)내부에 삽입된 압축 코일스프링(9)의 탄력에 의하여 피스톤(2)과 버튼(10)이 상승되어 있고, 실린더(6)하단부를 볼(8)은 실린더(6)의 유입구(6c)를 폐쇄하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6) 내부에는 내용물이 채워져 있다.
이와같은 제 1 도의 상태에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버튼(10)을 누르면 피스톤(2)과 그 하단부에 결합된 피스톤팩킹(4) 및 팩킹받침(5)이 하향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9)이 압축되며, 이때 실린더(6)내부에는 압력이 올라감에따라 피스톤(2)의 상단부에 삽입된 볼(3)이 위로 올라가면서 실린더(6)의 내부에 있는 용액이 실린더(6)의 상측으로 상승하여 피스톤(2)의 유동로(2')를 경유하고 배출구(10a)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하여 내용물을 소정량 배출시킨후 버튼(10)을 놓으면 압축코일스프링(9)의 복원팽창력에 의하여 피스톤(2)과 버튼(10)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볼(3)이 피스톤(2)의 유동로(2')상단부를 막아주고 실린더(6)의 내부에는 저압이 작용하여 실린더(6)하단부의 볼(8)이 개방되면서 용기(20)내부의 내용물이 실린더(6)의 유입구(6c)를 통하여 실린더(6)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후 버튼(10)을 누름에 의하여 버튼(10)의 배출구(10a)로 배출됨은 상기한 바와같다.
이와같은 종래의 핸드 펌프는 피스톤(2)의 하단부에 팩킹받침(5)을 삽입하고, 피스톤(2)의 하단부와 팩킹받침(5)사이에 피스톤팩킹(4)을 삽입 고정한 구성으로서 피스톤 팩킹(4)과 팩킹받침(5)이 별도로 요구되어 사용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아니라, 용기주위의 온도가 올라가면 내용물 특히 로숀, 스킨, 향수는 알콜성분이 있어 실린더(6)내부에서 증발되면서 그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피스톤(2)상단부의 볼(3)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무단히 유출되는 결함이 있는 것이었다.
그외에도 종래의 핸드 펌프는 용기캡(1)과 실린더(6)의 결합부분 그리고 피스톤(2)과 버튼(10)의 결합부분이 단순한 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핸드 펌프는 사용부품이 증가하여 원자재 비용이 증가하고 조립시간이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 되었을 뿐 아니라, 조립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였으며, 평상시에 내용물이 무단히 유출되어 사용상 불편한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3개 부분으로 된 피스톤을 1개 부품으로 간단화하고,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무단히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여, 용기캡과 실린더, 피스톤과 버튼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내용물 추출용 핸드펌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사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용기(50)에 나사맞춤으로 결합되는 용기캡(31)과, 상기 용기캡(31)의 결합부(31a)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피스톤(32)과,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실린더(33)와, 상기 피스톤(32)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버튼(34)과, 상기 실린더(33)의 하단부와 상기 피스톤(32)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볼(35)(36)과 압축 코일스프링(37)(38)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캡(31)은 그 중간부에 U자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부(31a)가 환상으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32)은 하단부에 실린더(33)은 내주면과 밀착되는 팩킹부(32a)가 일체로 형성되고 팩킹부(32a)의 하단부에 환상 지지홈(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33)는 상기 용기캡(31)의 결합부(31a)가 끼워지는 결합부(33a)와 플랜지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33)의 결합부(33a)의 내주면과 용기캡(31)의 결합부(31a)의 외주면에는 서로 걸리는 환상걸림홈(33c)과 환상걸림돌조(31b)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34)의 결합부(34a)의 내주면과 피스톤(32)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서로 걸리는 환상걸림돌조(34b)와 환상걸림홈(32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31c, 50a는 용기캡(31)과 용기(50)에 형성된 나사부를 각가 보인 것이고, 31d는 용기캡(31)의 상측부에 형성된 버튼 지지부를 보인 것이며, 32'는 피스톤(32)의 유동로, 32d는 피스톤(32)의 하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 33d는 실린더(33)에 형성된 공기통공, 33e는 실린더(33)의 유입구, 34c는 버튼(34)의 배출구를 각각 보인 것이고, 39는 팩킹, 40은 실린더(33)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호스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핸드 펌프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먼저 용기캡(31)의 결합부(31a)에 피스톤(32)을 하측에서 삽입하며, 이와같이 피스톤(32)을 삽입하면 피스톤(32)의 하측부 걸림돌기(32d)가 용기캡(31)의 결합부(31a)하단부에 걸리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후에 실린더(33) 내부에 볼(35)과 압축코일스프링(37)을 삽입한후 실린더(33)의 결합부(33a)를 용기캡(31)의 결합부(31a)에 끼워 넣으면 환상걸림홈(33c)과 환상거림돌조(31b)가 걸리면서 실린더(33)가 용기캡(31)에 고정되며 이때 피스톤(32)의 팩킹부(32a)는 실린더(33)내부에 삽입되고, 볼(35)에 하단부가 접촉되는 압축코일스프링(37)의 상단부가 피스톤(32)의 하단환상지지홈(32b)에 삽입된다.
이후에 버튼(34)의 결합부(34a)내측에 압축코일스프링(38)을 삽입하는 동시에 볼(36)을 삽입하고 버튼(34)의 결합부(34a)에 피스톤(32)의 상단부를 삽입하면 환상걸림돌조(34b)가 환상걸림홈(32c)에 삽입되면서 피스톤(32)에 버튼(34)이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의 내용물 추출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제 2 도는 버튼(34)과 피스톤(32)이 압축코일스프링(37)에 의하여 상승되고, 실린더(33)의 하측부에 삽입되는 볼(35)에 의해 실린더(33)의 유입구(33e)가 폐쇄되며 실린더(33)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채워져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버튼(34)을 누르면 피스톤(32)이 하향 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37)이 압축되며, 이때에는 실린더(33)내부에 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상측볼(36)이 압축 코일스프링(38)의 상측으로 상승하고 피스톤(32)의 유동로(32')를 경유하여 버튼(34)의 배출구(34c)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하여 내용물을 소정량 배출시킨후 버튼(34)을 놓으면 압축코일스프링(37)의 복원탄성력에 의하여 제 2 도와 같이 피스톤(32)과 버튼(34)이 상승되며 피스톤(32)상승함에 따라 상측볼(36)은 폐쇄하고 실린더(33)의 내부에는 저압이 작용하여 실린더(33) 하단부의 볼(35)이 개방되면서 용기(50)의 내용물이 실린더(33)의 유입구(33e)를 통하여 실린더(33)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후 버튼(34)을 누름에 의하여 버튼(34)의 배출구(34c)로 배출됨은 상기한 바와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핸드 펌프는 피스톤(32)의 하단부에 팩킹부(32a)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구성이 간단화 되었고,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피스톤(32)의 상단부에 삽입된 볼(36)이 압축코일스프링(37)의 팽창력 의하여 피스톤(32)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용기(50)주위의 온도가 상승하여 실린더(33) 내부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내용물이 무단히 배출됨이 방지한다. 또한 상기 용기캡(31)의 결합부(31a)와 실린더(33)의 결합부(33a), 그리고 버튼(34)의 결합부(34a)와 피스톤(32)의 상단부는 환상걸림돌조와 환상걸림홈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핸드펌프는 사용 부품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원자재가 절감되고 그에 따라 조립시간이 단축되므로 대량생산에 유리하며, 또한 평상시에 내용물이 무단히 유출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버튼(34)의 결합부(34a)내측에는 하절기에 내용물이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스톤(32)의 상단부에 삽입된 볼(36)을 하측으로 눌러 피스톤(32)의 상단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탄력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8)을 삽입하고, 피스톤(32)의 하단부에는 팩킹부(32a)를 일체로 형성하며, 용기캡(31)의 결합부(31a)와 실린더(33) 결합부(33a)를 서로 맞물리는 환상 걸림돌조(31b)와 환상 걸림홈(33c)으로 끼워 맞춤함과 아울러 버튼(34)의 결합부(34a)와 피스톤(32)의 상단부를 환상 걸림돌조(34b)와 환상걸림홈(32c)으로 끼워 맞춤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KR2019900000753U 1990-01-23 1990-01-23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KR920004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753U KR920004351Y1 (ko) 1990-01-23 1990-01-23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753U KR920004351Y1 (ko) 1990-01-23 1990-01-23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53U KR910013853U (ko) 1991-08-30
KR920004351Y1 true KR920004351Y1 (ko) 1992-06-29

Family

ID=1929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753U KR920004351Y1 (ko) 1990-01-23 1990-01-23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3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562A (ko) 2021-06-21 2022-12-28 최옥희 우유팩형 개봉부를 갖는 용기의 핸드 펌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유팩형 펌핑 용기
KR20230016328A (ko) 2021-07-26 2023-02-02 최옥희 우유팩형 펌핑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Y1 (ko) * 2000-03-24 2000-10-16 주식회사종우실업 내부 구조를 개선시킨 스프레이 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562A (ko) 2021-06-21 2022-12-28 최옥희 우유팩형 개봉부를 갖는 용기의 핸드 펌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유팩형 펌핑 용기
KR20230016328A (ko) 2021-07-26 2023-02-02 최옥희 우유팩형 펌핑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53U (ko) 199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905B1 (ko) 수밀부재를구비한액체분배펌프
JP2607350B2 (ja) 可変容量圧縮チャンバーおよびダイアフラムを有する分与アセンブリ
KR100561958B1 (ko) 일체형 자동밀봉 밸브를 구비한 디스펜싱 클로우져
CN114341015A (zh) 泵容器
US6817490B2 (en) Fluid product dispensing pump
KR920004351Y1 (ko) 액체용기의 내용물 추출용 핸드 펌프
JP2008501518A (ja) 液体製品のための単純化エアレス分与ポンプ
JPH02229564A (ja) 逆止弁
KR102305802B1 (ko) 펌프캡
US20220072573A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0175208B1 (ko)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KR100451865B1 (ko) 에어리스 펌프타입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구조
KR20210124741A (ko) 펌프캡
US7055721B2 (en) Finger-operated spray pump ejaculating fluid in fixed quantity
KR100485039B1 (ko) 화장품용기의 스프레이 펌프
KR200261015Y1 (ko) 디스펜서
KR200281927Y1 (ko) 화장품용기의 스프레이 펌프
KR100397039B1 (ko) 내부 구조를 개선시킨 스프레이 펌프
KR100755809B1 (ko) 수동식 정량 분사 펌프
KR102674492B1 (ko) 듀얼 펌프 용기
KR200295501Y1 (ko) 도립상태에서도 작동가능한 수동식 분사펌프
CN114786530B (zh) 双重容器
KR102062002B1 (ko) 펌프 용기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