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888Y1 - 중량체 고정구 - Google Patents

중량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888Y1
KR200165888Y1 KR2019970012342U KR19970012342U KR200165888Y1 KR 200165888 Y1 KR200165888 Y1 KR 200165888Y1 KR 2019970012342 U KR2019970012342 U KR 2019970012342U KR 19970012342 U KR19970012342 U KR 19970012342U KR 200165888 Y1 KR200165888 Y1 KR 200165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stener
handle
rod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737U (ko
Inventor
임정수
첸진밍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2019970012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888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7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7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바벨의 봉과 같은 봉상부재에 중량체를 장착한 후 중량체가 봉상부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중량체 고정구, 구체적으로는 바벨칼라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중량체 고정구는 봉상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를 구비한 원환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환의 일부가 소정의 폭으로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의 양단에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동일 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암나사부를 가진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고정구 본체와; 일단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구멍에 나사삽입되므로써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절단부 폭을 증감시키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절단부 폭의 증감에 의해 상기 중공부의 직경을 증감시켜 고정구 본체를 봉상부재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량체 고정구{ }
본 고안은 봉상부재에 중량체를 장착한 후 중량체가 봉상부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중량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근육강화를 위한 운동기구인 바벨(Barbell) 등에 사용되는 중량조절용 중량체를 봉상부재에 삽입할 때, 삽입된 중량체가 봉상부재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상부재와 체결되어 중량체를 고정시키는 중량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벨에 있어서는 바벨의 총 중량을 사용자의 근력에 맞추어 조절하기 위하여 소정 중량의 중량체를 바벨의 봉에 삽입하는데, 사용중에 중량체가 봉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량체에 후속하여 고정구, 즉, 바벨 칼라(barbell collar)를 봉에 삽입 장착하여 중량체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바벨의 중량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어온 고정구는 봉상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원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정구의 반지름 방향으로는 암나사부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수나사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상기 암나사부에 끼워 손잡이를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상기 수나사부의 선단면이 봉상부재와 밀착되어 봉상부재를 가압하여 고정구가 봉상부재와 견고히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에 있어서는 고정구와 봉상부재의 체결이 단지 손잡이의 선단면과 봉상부재의 마찰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구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작은 중량의 중량체를 고정시키는데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체결력이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큰 중량체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봉상부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제조될 경우 손잡이 선단면과 봉상부재의 마찰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중량체를 고정시킬 만한 충분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도 6에는 또 다른 형태의 고정구의 일예를 도시하였는데, 원환 형상의 고정구(101)의 내주면에는 요홈부(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는 스틸필름(103)(Steel Film)을 둘러서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에 관용설치된 암나사부(104)에는 손잡이(105)가 삽입되는데, 회전에 의하여 손잡이의 삽입부(107)가 고정구(101) 내부로 진출하게 되면, 손잡이의 삽입부(107)의 선단면이 상기 스틸필름(103)을 가압하고,이에 따라 스틸필름(103)의 내경이 줄어들어 스틸필름(103)이 봉상부재와 밀착되므로써 고정구(101)를 봉상부재에 고정시키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량체를 고정구와 밀착고정시키도록 원환 형상 또는 너트 형상의 밀착나사(109)를 외부에 구비한 밀착구가 봉상부재 방향으로 고정구 본체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에 있어서는 스틸필름을 장착하기 위한 요홈부를 고정구 본체 내부에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공생산성이 저하되며, 요홈부에 별도의 스틸필름을 장착하여야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구와 봉상부재와의 체결력이 낮기 때문에 큰 중량을 가진 중량체를 고정시키는데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한편, 고정구의 손잡이에 있어서는, 고정구의 암나사부(104)에 끼워지는 부분인 삽입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그립부가 일체로 결합된 손잡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후 개량된 형태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5)의 외측 선단부에 손잡이의 삽입부(107)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관통된 관통홈(108)을 설치하고, 상기 관통홈(108)에 막대형상의 그립부(106)를 삽입하되, 상기 그립부(106)가 관통홈(108)에 대하여 진퇴운동이 자유롭도록 삽입된 손잡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손잡이에 있어서는 손잡이의 회전시 상기 그립부(106)가 중량체에 닿게 되어 손잡이의 회전에 지장이 있는 경우, 그립부(106)를 반대쪽으로 움직여 다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1/2회전시킨 후,반대쪽으로 그립부를 이동시키고 다시 손잡이를 1/2 회전시키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고정구의 체결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손잡이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없고 작은 각도로 반복하여 회전시키므로 손잡이를 큰 토오크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고정구를 봉상부재에 견고하게 체결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를 사용하게 되면, 봉상부재와 고정구와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큰 중량체를 고정시키는데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봉상부재에 중량체를 장착한 후 중량체가 봉상부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중량체 고정구로서, 봉상부재와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큰 중량의 중량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중량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사용되는 부품을 줄이고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중량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고정구를 봉상부재에 체결시킬 때 체결동작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 중량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 고정구 본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구 본체의 측면도,
도 3은 밀착구가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 고정구 본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중량체 고정구에 장착되는 손잡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 고정구 본체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종래의 중량체 고정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고정구 본체 2,6:중공부 3:절단부 4a,4b:관통구멍
5:밀착구 7:수나사부 8:오목부 9:밀착나사
10:암나사부 11:절취부 12:손잡이 13:그립부
14:삽입부 15:힌지부 16:단차부
51:봉상부재 52a,52b:중량체
101:종래의 고정구 102:요홈부 103:스틸필름
104:암나사부 105:손잡이 106:그립부
107:삽입부 108:관통홈 109:밀착구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 고정구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봉상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를 구비한 원환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환의 일부가 소정의 폭으로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의 양단에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동일 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암나사부를 가진 관통구멍을 구비한 고정구 본체와; 일단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구멍에 나사삽입되므로써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절단부 폭을 증감시키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절단부 폭의 증감에 의해 상기 중공부의 직경을 증감시켜 고정구 본체를 봉상부재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중량체 고정구는, 고정구 본체의 일측에, 고정구 본체의 중공부와 동일한 직경의 중공부를 가지고 그 외부면에는 수나사부를 구비한 원환형상의 밀착구가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고정구 본체와 상기 밀착구의 연결부분의 원호 일부에는 상기 절단부의 양단이 자유로이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고정구 본체와 밀착구의 연결이 절취된 절취부; 및 상기 밀착구의 수나사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밀착나사가 구비되며, 상기 밀착나사의 진퇴에 의하여 고정구 본체와 중량체가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구 본체에 장착되는 손잡이가 상기 관통구멍에 관통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대하여 절곡가능하도록 연결된 그립부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그립부는 삽입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방향으로는 90의 각도까지 절곡되며, 타측 방향으로는 50°내지 70°의 각도까지만 절곡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중량체 고정구는 바벨의 봉에 장착된 중량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바벨의 봉과 체결되는 바벨칼라로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 고정구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구 본체(1)는 바벨의 봉과 같은 봉상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2)가 구비되어 있는 원환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공부(2)의 직경은 고정구가 사용되는 봉상부재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정해진다.
고정구 본체(1)에는 원환의 지름방향으로 원환의 일부가 절취된 절단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3)는 후술될 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절단부(3)의 양단이 서로 가까워질 수 있도록 소정 폭으로 절단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3)의 양단(3a, 3b)에는 각각 후술될 손잡이가 삽입관통할 수 있도록 손잡이용 관통구멍(4a, 4b)이 동일 축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4a, 4b)의 내부에는 손잡이가 회전에 의하여 삽입되어 그 이동을 제한 할 수 있도록 각각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부의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부 관통구멍(4a) 위쪽으로는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량체 고정구의 측면도이다. 상기 고정구 본체(1)의 후면에는 고정구와 중량체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밀착구(5)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밀착구(5)는 고정구 본체(1)의 중공부(2)와 마찬가지로 봉상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고정구 본체(1)의 중공부(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중공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면에는 수나사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구(5)의 외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나사부(7)에 대응되는 암나사부(10)가 내주면에 형성된 밀착나사(9)가 삽입장착되는데, 회전에 의하여 밀착나사(9)가 진퇴하므로써 고정구 본체(1)가 중량체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이 밀착구(5)는 선택적인 요소로서 고정구에 상기 밀착구(5)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고정구 본체(1)에 밀착구(5)가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후술하는 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절단부 양단(3a, 3b)이 자유로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고정구 본체(1)와 밀착구(5)의 연결부분에는 고정구 본체와 밀착부의 연결이 절취되어 있는 절취부(11)가 구비된다. 즉, 밀착구(5)는 전체 원주가 고정구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밀착구(5)의 원주의 일부만이 고정구 본체(1)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절취부(11)는 고정구 본체(1)의 중공부(2) 원주의 대략 절반정도로 절취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구 본체를 조여주기 위한 손잡이(12)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손잡이(12)는 사용자가 잡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굴절이 가능한 그립부(13)와, 상기 고정구 본체(1)의 절단부 양단(3a,3b)에 형성된 관통구멍(4a,4b)에 삽입되는 삽입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4)의 하부에는 상기 관통구멍(4a,4b) 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구 본체(1)의 관통구멍(4a,4b)에 삽입되어 그립부(13)의 회전에 의하여 관통구멍(4a,4b)내에서 이동하여 고정구 본체(1)의 절단부(3) 폭을 넓히거나 줄이게 된다.
상기 삽입부(14)의 상부 단부에는 힌지부(15)가 형성되어 있고 그립부(13)의 하부 단부가 상기 힌지부(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그립부(13)는 상기 삽입부(14)에 대하여 절곡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립부(13)와 삽입부(14)의 결합에 있어서, 그립부(13)는 도 3의 A위치에서와 같이 삽입부(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방향으로는 90°까지 절곡되나 그 반대방향 즉, 도 3의 B위치 방향으로는 90 °보다 작은 각도, 구체적으로는 삽입부(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약 50°내지 70°까지만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4)의 힌지부(15)는 그립부(13)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힌지부(15)의 양면에 단차부(16)가 형성되어 있는데, 힌지부(15)와 결합되는 그립부(13) 하부단부의 일측은 상기 단차부(16)와 마찰되지 않으며, 그립부(13) 하부단부의 타측은 상기 단차부(16)에 마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서 A위치 방향으로 그립부(13)를 절곡하게 되면 그립부(13)의 하부단부가 단차부(16)와 맞닿지 않으므로 자유로이 회전되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90°까지 절곡이 가능하게 되며, 반면에 그립부(13)를 B위치 방향으로 절곡하는 경우에는 그립부(13) 하부단부의 다른측이 단차부(16)에 걸리게 되어 그립부(13)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B위치 방향으로는 그립부(13)의 절곡이 다소 제한되어 90°보다 작은 각도, 바람직하기로는 삽입부(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약 50°내지 70°까지만 절곡된다.
여기서 그립부(13)의 절곡각도(50°내지 70°)는 고정구 본체의 봉상부재방향의 폭에 따라 정하게 되는데, 고정구 본체의 폭이 큰 경우에는 손잡이의 회전공간이 충분하기 때문에 그립부의 절곡각도를 크게 할 수 있으며, 고정구 본체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그 폭에 맞추어 그립부의 절곡각도를 작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절곡각도가 50°이하인 경우는 손잡이에 충분한 토오크를 가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 고정구를 바벨에 장착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중량체 고정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벨의 봉상부재(51)의 양측에 소정 중량의 중량체(52a,52b)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중량체에 후속하여 고정구(1)가 봉상부재(51)에 삽입장착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밀착구(5)에 장착된 밀착나사(9)를 진퇴시켜 고정구(1)와 중량체(52a,52b)를 밀착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손잡이(12)가 고정구 본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구 본체(1)를 봉상부재(51)에 끼우게 되는데, 손잡이(12)의 삽입부(14)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구 본체(1)의 관통구멍(4a,4b)에 관통 삽입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12)의 그립부(13)를 도 4의 B위치로 절곡시킨 후 그립부(13)를 회전시키게 되면, 관통구멍(4a,4b)에 관통삽입되어 있던 삽입부(14)의 나사운동에 의하여 고정구 본체의 절단부(3) 양단이 좁혀지면서 고정구 본체(1)가 그 중공부(2)에 끼워져 있던 봉상부재(51)를 조여주게 된다. 즉, 손잡이(12)를 회전시키면, 손잡이 삽입부(14)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절단부(3)의 폭이 좁아지고 그에 따라 고정구 본체(1)의 중공부(2) 내경이 작아져 고정구 본체(1)와 봉상부재(51) 사이에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손잡이(12)를 회전시킬 때 그립부(13)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큰 회전 토오크로 손잡이를 돌릴 수 있으며 그 절곡정도가 90°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므로 회전반경이 크지 않아 중량체에 사용자의 손이나 그립부가 걸리지 않고도 용이하게 그립부를 돌릴 수 있게 된다. 체결이 완료된 후에 손잡이의 그립부를 A위치로 절곡시켜 놓으면 사용중 손잡이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게 된다.
고정구의 체결을 풀기 위해서는 손잡이(12)의 그립부(13)를 다시 B위치로 절곡시키고 그립부를 체결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삽입부(14)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절단부(3)의 폭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중공부(2)의 내부 지름도 증가하여 봉상부재와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구 본체에 삽입되는 손잡이로서 상기와 같이 별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그립부와 삽입부가 결합되어 그립부가 자유로이 절곡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립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립부의 절곡이 자유롭지 못한 일반적인 손잡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에 있어서는 고정부 본체가 원환 형태로 일체로 구성되므로써 구성이 간단하며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적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제조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전체의 내경 축소에 의하여 봉상부재를 조여주게 되므로 고정구와 봉상부재와의 체결력이 증가하여 중량체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에따라 큰 중량을 가지는 중량체를 고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는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그립부가 절곡가능한 구성을 가지므로 회전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큰 토오크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견고한 체결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는 일방향으로는 90°보다 작은 각도로만 절곡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손잡이의 회전시 사용자의 손이나 손잡이가 중량체에 부딪치거나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중량체 고정구를, 바벨의 중량체를 고정하기 위한 바벨칼라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봉상부재에 장착된 중량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라면, 어느 용도로도 사용가능하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응용과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봉상부재(51)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2)를 구비한 원환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환의 일부가 소정의 폭으로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3) 및 상기 절단부의 양단에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동일 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암나사부를 가진 관통구멍(4a,4b)을 구비한 고정구 본체(1)와; 일단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구멍(4a,4b)에 나사삽입되므로써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절단부 폭을 증감시키는 손잡이(12);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12)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절단부(3) 폭의 증감에 의해 상기 중공부(2)의 직경을 증감시켜 고정구 본체(1)를 봉상부재(51)와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구 본체(1)의 일측에는, 고정구 본체(1)의 중공부(2)와 동일한 직경의 중공부(6)를 가지고 그 외부면에는 수나사부(7)를 구비한 원환형상의 밀착구(5)가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고정구 본체(1)와 상기 밀착구(5)의 연결부분의 원호 일부에는, 상기 절단부(3)의 양단이 자유로이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고정구 본체(1)와 밀착구(5)의 연결이 절취된 절취부(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의 수나사부(7)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10)를 가진 밀착나사(9)가 구비되며, 상기 밀착나사(9)의 진퇴에 의하여 고정구 본체(1)와 중량체(52)가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고정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는 상기 관통구멍(4a,4b)에 삽입되는 삽입부(14)와, 상기 삽입부에 대하여 절곡가능하도록 연결된 그립부(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고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그립부(13)는 삽입부(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방향으로는 90°의 각도까지 절곡되며, 타측방향으로는 50°내지 70°의 각도까지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고정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부재는 바벨의 봉이며, 상기 고정구는 바벨의 봉에 장착되는 중량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바벨 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고정구.
KR2019970012342U 1997-05-29 1997-05-29 중량체 고정구 KR200165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342U KR200165888Y1 (ko) 1997-05-29 1997-05-29 중량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342U KR200165888Y1 (ko) 1997-05-29 1997-05-29 중량체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737U KR19980067737U (ko) 1998-12-05
KR200165888Y1 true KR200165888Y1 (ko) 2000-01-15

Family

ID=1950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342U KR200165888Y1 (ko) 1997-05-29 1997-05-29 중량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8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737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133A (en) Screwdriver
US6513403B2 (en) Flexible drive rod for access to enclosed locations
JP4754395B2 (ja) ねじ締め機
AU2008235392B2 (en) Tightening device with swivelling handling arm and appliance including such a device
JP3018011B2 (ja) クランプ
US5799371A (en) Pivoting joint
US6412373B1 (en) Operating tool having shanks turnable relative to one another
KR20010024669A (ko) 작업공구
US6675674B2 (en) Locating/controlling structure for telescopic tube
US4971502A (en) Fastening bolt set
US6176158B1 (en) Pincers
KR200165888Y1 (ko) 중량체 고정구
EP1481766A1 (en) Articulated wrench
US20050252348A1 (en) Hand tool having adjustable assistant bar
AU781056B2 (en) Nut assembly
US4745980A (en) Auto-hammer driver
US20080156151A1 (en) Stepless telescopic hand tool
JP3921066B2 (ja) リールシート
JPS6330124Y2 (ko)
JP3103838B2 (ja) 電動ドライバのグリップ機構
CN209977021U (zh) 可二次锁定的膨胀螺丝
GB2256609A (en) Screwdriver
TW200819221A (en) Manual crimp/press tool
JPH0746873Y2 (ja) 三脚用固定具
JPH063891Y2 (ja) ハンドシャワーの姿勢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