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358Y1 -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358Y1
KR200165358Y1 KR2019970021822U KR19970021822U KR200165358Y1 KR 200165358 Y1 KR200165358 Y1 KR 200165358Y1 KR 2019970021822 U KR2019970021822 U KR 2019970021822U KR 19970021822 U KR19970021822 U KR 19970021822U KR 200165358 Y1 KR200165358 Y1 KR 200165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all
fixing device
key
g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702U (ko
Inventor
우정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1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35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7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국선 라인 및 키폰 라인을 겸용으로 사용하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서 어떠한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더라도 최상의 통화 음질이 제공되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구현함에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가 키폰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오프 되고 국선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온 되는 단극단투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고정장치에 구현되는 통화부의 오토메틱게인콘트롤 단자와 상기 오토메틱게인콘트롤을 적절히 조절하는 소정의 저항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가 키폰 라인과 국선 라인에 겸용으로 접속되어 사용하는 경우 최상의 통화 음질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선 라인 및 키폰 라인을 겸용으로 사용하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서 상기 두 라인중 어떠한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더라도 최상의 통화 음질이 제공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는 국선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장치에 등록된 이동장치와 통화 형성 및 그 외 다양한 통화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 오토메틱게인콘트롤(AGC)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여 국선 라인에 접속되어 일반 전화 기능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사설교환기 시스템의 키폰 라인과 접속되어 키폰전화기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술한 국선 전화기 및 키폰전화기 겸용 고정장치는 첨부된 도 1에 그 실시일예가 나타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라인인터페이스부10은 국선 라인 혹은 키폰 라인과 접속되어 상기 국선 라인과 키폰 라인의 신호를 송신부30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통화부20은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0을 통해 입력된 각종 톤 신호, 링신호 및 음성 신호 등을 인터페이싱한다. 상기 통화부20은 일반적으로 음성IC(Speech IC)로 구현되며 오토메틱게인콘트롤(AGC;Automatic Gain Control)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AGC기능이 구현되는 음성IC의 일예로는 필립스(Philips)사의 Speech IC인 'TEA1062'가 있다. 상기 IC는 무선전화기에 주로 사용되며 AGC기능 및 DTMF 증폭 기능, MUTE 기능 등이 수행된다. 송신부30은 음성신호와 데이터를 전파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수신부50은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송신부30과 수신부50은 제어부40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상기 통화부20에 구현된 AGC기능은 임의의 저항부(R1)60에 AGC단자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저항부60은 고정된 임의의 값을 가지며 접지 된다. 상기 저항부의 저항값이 고정되어 있는 것은 AGC가 강제로 규정된 국가에서 상기 고정장치가 국선 라인을 통한 국선 전화기로 사용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상기 저항 값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장치가 국선 라인 및 키폰 라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키폰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면 국선 라인과 전류 및 게인 값의 차이에 의해 통화 수행중 하울링이 발생하거나 통화 음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특히, 국선 라인과 키폰 라인을 통한 신호의 전류 및 게인(Gain)이 서로 다르므로 - 일반적으로는 키폰 라인의 게인이 국선 라인보다 6.0dB가 더 높음 - 상기 저항부60의 저항 값을 각 라인의 게인 값에 맞추어 변경 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선 라인에 해당하는 게인 값이 강제로 규정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장치가 국선 라인과는 정합이 되지만 키폰 라인과는 정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를 종래에는 해소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고정장치는 사설교환기 시스템에서는 통화 품질의 문제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국선 라인 및 키폰 라인을 겸용으로 사용하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서 어떠한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더라도 최상의 통화 음질이 제공되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국선 라인에서 사용되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가 사설교환기의 키폰 라인에 접속되어도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라인간의 게인차를 제거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가 키폰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오프 되고 국선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온 되는 단극단투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고정장치에 구현되는 통화부의 오토메틱게인콘트롤 단자와 상기 오토메틱게인콘트롤을 적절히 조절하는 소정의 저항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종래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 2가 참조되어 상세히 설명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고안에서는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과감히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에서 라인인터페이스부100과, 통화부200과, 송신부300과, 제어부400과, 수신부500은 종래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명세서의 종래기술란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의 기능과 상기 도 2에 나타난 동일한 명칭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일치한다.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00은 국선 라인 혹은 사설교환기(PABX)700을 통한 키폰 라인과 접속되어 상기 국선 라인과 키폰 라인의 신호를 송신부300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통화부200은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00을 통해 입력된 각종 톤 신호, 링신호 및 음성 신호 등을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상기 통화부200은 음성IC(Speech IC)로 구현되며 오토메틱게인콘트롤(AGC;Automatic Gain Control)기능이 포함된다. 즉 본 고안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상기 AGC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통화부200은 네덜란드 PHILIPS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TEA1062 혹은 TEA1118, TEA1118A와 같은 음성IC(Speech IC)가 있다. 상기 IC는 'Versatile cordless transmission circuit'의 명칭 및 기능이 있으며, AGC기능이 구현된다. 상기 IC는 무선전화기의 통화부 구성에 주로 사용된다. 송신부300은 음성신호와 데이터를 전파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수신부500은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통화부200에 구현된 AGC기능 수행 단자에는 저항부600이 연결되며, 이는 상기 통화부200을 통한 음성 신호의 게인을 콘트롤 한다. 상기 저항부600은 단극단투(Single-pole Single-throw)스위치인 SW1과 상기 고정장치가 국선 라인과 접속시 상기 국선 라인에 대응되는 적당한 게인 값을 가지도록 고정된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 R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국선 라인과 정합 되도록 한다. 상기 SW2는 사용자에의해 온/오프 되어진다.
이하, 전술한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 2에 나타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고정장치를 사설교환기를 통한 키폰 라인에 접속된 키폰전화기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SW1이 오프되도록 하고, 국선 라인을 통한 일반전화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SW2가 온 되도록 한다. 상기 SW2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AGC가 적절하게 콘트롤되어 사용자는 최상의 통화 품질을 제공받는다. 즉, 상기 음성IC는 AGC단자가 오픈(Open)되는 경우-SW2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IC의 AGC회로가 상기 국선 라인에 정합 되도록 설정된 저항과 상관없이 동작하므로, 사설교환기700의 키폰 라인의 게인 조건에 적당하게 정합 되어 동작된다. 이처럼 고정장치가 상기 SW2동작에 의해 국선 라인 및 키폰 라인이 겸용되어 사용되더라도 통화 품질이 향상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국선 라인에는 20mA의 전류와 6.0dB의 게인을 가지며 키폰 라인은 60mA의 전류와 2.0dB의 게인을 가지므로, 이러한 전류 및 게인 차이를 상기 SW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음성IC의 AGC기능이 상기 고정된 저항값의 저항에 의해 고정되어 수행되거나 상기 저항 없이 본래 AGC기능에 따라 수행되므로 상기 전류 및 게인 차가 국선 라인이나 키폰 라인에 정합되어 수행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본 고안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국선 라인에서 고정장치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강제로 규정된 국선 라인의 전류 및 게인 값을 상기 고정장치가 만족해야 하므로 고정된 저항값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키폰 라인에 필요한 전류 및 게인값은 상기 국선 라인과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고정된 값의 저항이 불필요하게 된다. 즉, 본래 AGC기능이 수행되면 되나. 따라서 온/오프 기능이 수행되는 단극단투 스위치를 상기 고정장치의 전류값과 게인 값을 조절하는 통화부와 상기 고정된 값의 저항 사이에 부가하여, 온(On)되는 경우에는 국선 라인의 전류와 게인 값을 만족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키폰 라인의 전류와 게인값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요지가 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가 키폰 라인과 국선 라인에 겸용으로 접속되어 사용하는 경우, 각 라인에 해당되는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최상의 통화 음질이 제공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기 한 대를 통해 국선전화기 및 사설교환기 접속 키폰전화기로 동시에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국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것들에 의해 정해져아 한다.

Claims (5)

  1.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국선 라인 및 키폰 라인에 접속되며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라인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무선전화기에 등록된 이동장치와 무선 통화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송수신부와의 통화 형성을 위한 오토메틱게인콘트롤 기능이 구현되는 통화부와,
    상기 라인인터페이스에 국선 라인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통화부가 상기 국선 라인의 게인과 정합되도록 상기 오토메틱게인콘트롤 기능이 수행되는 단자에 임의로 고정된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라인인터페이스에 키폰 라인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통화부가 상기 키폰 라인의 게인과 정합되도록 상기 오토메틱게인콘트롤 기능이 수행되는 단자가 상기 임의로 고정된 저항값을 가진 저항과 단절되도록 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2.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키폰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오프 되고 국선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온 되도록 동작되는 단극단투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고정장치에 구현되는 통화부의 오토메틱게인콘트롤 단자와 상기 오토메틱게인콘트롤을 적절히 조절하는 고정된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는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고정장치가 국선 라인과 접속시, 상기 국선 라인에 강제된 전류 및 게인값과 상기 통화부의 전류 및 게인값이 일치하여 통화가 형성되도록 하는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통화부의 오토메틱게인콘트롤 기능에 의해 상기 통화부가 상기 고정장치에 접속되는 키폰 라인의 전류 및 게인 값에 정합 되므로 상기 키폰 라인을 통한 통화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온 되는 경우, 상기 통화부의 오토메틱게인콘트롤 기능이 상기 저항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에 접속되는 국선 라인의 전류 및 게인 값에 정합 되므로 상기 국선 라인을 통한 통화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KR2019970021822U 1997-08-09 1997-08-09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KR200165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822U KR200165358Y1 (ko) 1997-08-09 1997-08-09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822U KR200165358Y1 (ko) 1997-08-09 1997-08-09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702U KR19990008702U (ko) 1999-03-05
KR200165358Y1 true KR200165358Y1 (ko) 2000-01-15

Family

ID=1950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822U KR200165358Y1 (ko) 1997-08-09 1997-08-09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3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702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498B1 (ko) 듀얼모드 세루러 무선통신장치
JP3508776B2 (ja) 送受信機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US6154639A (en) Handsfree unit
JPH05122325A (ja) 無線拡声電話装置
KR200165358Y1 (ko)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KR19990087732A (ko) 휴대전화용어댑터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KR100310345B1 (ko)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JP393140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3235532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960199B2 (ja) 無線データ伝送装置
JPH01309531A (ja) 無線電話装置
JPH0697876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970005262B1 (ko) 내선 측음기능을 갖는 디지틀 키폰의 통화회로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KR940004459B1 (ko) 자동차전화기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핸드프리 회로 및 제어방법
EP0982914A2 (en) A telephone linked with an external audio set
JPH0198351A (ja) 電話機回路
JP3585109B2 (ja) 高周波結合回路
KR950011081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핸드프리 통화장치
KR0120014B1 (ko) 무선 전화기의 프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JPH1168646A (ja) 携帯電話装置
JPH0369246A (ja) 無線電話装置
KR19990058049A (ko) 휴대폰에서 라디오 수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