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776Y1 -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776Y1
KR200165776Y1 KR2019970023995U KR19970023995U KR200165776Y1 KR 200165776 Y1 KR200165776 Y1 KR 200165776Y1 KR 2019970023995 U KR2019970023995 U KR 2019970023995U KR 19970023995 U KR19970023995 U KR 19970023995U KR 200165776 Y1 KR200165776 Y1 KR 200165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mpressor
voltage
pi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621U (ko
Inventor
이인옥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3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7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6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7Thermostatic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와 전압검출수단를 콘넥터를 이용해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히터 및 전압검출수단에 소정레벨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전압검출수단이 상기 히터 양단의 전압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히터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본 고안은 압축기의 온도조건에 따라 압축기를 가열하여 압축기를 소정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압축기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압축기 히터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데에 적합한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의 온도유지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와, 2핀 컨넥터(20,30), 써모스텟(40) 및, 히터(50)로 이루어져 있다.
도1에 있어서, 필터부(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의 노이즈(noise) 또는 서지(surge) 등의 성분을 여과하여 제거한 다음, 2핀컨넥터(20,30)를 통해 써모스텟(40)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써모스텟(40)은 도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압축기(6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압축기(60)의 온도에 따라 2핀컨넥터(20,30)를 통해 필터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히터(50)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히터(50)는 도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압축기(60)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며, 써모스텟(40)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이용해 열을 발생하여 압축기(60)를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써모스텟(40)은 압축기(60)의 온도가 소정의 하한온도(예를 들면, 5℃ 정도)의 이하이면 온되어, 히터(50)에 전원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히터(50)를 구동시키고, 압축기(60)의 온도가 소정의 상한온도(예를 들면, 12℃ 정도)의 이상이면 오프되어, 히터(50)에 인가되던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히터(50)의 구동을 중단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압축기(60)의 조립공정은 상온에서 이루어지는데 상온에서는 써모스텟(50)이 오프 상태를 유지되므로, 히터(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써모스텟의 온/오프 상태에 상관없이 히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검사할 수 있는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는, 압축기를 가열하여 압축기를 소정온도로 유지시키는 히터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는 히터용 커넥터 및, 상기 히터용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압축기 온도유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써모스텟 및 히터의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온도유지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히터의 전압검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에 대한 등가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히터구동부 210,320 : 3핀컨넥터
220 : 써모스텟 230 : 히터
300 : 전압검출수단 310 : 전압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온도유지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축기 온도유지장치는, 필터부(110)와 2핀컨넥터(120)로 구성된 전원공급부(100) 및, 3핀컨넥터(210)와 써모스텟(220, thermostat)과 히터(230)로 구성된 히터구동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부(100)의 필더부(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의 노이즈 또는 서지 등을 제거하여 2핀컨넥터(120)에 인가하고, 2핀컨넥터(120)는 히터구동부(200)의 3핀컨넥터(210)에 삽입 접속되어 전원공급부(100)의 필터부(1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3핀컨넥터(210)의 3핀 중 첫 번재 핀 및 두 번째 핀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3핀컨넥터(210)는 3핀중 첫 번째 핀이 히더(230)의 일단에 연결되고, 두 번째 핀이 써모스텟(220)의 일단에 연결되며, 세 번째 핀이 상기 히터(230)의 타단에 연결되어, 2핀컨넥터(7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3핀중 첫 번째 핀과 두 번째 핀을 통해 각각 상기 히터(230)의 일단 및 상기 써모스텟(220)의 일단에 인가한다.
또한, 써모스텟(220)은 도시생략된 압축기의 온도에 따라 3핀컨넥터(210)의 두 번째 핀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히터(230)에 인가하여 상기 히터(230)와 상기 전원전압간에 폐회로가 구성되도록 하고, 밴드히터(230)는 3핀컨넥터(210)의 첫 번째 핀과 써모스텟(220)의 양단을 통해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전기적인 폐회로가 구성되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압축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히터의 전압검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압검출수단(300)는 그 일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VAC)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압레벨검출용 저항(R1)과, 상기 전압레벨검출용 저항(Rl)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압계(310) 및, 3핀 중 첫 번째 핀이 상기 전압레벨검출용저항(Rl)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고, 3핀 중 세 번째 핀이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VAC)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3핀컨넥터(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압레벨검출옹 저항(R1)은 히터구동부(200)의 히터(230)와 동일한 저항값을 갖는다.
또한,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는, 전압검출수단(300)의 3핀컨넥터(320)의 첫 번째 핀을 히터구동부(200) 3핀컨넥터(210)의 첫 번째 핀에 삽입 연결하고, 상기 3핀컨넥터(320)의 세 번째 핀을 히터구동부(200) 3핀컨넥터(210)의 세 번째 핀에 삽입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예를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압검출수단(300)의 3핀컨넥터(320)의 첫 번째 핀을 히터구동부(200)의 3핀컨넥터(210)의 첫 번째 핀에 삽입 연결하고, 전압검출수단(300)의 3핀컨넥터(320)의 세 번째 핀을 히터구동부(200) 3핀컨텍터(210)의 세 번째 핀에 삽입 연결하면, 전압검출수단(300)과 히터구동부(200) 간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적인 회로가 구성된다.
여기서, 히터저항(R2)은 히터(230)가 갖는 자체 저항값이며, 전압검출수단(300)의 전압레벨검출용 저항(R1)과 히터저항(R2)의 저항값은 상호 동일하기 때문에, 히터(230)가 정상상태일 경우 전압계(310)의 양단에는 전암레벨검출옹 저항(R1)과 히터저항(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압계(310)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전압[V]은 히터(230)가 정상상태일 경우 하기의 수학식 1에 상응하는 레벨의 전압이 측정된다.
[수학식 1]
측정전압[V]=
여기서, Rl, R2는 동일한 저항값임.
따라서, 검사자가 전압계(310)에 의해 측정된 측정전압[V]이이면,히터(230)가 정상상태이고,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이 측정되면, 히터(230)가 불량상태라고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VAC)의 전압레벨이 220[V] 일 경우, 전압계(310)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전압[V] 대략 110[V] 정도이면, 밴드히터(230)가 정상상태이고, 측정전압[V]이 대략 220[V] 정도이면, 밴드히터(230)의 내부가 단락되어 있는 상태임을 추정할 수있으며, 측정전압[V]이 대략 0[V] 정도이면, 밴드히터(230)의 내부가 단선되어 있는 상태임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히터구동부(200)와 전압검출수단(300)를 각각의 3핀컨넥터(210, 320)를 이용해 상호 연결하여, 히터구동부(200)의 히터(230)와 전압검출수단(300)의 전압레벨검출용 저항(R1)을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압레벨검출용 저항(R1) 및 히터(230)에 소정레벨의 전압을 인가한다음, 상기 전압레벨검출용 저항(R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압계(310)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전압값을 이용해 히터(230)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압축기 히터의 불량여부에 따라 전압검출수단의 전압계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전압이 가변됨으로써, 상기 전압계의 측정전압값을 이용하여 압축기 히터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원공급부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히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압축기를 가열하는 히터용 커넥터 및, 상기 히터용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히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검출수단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히터용 커넥터는, 상기 히터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핀과 서모스탯을 통해 히터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핀 및, 상기 히터의 타단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히터용 커넥터의 제1핀과 제3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압검출용 커넥터와, 상기 전압검출용 커넥터에 직렬로 접속되는 저항과, 상기 저항에 병렬로 접속되어 히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계를 포함하는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자체 저항값과 동일한 저항값을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KR2019970023995U 1997-08-29 1997-08-29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KR200165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995U KR200165776Y1 (ko) 1997-08-29 1997-08-29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995U KR200165776Y1 (ko) 1997-08-29 1997-08-29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21U KR19990010621U (ko) 1999-03-15
KR200165776Y1 true KR200165776Y1 (ko) 2000-01-15

Family

ID=1950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995U KR200165776Y1 (ko) 1997-08-29 1997-08-29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7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45B1 (ko) * 2001-07-18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21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96244B (zh) 老炼夹具及采用该夹具做接触状况和老炼结果测试的方法
US70753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horts on inaccessible pins using capacitive measurements
WO2015018189A1 (zh) 漏电流检测方法和装置
US3800214A (en) Apparatus for testing energized and non-energized electrical circuits
JP2016090495A (ja) 耐電圧試験装置、絶縁抵抗試験装置、及び接続状態確認回路
JP2006053153A (ja) 回転軸を備えた機器でのかすめ個所又はコンタクト個所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JP2610640B2 (ja) 自動車の少なくとも2つの電気的負荷を検査する装置
KR200165776Y1 (ko)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JP2012149914A (ja) プリント基板劣化検査装置および劣化検査方法
US2548991A (en) Electrical circuit tester
JP3675678B2 (ja) プローブ接触状態検出方法およびプローブ接触状態検出装置
KR101965984B1 (ko) 멀티 테스터기
JP3247321B2 (ja) 電子ユニットの検査方法
CN109946488A (zh) 一种微型片式陶瓷电容批量老化及测试方法
JPS6322539Y2 (ko)
CN220820160U (zh) 一种led灯条检测装置
KR200268679Y1 (ko) 케이블의 통전 및 내압 검사기
CN212379540U (zh) 安检仪及其强电相间短路检测电路
CN109579998A (zh) 光伏连接器接触电阻的检测方法
JP4876026B2 (ja) 基板検査装置
JP4863786B2 (ja) 接触試験装置および接触試験方法
JP2000012634A (ja) バーンイン試験用基板への半導体装置の供給方法
JP2001021611A (ja) 半導体試験装置
GB2277381A (en) Portable appliance testers
JP2016114612A (ja) コンデンサ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