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238Y1 - 폐타이어칩으로성형된트랙터용보조바퀴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칩으로성형된트랙터용보조바퀴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238Y1
KR200165238Y1 KR2019990014324U KR19990014324U KR200165238Y1 KR 200165238 Y1 KR200165238 Y1 KR 200165238Y1 KR 2019990014324 U KR2019990014324 U KR 2019990014324U KR 19990014324 U KR19990014324 U KR 19990014324U KR 200165238 Y1 KR200165238 Y1 KR 200165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heel
cylinder
tractor
coupled
wast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우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우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우금속
Priority to KR2019990014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칩으로 가공한 다수의 분할편을 이용하여 트랙터용 보조바퀴를 얻고자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트랙터용 보조바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의 저부 승강실린더와 연동, 결합한 안착대 및 협지구를 결합한 협지실린더 그리고 상부후레임에 정열판이 결합된 정열실린더 및 일측 이송부재가 결합된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진 압축장치(20)와, 고정봉 상단에 결합된 지지대 및 그 후방에 횡설한 이탈방지봉 그리고 취출구를 취출실린더에 결합한 일련의 취출장치(30)와, 주축에 고정캡으로 고정된 보조바퀴 그리고 보조바퀴의 정면 및 양측에 각각의 모터와 연동, 결합된 커터 및 이 커터가 설치된 장착대를 전진 이송되게 한 트리밍장치(5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고안은 압축장치 및 취출장치 그리고 트리밍장치로 이루어진 일련의 제작공정을 통하여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트랙터용 보조바퀴를 극히 용이하게 제작함으로써 종래 금속재 바퀴와 비교하여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고 특히, 전량이 폐기처분되고 있는 폐타이어를 매우 유용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타이어 칩으로 성형된 트랙터용 보조바퀴 제조장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uxiliary wheel for a tractor from wasted tires}
본 고안은 폐타이어 칩으로 성형된 트랙터용 보조바퀴 제조장치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소정의 크기로 분할하여 얻은 칩으로 조립, 구성한 트랙터용 보조바퀴와 그 성형을 위한 조립장치 및 취출장치 그리고 트리밍 장치등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제조장치를 제공하여 폐타이어의 재생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트랙터용 보조바퀴를 극히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트랙터용 보조바퀴는 트랙터의 전방양쪽에 설치되어 전, 후 및 제자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랙터의 작업을 안정되게 하며 중량의 트랙터 안내 및 지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중량의 트랙터를 지지시켜 준 상태로 구름이동하기 때문에 통상의 타이어와는 다른 견고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트랙터용 보조바퀴를 주행에 의한 내마모성 및 내구성 등의 장점을 지닌 금속재 보조바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재 보조바퀴는 바퀴의 설치부위가 트랙터 전방 양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하중이 트랙터의 앞쪽으로 집중되게 되어 주행시 트랙터의 원활한 안내이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면상태가 무른 농경지에 빠지기 쉽다. 특히, 보조바퀴의 제작이 까다롭고 제작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구입,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수반한다.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소정의 크기로 분할, 가공하여 얻은 칩(분할편)을 호형밴드로 연결한 트랙터용 보조바퀴의 용이한 제작을 위하여 압축장치 및 취출장치 그리고 트리밍장치로 이루어진 일련의 관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일단에 삽입공을 갖는 분할편을 다수로 구비하여 상기 삽입공으로 호형밴드를 끼워 구성한 보조바퀴의 제작을 위하여 장방형의 압축장치 본체 상면 중앙에 저부 승강실린더와 연동, 결합된 안착대와 이 안착대 사방 가이드의 내측에 협지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 협지실린더 그리고 상부 후레임의 중앙 저부에 정열판이 결합된 정열실린더 및 일측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진 일련의 압축장치 와, 콘베이어의 말단에 전, 후면이 개방된 본체 내측 중앙에 입설된 두 개의 고정봉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지지대 및 후방에 상기 지지대의 이탈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봉을 횡설하는 한편, 밴드결합구의 취출을 위해 양쪽에 취출보울트가 결합된 취출구를 후레임 상부에 설치된 취출실린더의 로드에 결합하여 지지대 양쪽사이에 위치한 밴드결합구의 결합공에 보울트를 임시로 체결시킨 상태에서 취출실린더의 로드를 상승시켜 밴드결착구를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는 일련의 취출장치와, 상부 종방향 일측에 모터와 체인으로 연동되는 지지축에 고정캡으로 고정된 보조바퀴를 설치하고 바퀴의 정면 및 양측에 각각의 모터와 벨트로 연동, 결합된 지지축에 커터가 결합된 장착대를 레일상에 설치하여 모터를 구동으로 보조바퀴를 회동시켜준 상태에서 장착대를 동시에 전진 이송시켜 타이어의 외주 및 양측면트리밍 그리고 모따기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트리밍장치의 구조 등 일련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바퀴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조립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3 는 본 고안 조립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4 은 본 고안 취출장치의 일부 절결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 밴드결합구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6 는 본 고안 트리밍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조바퀴 11 : 분할편 11' : 삽입공
12 : 호형밴드 12' : 결합공 13,13' : 보울트 및 너트
20 : 압축장치 21 : 협지실린더 21' : 협지구
21'' : 가이드 23 : 안착대 24 : 상부후레임
25 : 정열실린더 25' : 정열판 26 : 이송실린더
26' : 이송부재 30 : 취출장치 31 : 취출실린더
31' : 취출구 32 : 고정봉 33 : 지지대
34 : 이탈방지봉 35 : 취출보울트 40 : 밴드결합구
41 : 체결공 42 : 연통공 43 : 장공
44 : 요홈 45 : 취출안내구 46 : 자리홈
50 : 트리밍장치 51 : 주축 52a,52b : 장착대
53a,53b : 지지축 54 : 레일 55a,55b,55c : 커터
M1,M2,M3 :모터
본 고안 보조바퀴(10)의 제조장치는 상기 호형밴드(12)에 환설된 분할편(11)의 외주연을 그 원심방향으로 압축하는 압축장치(20)와, 호형밴드(12)의 체결시 제공되는 밴드결합구(40)(도4 및 도5 참조)의 취출수단을 제공하는 취출장치(30), 그리고 압축 및 밴드결합구(40)의 취출 후 환설된 분할편(11)의 가장자리 모서리를 가공하여 보조바퀴(10)를 완성하는 트리밍장치(50)로 이루어진다.
도면부호중 (100)은 콘베이어 (200)은 휠을 나타낸다
본 고안 보조바퀴(10)를 이루는 분할편(11)은 통상의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폐타이어의 트래드부를 제외한 부분 즉 폐타이어의 양측면을 금형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극히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이 구비된 분할편(11)의 결합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형밴드(12)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밖으로 향하도록 다수의 분할편(11)을 호형밴드(12) 전반에 환설하게 된다. 이때 호형밴드(12)에 끼워지는 분할편(11)의 수는 바퀴의 지름에 따라 다르나 통상 트랙터용 보조바퀴는 90-100개 정도의 분할편이 소요되게 된다.
호형밴드의 결합은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바퀴(10)를 압축장치 본체(20)의 중앙 안착대(23)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저부 승강실린더(22)의 로드를 하강시켜 안착대(23)가 사방 협지실린더(21)의 중앙에 위치되게 한다. 물론 이때에는 보조바퀴(10)의 분할편(11)이 수평의 평활한 상태가 아니므로 상부후레임 (24)에 설치된 정열실린더(25)의 정열판(25')을 하강시켜 각각의 분할편(11)이 평활한 상태가 되도록 이를 다져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장방형의 본체 상면 사방에 설치된 협지실린더(21)의 협지구(21')가 동시에 가이드(12'')의 내측면을 따라 내향, 전진하여 보조바퀴(10)를 원형의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호형밴드(12)는 협지구(12')의 압송으로 양쪽 말단이 겹쳐져 양쪽 결합공(12')이 일치되는 상태가 되면 작업자가 밴드결합구(40)의 양쪽 체결공(41)사이에 호형밴드 (12)의 양쪽을 결합되게 하여 밴드결합구(40)의 상면 중앙에 천공된 연통공 (42)내측으로 통상의 체결공구를 넣어 밴드결합구(40)의 저부로부터 내부 자리홈(46)에 기 삽입시켜놓은 보울트(13)를 호형밴드(12)의 결합공(12')에 끼워 너트(13')로 체결한 다음 호형밴드(12)의 겹쳐지는 밀착부위를 용착,고정시켜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호형밴드(12) 결합이 완료되게 되면 협지실린더(21)의 압이 해지되면서 사방 협지구(21')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또 이와 동시에 저부 승강실린더(22)가 상승하여 안착대(23)를 원 위치로 복귀시켜주게 된다. 이와같이 복귀된 보조바퀴(10)는 상부후레임(24) 일측에 설치된 이송실린더(26)의 로드가 전진, 이송하여 그 선단에 결합된 이송부재(26')가 안착대(23) 상면에 놓인 보조바퀴(10)의 일측을 콘베이어(100)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한편, 도 3 에 도시한 바와같이 취출장치 본체(10)는 전술한 밴드결합구(40)의 용이한 취출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콘베이어(100)로 이송된 보조바퀴(10)는 취출장치 본체(30)의 안쪽 중앙에 입설된 두 개의 고정봉(32)에 의해 그 이송이 정지되게 된다. 이때 밴드결합구(40)는 저부에 길게 횡방향으로 형성된 요홈(44)의 양쪽으로 대, 소 두 개의 취출안내구(45)를 끼워, 결합시켜준 상태에서 고정봉(32)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33)을 회동시켜 보조바퀴의 상면에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루게 하여 그 사이에 밴드결합구의 상면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한 다음 본체(30)에 상부에 설치된 취출실린더(31)의 취출구(31')를 하강시켜 그 양쪽에 끼워진 취출보울트(35)를 밴드결합구(40)의 체결공(41)에 일치되게 하여 상기 취출보울트(35)를 체결시켜준 상태에서 취출실린더(31)의 로드를 서서히 상승시켜주게 되면 밴드결합구(40)가 호형밴드(12)와 서서히 분리되게 되며 밴드결합구(40) 저부에 결합된 취출안내구(45)가 그 경사면에 의해 밴드결합구(40)의 분리를 더욱 부드럽게 한다. 그리고 이로인한 공간부는 압축된 상태로 끼워진 분할편(11)의 탄성에 의해 그 공간부가 자연스럽게 메꾸어지게 된다. 그리고 밴드결합구(40) 분리시 보조바퀴(10)의 상부유동은 후방 이탈방지봉(34)이 두 개의 지지대(33)을 안정되게 지지시켜주고 있기 때문에 보조바퀴(10)에 취부된 밴드결합구(40) 만을 극히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보조바퀴(10) 조립을 완료하게 되면 바퀴의 외주 및 양측면을 매끈하게 가공시켜 완성품을 얻게 되는데 이러한 트리밍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보조바퀴(10)의 양쪽에 통상의 휠(200)을 설치하게 된다.
한편, 트리밍장치 본체(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50)의 상부 종방향 일측에 모터(M1)와 체인으로 연동, 결합된 주축(51의 선단에 보조바퀴(10)를 끼워준 상태에서 고정캡(51')으로 보조바퀴(10)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보조바퀴(10)의 정면 및 양측 레일상(54a)(54b)에는 각각 모터(M2)(M3)와 연동, 결합된 지지축(53a)(53b)의 선단에 커터(55a)(55b)(55c)가 후방 모터(M2)(M3)의 구동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한 구동구조를 레일(54a)(54b)상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된 장착대(52a)(52b)에 설치하여 구동시 외주면 및 양측면 트리밍 그리고 모따기용 커터(55a)(55b)(55c)가 모타(M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보조바퀴(10) 쪽으로 동시에 진입하여 상기 트리밍작업을 동시에 시행하게 하여 트랙터용 보조바퀴를 완성시키게 되는것이다.
본 고안은 압축장치 및 취출장치 그리고 트리밍장치로 이루어진 일련의 일련의 제작공정을 통해 트랙터용 보조바퀴를 극히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제조장치에 의해 제작된 보조바퀴는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여 종래 금속재 바퀴와 비교하여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 견고함이 요구되는 제반바퀴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전량이 폐기처분되고 있는 폐타이어를 극히 유용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호형밴드(12)에 환설된 분할편(11)의 외주연을 그 원심방향으로 압축하는 압축장치(20)와, 호형밴드(12)의 체결시 제공되는 밴드결합구(40)의 취출수단을 제공하는 취출장치(30), 그리고 압축 및 밴드결합구(40)의 취출 후 환설된 분할편(11)의 가장자리 모서리를 가공하여 보조바퀴(10)를 완성하는 트리밍장치(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칩으로 성형된 트랙터용 보조바퀴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밴드결합구(40)는 상면 양측 및 중앙에 체결공(41) 및 연통공(42)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보울트(13) 및 너트 (13')가 안착되는 자리홈 (46)을 상기 연통공(42)과 연통시켜주는 한편, 밴드결합구(40)의 양측에 호형밴드 (12)끼움용 장공(43)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의 저부 요홈(44)에는 대, 소의 취출안내구(45)를 결합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칩으로 성형된 트랙터용 보조바퀴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압축장치(20)는 상면 중앙에 저부 승강실린더(22)와 연동, 결합된 안착대(23)와 이 안착대(23) 사방 가이드(21'') 내측에 협지구(2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 협지실린더(21) 및 상부후레임(24)의 중앙 저부에 정열판(25')이 결합된 정열실린더(25) 및 일측 이송부재(26')가 결합된 이송실린더(2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칩으로 성형된 트랙터용 보조바퀴 제조장 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취출장치(30)는 콘베이어(100)의 말단에 전, 후면이 개방된 본체(30)의 내측 중앙에 입설된 두 개의 고정봉(32)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33) 및 후방에 상기 지지대(33)의 이탈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봉(34)을 횡설하는 한편, 양쪽에 취출보울트(35)가 결합된 취출구(31')를 상부 취출실린더(31)의 로드에 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칩으로 성형된 트랙터용 보조바퀴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트리밍장치(50)는 보조바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 종방향 일측에 모터(M1)와 체인으로 연동된 주축(51)에 고정캡(51')을 고정한 구조와, 각각의 모터(M1)(M2)(M3)와 연동된 지지축(53a)(53b)의 선단에 커터(55a)(55b) (55c)가 설치된 장착대(52a)(52b)를 레일(54a)(54b)상에 설치하여 보조바퀴(10)를 회동시키는 모터(M1)의 구조, 그리고 전, 후진 이송되는 장착대(53a)(53b)를 구비하여 보조바퀴(10)의 외주 및 양측면트리밍 그리고 모따기를 동시에 시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칩으로 성형된 트랙터용 보조바퀴 제조장치.
KR2019990014324U 1999-07-20 1999-07-20 폐타이어칩으로성형된트랙터용보조바퀴제조장치 KR200165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324U KR200165238Y1 (ko) 1999-07-20 1999-07-20 폐타이어칩으로성형된트랙터용보조바퀴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324U KR200165238Y1 (ko) 1999-07-20 1999-07-20 폐타이어칩으로성형된트랙터용보조바퀴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238Y1 true KR200165238Y1 (ko) 2000-02-15

Family

ID=1958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324U KR200165238Y1 (ko) 1999-07-20 1999-07-20 폐타이어칩으로성형된트랙터용보조바퀴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2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2120B1 (en) Multipurpose station for mounting and removing conventional and special tires
EP0421827B1 (en) Tire uniformity inspecting machine
KR20170035426A (ko) 만두성형지그 및 이를 구비한 만두성형장치
US43046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oading a completed uncured tire
EP0242689A2 (en) Twin rotary drum tire manufaturing unit
KR200165238Y1 (ko) 폐타이어칩으로성형된트랙터용보조바퀴제조장치
US6443206B1 (en) Machine for mounting and removing special tires
EP2514613A1 (en) Tyre changer machine and method for lifting a wheel for loading it on the tyre changer machine.
KR19990073375A (ko) 폐타이어칩으로성형된트랙터용보조바퀴제조장치
US5768764A (en) Steel bead wire extracting machine for tires
KR101592359B1 (ko) 대형 타이어 조립라인
KR200345941Y1 (ko) 타이어 생산공정의 타이어 이송장치
CN216032658U (zh) 一种内胎自动硫化机
CN113665151A (zh) 一种内胎自动硫化机及其工作方法
CN101462367A (zh) 轮胎成型型芯的组装和拆卸工站与方法
CN114454395A (zh) 橡胶履带硫化加工工艺用的中挡导轨系统及硫化加工系统
KR100915191B1 (ko) 타이어 탈부착 장치
KR0128116Y1 (ko) 자동차용 타이어 장,탈착장치
EP1479539A2 (en) Machine for fitting and removing tires and rims of vehicle wheels
CN205362536U (zh) 一种用于起重链加工的系统
CN111688070A (zh) 一种轮胎自动加工研磨粉碎装置
WO2006006461A1 (ja) タイヤ保持ユニット、それを有するモールド金型、及び、タイヤ加硫方法
WO2013108181A1 (en) Tyre bead extreaction device for tire - changing machines
KR102656892B1 (ko) 타이어 재활용을 위한 휠 절단 분리장치
CN215322742U (zh) 一种车门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