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17Y1 - 빗물받이 받침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617Y1
KR200165617Y1 KR2019990016261U KR19990016261U KR200165617Y1 KR 200165617 Y1 KR200165617 Y1 KR 200165617Y1 KR 2019990016261 U KR2019990016261 U KR 2019990016261U KR 19990016261 U KR19990016261 U KR 19990016261U KR 200165617 Y1 KR200165617 Y1 KR 200165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ixing
wall
rai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석
Original Assignee
김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석 filed Critical 김충석
Priority to KR2019990016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72Han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구쪽으로 흐르도록 해주는 빗물받이를 건물외벽에 고정시켜주는 받침에 관한 것으로 건물외벽에 쉽고도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사용도중 파손될 우려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건물외벽과 접하는 고정부(14)의 상부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연장된 날개(30)를 형성하고, 수직 연장부(34) 및 수평 연장부(36)와 연장편(38)을 가진 금속제 보강편(32)을 빗물받이가 올려 놓여지는 수평 받침부(10) 및 고정부(14)와 날개(30)속에 내장하며, 연장된 날개(30)에는 나사끼움구멍(28)을 형성한 빗물받이 받침임.
본 고안에 의한 빗물받이 받침은 나사끼움구멍(28)이 가려지지 않는 것이어서 건물외벽에 나사를 쉽고 견고하게 박아서 고정시킬 수 있고, 종방향은 물론 횡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이나 충격에 대해서도 매우 큰 응력을 발휘함으로서 내구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Description

빗물받이 받침 {Gutter Supporter}
본 고안은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구쪽으로 흐르도록 해주는 빗물받이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시켜주는 받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95 - 27701 호로 알려진 바 있는 보강편 내장 빗물받이 받침틀은 합성수지제 받침틀속에 금속제 보강편을 내설한 것으로서 빗물받이의 바닥벽이 닿는 상면 받침대와, 빗물받이의 일측벽이 닿는 측면 지지대를 잇는 절곡부속에 앵커와 앵커형성구멍이 일체로 된 보강편을 내설하고, 건물의 외벽과 닿는 체결면의 아래쪽과, 상면 받침대와 측면 지지대를 잇는 절곡부사이를 빗면 받침대로 연결하며, 상면 받침대와 빗면 받침대사이에는 보강 스페이서암과 일체로 된 보강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보강스페이서암의 뒷쪽에는 또 다른 스페이서암을 형성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빗물받이 받침틀은 보강편이 내설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최대굽힘모멘트가 발생하는 부위 즉,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부위의 강도가 부족하여서 사용도중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빗물받이 받침과 같이 한쪽끝만 고정되는 외팔보에 있어서 보의 파괴는 최대굽힘모멘트가 발생하는 단면으로부터 일어나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빗물받이 받침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수직방향의 체결면과, 이 체결면과 상면 받침대사이를 잇는 절곡부위가 단순히 강도가 취약한 합성수지로만 이루어진 것이어서 이 부위가 쉽게 파손되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파손된 빗물받이 받침을 새것으로 자주 교체해 주어야만 하므로 건물을 유지, 보수함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들었었을 뿐 아니라 번거로운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 종래의 빗물받이 받침틀은 체결면부에 상, 하로 2개의 체결너트공이 형성된 것이어서 건물외벽에 나사로 고정시켜 줄 때에 아래쪽 체결너트공은 노출된 것이어서 나사를 조여주기 위한 공구를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으나 윗쪽 체결너트공의 경우 빗면 받침대와 스페이서암등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어서 나사를 조여주기 위한 공구를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나사를 조여주기 위해서 수동식 드라이버나 전동식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할 때에 상기 빗면 받침대와 스페이서암 등으로 윗쪽 체결너트공이 가로 막혀져서 나사와 공구를 동일 직선상에 위치시켜지 못한 상태 다시말해서 나사로 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공구를 사용해야만 했었기 때문에 나사를 건물외벽에 견고하게 박을 수 없게 되어서 빗물받이 받침틀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나사의 머리에 있는 홈이 손상되어서 빗물받이 받침틀을 교체하기 위하여 나사를 풀어내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빗물받이 받침틀은 2개의 체결너트공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 것이어서 나사들을 견고하게 박아 주었다고 하더라도 빗물받이 받침틀의 횡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매우 취약하여 횡방향으로 부터 작은 충격이 가해지거나 빗물받이를 설치하는 도중에도 쉽게 파손될 우려가 많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 바, 본 고안은 건물외벽에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고 종방향과 횡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이나 충격에 대하여 매우 큰 응력을 발휘함으로서 수명주기를 연장시켜 줄 수 있는 빗물받이 받침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빗물받이 받침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서 보인 금속제 보강편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빗물받이 받침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수평 받침부, 12 : 수직 지지부, 14 : 고정부,
16 : 빗면 받침부, 30 : 연장된 날개, 32 : 금속제 보강편
본 고안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빗물받이(G)가 올려놓여지는 수평 받침부(1O)의 한쪽 끝에는 빗물받이(G)의 외측벽이 접하는 수직 지지부(12)가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수평 받침부(10)의 다른 한쪽 끝에는 건물외벽(W)에 부착되는 고정부(14)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수평 받침부(10)와 수직 지지부(12)가 만나는 부위와 고정부(14)의 아래쪽 사이에는 빗면 받침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빗면 받침부(16)와 수평 받침부(10)사이에는 보강리브(18)와 보강벽(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지지부(12)의 상단부에는 나사끼움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14)의 위, 아래쪽에 각각 나사끼움구멍(24),(26)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고정부(14)의 상부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나사끼움구멍(28)을 가진 연장된 날개(30)를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날개(30)를 포함하는 고정부(14)와 수평 받침부(10)속에는 금속제 보강편(32)이 내장되어 있다.
금속제 보강편(32)은 도 2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4)속에 위치하는 수직 연장부(34)와 상기 수평 받침부(10)속에 위치하는 수평 연장부(36) 그리고 상기 연장된 날개(30)속에 위치하는 연장편(38)이 한 몸체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 보강편(32)의 수직 연장부(34)에는 상기 고정부(14)의 나사끼움구멍(24),(26)과 연통하는 나사끼움구멍(40),(42)이 형성되어 있고, 연장편(38)에는 상기 연장된 날개(30)의 나사끼움구멍(28)과 연통하는 나사끼움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지지부(12)와 빗면 받침부(16)의 외측에는 보강 날개(4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과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건물지붕의 처마 아래쪽에 있는 건물외벽(W)에 나사(48)로 고정하거나, 건물외벽(W)에 박혀진 볼트(50)에 너트(52)로 고정하는 것인 바, 나사(48)가 끼워지거나 볼트(50)가 관통하는 고정부(14)의 아래쪽에 있는 나사끼움구멍(26)은 물론 고정부(14)의 상부에서 양측 또는 어느 일측으로 연장된 날개(30)에 형성된 나사끼움구멍(28)이 빗면 받침부(16)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것이어서 나사(48)를 조여주기 위한 공구나 너트(52)를 잠그어 주기위한 공구를 사용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건물외벽(W)에 고정시켜주는 작업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 나사(48) 또는 너트(52)를 공구와 동일직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조여주거나 잠그어 줄 수 있는 것이어서 나사(48)를 건물외벽(W)에 견고하게 박아 줄 수 있고, 너트(52)를 볼트(50)에 견고하게 조여줄 수 있는 것이므로 건물외벽(W)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수직 연장부(34), 수평 연장부(36) 및 연장편(38)을 가진 금속제 보강편(32)을 보강심재로 하는 고정부(14)와 연장된 날개(30)는 건물외벽(W)에 ' T ' 자형의 접촉면을 가지면서 건물외벽(W)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사용중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큰 응력을 발휘하는 것이므로 내구수명을 연장 시켜준다.
특히 도 3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 T ' 자형을 이루는 연장된 날개(30)와 고정부(14)를 관통하는 나사(48) 또는 볼트(50)들의 고정형태가 역삼각형을 이루는 까닭에 종방향 쪽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은 물론 횡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에 대하여 매우 큰 응력을 발휘하는 것이어서 사용도중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수명을 보다 연장시켜 준다.
본 고안은 고정부(14)의 상부에서 양측 또는 어느 일측으로 연장된 날개(30)에 형성된 나사끼움구멍(28)이 빗면 받침부(16)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것이어서 나사(48)를 조여주기 위한 공구나 너트(52)를 잠그어 주기위한 공구를 사용하는데 제한을 받지 않는 것이므로 건물외벽에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고, 세로방향의 고정부(14)와, 가로방향의 날개(30)가 건물외벽(W)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종방향은 물론 횡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이나 충격에 대해서도 매우 큰 응력을 발휘함으로서 사용도중 파손될 우려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빗물받이가 올려놓여지는 수평 받침부(10)의 양쪽 끝에 각각 수직 지지부(12)와 고정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 받침부(10)와 고정부(14)사이에 빗면 받침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빗면 받침부(16)와 수평 받침부(10)사이에는 보강리브(18)와 보강벽(20)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지지부(12)와 고정부(14)에는 각각 나사끼움구멍(22)과 나사끼움구멍(24),(26)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고정부(14)의 상부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연장된 날개(30)를 형성시키고, 수직 연장부(34) 및 수평 연장부(36)와 연장편(38)을 가진 금속제 보강편(32)을 수평 받침부(10) 및 고정부(14)와 날개(30)속에 내장시키며, 연장된 날개(30)에 나사끼움구멍(28)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받침.
KR2019990016261U 1999-08-09 1999-08-09 빗물받이 받침 KR200165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61U KR200165617Y1 (ko) 1999-08-09 1999-08-09 빗물받이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61U KR200165617Y1 (ko) 1999-08-09 1999-08-09 빗물받이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617Y1 true KR200165617Y1 (ko) 2000-02-15

Family

ID=1958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261U KR200165617Y1 (ko) 1999-08-09 1999-08-09 빗물받이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6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33B1 (ko) * 2015-02-17 2016-03-08 주식회사 아리랑패널 물받이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33B1 (ko) * 2015-02-17 2016-03-08 주식회사 아리랑패널 물받이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338B2 (en) Ladder safety device
KR200165617Y1 (ko) 빗물받이 받침
KR200251100Y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트
KR200275262Y1 (ko) 건축용 빗물받이 받침대
US2752992A (en) Canopy assembly units
KR200235678Y1 (ko) 석재 고정구
KR200206044Y1 (ko) 빗물받이 받침
KR200457096Y1 (ko) 보강부가 형성되는 물받이 고정구
KR200284085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KR200242299Y1 (ko) 지붕처마의 물받이 지지대
CN210898365U (zh) 一种桥架旋转扣锁
CN219298776U (zh) 一种承插型盘扣式支撑结构
CN215807217U (zh) 一种抗震支架用槽钢结构
CN216865762U (zh) 一种锚固结构
KR20190000934U (ko) 지붕조립체 체결수단구조
KR200216912Y1 (ko) 철망울타리의 고정장치
CN217000814U (zh) 一种可调节的拉杆式悬挑梁
KR100360198B1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CN213980191U (zh) 一种稳固型球形篷房
CN209780301U (zh) 一种钢结构屋面的施工安全防护装置
CN220929888U (zh) 一种改良机械锚栓
KR200190668Y1 (ko) 신호등 철주의 배선구 개폐장치
KR200367661Y1 (ko) 빗물받이 홈통
JP4046670B2 (ja) 屋根
KR200246325Y1 (ko) 빗물받이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