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977Y1 -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vocal)레벨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vocal)레벨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977Y1
KR200164977Y1 KR2019960037840U KR19960037840U KR200164977Y1 KR 200164977 Y1 KR200164977 Y1 KR 200164977Y1 KR 2019960037840 U KR2019960037840 U KR 2019960037840U KR 19960037840 U KR19960037840 U KR 19960037840U KR 200164977 Y1 KR200164977 Y1 KR 200164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cal
audio
channe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451U (ko
Inventor
김철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37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97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9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DVD 오디오시스템에서 복원된 오디오신호중 보컬신호만 추출하고, 추출된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한 DVD시스템에서의 보컬레벨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위상들을 비교하여 동위상을 제거하는 차동증폭기들과 차동증폭기들에서 출력된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가변저항기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가라오케용으로 노래가사없이 멜로디만 듣고 노래하거나 노래가사와 멜로디를 같이 들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vocal)레벨조정장치
본 고안은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에서 다채널오디오신호중에 실린 보컬신호와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특히 재생되는 다채널오디오신호중에서 보컬신호(vocal; 노래가사음)만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출된 보컬신호를 뮤트시켜 가라오케용으로 사용하거나 그 보컬신호레벨을 적절히 가변시켜 특정채널로 재생출력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돌비 AC-3 또는 MPEG-2와 같은 다채널(5.1채널)오디오규격이 등장하면서 이를 이용한 가정용 제품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오디오재생기기들중, 특히 가라오케기능을 지원하는 DVD오디오재생시스템이 주목되고 있다. 가라오케기능은 사용자가 스피커로 재생출력되는 사운드신호(반주음 또는 멜로디음)에 맞추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노래가사에 따라 마이크를 이용해 노래를 부르는 기능을 말한다. 일반적인 오디오재생시스템에서, 전술한 가라오케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피커로 재생출력되는 오디오신호들중에서 보컬신호를 제거해야만 한다.
2채널 출력을 가지는 오디오시스템에서 이런 보컬신호를 제거하는 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었다. 먼저, 일반적인 오디오시스템은 오디오신호를 채널세퍼레이션(Chanel Seperation)하여 좌측(L)채널에는 사운드신호를 싣고, 우측(R)채널에는 사운드신호와 함께 보컬신호를 실어서 재생출력한다. 그리고, 일반재생모드인 경우에는 두 채널의 오디오신호를 각각 재생출력하고, 가라오케모드인 경우에는 보컬신호가 실린 우측채널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가라오케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으로, VCD(Video CD)시스템은 전술한 오디오시스템과 같이 오디오신호를 채널세퍼레이션하여 좌측(L)채널과 우측(R)채널에 사운드신호 및 보컬신호로 된 오디오신호를 서로 위상을 다르게 싣고, 미도시된 차동증폭기에서 두채널의 오디오신호를 비교하여 위상이 같은 두 채널의 보컬신호만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두 채널을 갖는 오디오재생시스템에만 적용되는 기술일뿐,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에는 적용되기 곤란하다. 뿐만아니라, 종래의 기술은 보컬신호를 차단하거나 원래대로 재생만 가능할 뿐, 보컬신호만을 추출하여 그 신호레벨을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에서 다채널오디오신호중에 실린 보컬신호를 추출하여 그 신호레벨을 제로레벨부터 최대레벨까지 가변되는 레벨들중의 하나로 조정하여 재생출력함으로써, 각 채널별로 사운드신호만을 재생출력하거나 사운드신호와 함께 그 신호레벨이 조정된 보컬신호를 동시에 재생출력할 수 있는 보컬레벨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레벨조정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코더부 15 : DA컨버터부
20 : 제1차동증폭기 25 : 제2차동증폭기
30 : 앰프기 35 : 가변저항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컬레벨조정장치는,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에서 다채널오디오신호중에 실린 보컬(vocal)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 다채널오디오규격에 근거하여 압축된 오디오스트림을 압축되기 이전의 다채널오디오데이터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부, 상기 디코더부로부터의 다채널오디오데이터를 각 채널별 아날로그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여기서, 출력되는 특정채널의 오디오신호에는 사운드신호 및 보컬신호가 실리고, 다른 적어도 두 채널의 오디오신호에는 사운드신호만이 실린, DA컨버터부, 상기 DA컨버터부로부터 출력하는 상기 특정채널에 실린 사운드신호를 상기 다른 채널들에 실린 사운드신호의 위상특성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상기 특정채널의 오디오신호중에서 보컬신호만을 추출하는 보컬신호추출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추출된 보컬신호의 레벨을 기설정된 제로(0)레벨부터 최대레벨까지 가변되는 레벨들중의 하나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보컬신호레벨조정부를 포함한다.
특히, 소정 다채널오디오규격은 AC-3 및 MPEG-2 오디오규격중의 하나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은 DVD-오디오재생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제1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보여진 디코더부(10)에는, 소정 다채널오디오규격에 근거하여 다채널오디오신호가 압축부호화된 오디오스트림이 입력된다. 디코더부(10)는 압축부호화시에 적용된 다채널오디오규격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오디오스트림을 압축부호화되기 이전의 다채널오디오데이터로 복원한다.
전술의 다채널오디오규격으로 AC-3, 또는 MPEG-2오디오규격이 채용되는 경우,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5.1채널의 오디오데이터가 복원된다. 이 5.1 채널들은 기본오디오신호를 위한 전면의 좌측채널(Left channel; L) 및 우측채널(Right channel; R), 그리고 기본오디오신호에서 확장된 오디오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나머지 채널들(C, Ls, Rs, SW)로 구분된다. 그 나머지 채널들은, 전면의 중심에 배치된 중심채널(Center channel; C), 후면에서 서라운드오디오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좌측서라운드(Ls)채널 및 우측서라운드채널(Rs), 그리고 저음영역오디오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서브우퍼채널(SW)로 구분된다.
한편, 제1도에 보여진 DA컨버터부(15)는 디코더부(10)로부터 입력하는 다채널 오디오데이터를 각 채널별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각 채널별 스피커로 출력한다.
특히 디코더부(10)에서 압축복원되어 입력하는 다채널오디오데이터중에 보컬신호가 실린 경우에는, DA컨버터부(15)에서 출력하는 전면좌측채널(L) 및 전면우측채널(R) 각각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에는 위상이 서로 다른 사운드신호가 실리고, 전면중심채널(C)의 오디오신호에는 사운드신호 및 보컬신호가 실리게 된다. 여기서, 전면중심채널(C)의 사운드신호는 전술한 전면좌측채널(L) 및 전면우측채널(R)에 각각 실린 서로 다른 위상의 사운드신호가 합성된 신호로 된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보컬신호추출부로 표현된 제1차동증폭기(20) 및 제2차동증폭기(25)는, DA컨버터부(15)로부터 출력하는 상기 전면중심채널(C)에 실린 사운드신호를 상기 전면좌우채널들(L, R)에 각각 실린 사운드신호의 위상특성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전면중심채널(C)의 오디오신호중에서 보컬신호만을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면중심채널(C)을 제외한 다른 채널들의 오디오신호는 각 채널별 스피커로 출력되어 재생된다. 그리고, 전면중심채널(C)의 오디오신호는 제1차동증폭기(20)로 입력한다. 제1차동증폭기(20)는 DA컨버터부(15)로부터 출력하는 전면중심채널(C)의 오디오신호를 반전입력단자(-)로, 그리고 DA컨버터부(15)로부터 출력하는 전면우측채널(R)의 오디오신호를 별도로 비반전입력단자(+)로 각각 인가받아, 비반전입력단자의 오디오신호중에 실린 사운드신호중에서 반전입력단자로 입력하는 사운드신호와 동위상의 사운드신호를 제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제1차동증폭기(20)의 출력신호에는 보컬신호와 전면좌측채널(L)의 사운드신호만이 남게 된다. 다음으로, 제2차동증폭기(25)는 제1차동증폭기(20)의 출력신호를 비반전입력단자(-)로, 그리고 DA컨버터부(15)로부터 출력하는 전면좌측채널(L)의 오디오신호를 별도로 비반전입력단자(+)로 각각 인가받아, 비반전입력단자의 오디오신호중에 실린 사운드신호에서 반전입력단자로 입력하는 사운드신호와 동위상의 사운드신호를 제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제2차동증폭기(25)의 출력신호에는 최종적으로 보컬신호만이 남게 된다.
다음으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보컬신호레벨조정부로 표현된 앰프기(30) 및 가변저항기(3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차동증폭기(25)에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보컬신호의 레벨을 기설정된 제로(0)레벨부터 최대레벨까지 가변되는 레벨들중의 하나로 조정하여 전면중심채널(C)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앰프기(증폭기; 30)는 제2차동증폭기(25)에서 최종적으로 추출되어 입력하는 보컬신호를 소정 게인값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가변저항기(35)는 오픈(open)의 무한대값부터 제로(0)까지 가변되는 저항값들로 기설정되며, 그 가변저항값들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저항값으로 앰프기(30)로부터 입력하는 증폭된 보컬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전면중심채널(C)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여기서, 저항값이 오픈의 무한대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가변저항기(35)의 출력이 차단되어 전면중심채널(C)의 스피커로는 보컬신호가 재생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오픈의 무한대값이 아닌 적절히 가변되는 저항값들중의 하나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전면중심채널(C)의 스피커로는 가변된 신호레벨의 보컬신호가 재생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출된 보컬신호의 재생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그 신호레벨이 적절히 조절된 보컬신호를 전면중심채널(C)의 스피커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재생되는 곡을 잘 아는 사용자는 다른 채널들로 재생되는 사운드신호(반주음 또는 멜로디음)에 맞춰(마이크를 이용해) 자신의 노래를 부를 수 있고, 다른 채널들로 재생되는 사운드신호와 함께 적절히 레벨조정된 보컬신호에 맞춰 노래를 감상하거나 따라 부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보컬레벨조정장치는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에서 다채널오디오신호에 실린 보컬신호의 레벨을 제로레벨부터 최대레벨중의 하나로 가변시켜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컬신호를 완전히 차단하여 다른 채널들로 재생되는 사운드신호에 맞춰 사용자가 직접 노래를 부르거나, 재생되는 사운드신호 및 적절히 신호레벨이 조정된 보컬신호를 감상하거나 따라 부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전술한 경우마다에 대한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스피커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3)

  1.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에서 다채널오디오신호중에 실린 보컬(vocal)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 다채널오디오규격에 근거하여 압축된 오디오스트림을 압축되기 이전의 다채널오디오데이터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부, 상기 디코더부로부터의 다채널오디오데이터를 각 채널별 아날로그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여기서, 출력되는 특정채널의 오디오신호에는 사운드신호 및 보컬신호가 실리고, 다른 적어도 두 채널의 오디오신호에는 사운드신호만이 실린, DA컨버터부, 상기 DA컨버터부로부터 출력하는 상기 특정채널에 실린 사운드신호를 상기 다른 채널들에 실린 사운드신호의 위상특성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상기 특정채널의 오디오신호중에서 보컬신호만을 추출하는 보컬신호추출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추출된 보컬신호의 레벨을 기설정된 제로(0)레벨부터 최대레벨까지 가변되는 레벨들중의 하나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보컬신호레벨 조정부를 포함하는, 보컬레벨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채널은 소정 다채널오디오규격에 따른 전면 중심(center)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다른 두 채널은 기본오디오신호를 위한 전면 우측(right)채널 및 좌측(left)채널인, 보컬레벨조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채널의 오디오신호는 그 위상특성이 서로 다르고, 상기 특정채널의 사운드신호는 상기 두 채널의 사운드신호가 합성된 신호이며, 상기 보컬신호추출부는, 상기 DA컨버터로부터의 특정채널의 오디오신호중에서 상기 두 채널중의 한 채널의 사운드신호와 동위상의 사운드신호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1차동증폭기 및 상기 제1차동증폭기로부터의 오디오신호중에서 상기 DA컨버터부로부터 출력하는 상기 두 채널중의 다른 채널의 사운드신호와 동위상의 사운드신호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보컬신호만을 출력하는 제2차동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컬신호레벨조정부는, 상기 제2차동증폭기로부터의 보컬신호를 소정게인값으로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하는 증폭된 보컬신호의 레벨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픈(open)의 무한대값부터 제로(0)까지 가변되는 저항값들중의 하나로 조정하여 상기 특정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로 출력하는 가변저항기를 포함하는, 보컬레벨조정장치.
KR2019960037840U 1996-10-31 1996-10-31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vocal)레벨조정장치 KR200164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840U KR200164977Y1 (ko) 1996-10-31 1996-10-31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vocal)레벨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840U KR200164977Y1 (ko) 1996-10-31 1996-10-31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vocal)레벨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51U KR19980024451U (ko) 1998-07-25
KR200164977Y1 true KR200164977Y1 (ko) 2000-01-15

Family

ID=1947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840U KR200164977Y1 (ko) 1996-10-31 1996-10-31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vocal)레벨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9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40B1 (ko) * 2007-10-15 2009-09-02 이현우 Mp3를 이용한 노래방 모듈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40B1 (ko) * 2007-10-15 2009-09-02 이현우 Mp3를 이용한 노래방 모듈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51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021B1 (ko) 기록/재생용 다중 채널 오디오 강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433642B1 (ko) 스테레오증강시스템
FI118370B (fi) Stereolaajennusverkon ulostulon ekvalisointi
AU761690C (en) Voice-to-remaining audio (VRA) interactive center channel downmix
TWI489887B (zh) 用於喇叭或耳機播放之虛擬音訊處理技術
EP1657962B1 (en) Setting a speaker mode
US8121307B2 (en) In-vehicle sound control system
KR20000065108A (ko) 서라운드사운드환경에사용하기위한오디오증강시스템
JP2004056527A (ja) 周波数特性調整装置および周波数特性調整方法
JP4081768B2 (ja) 複数音声再生装置、複数音声再生方法及び複数音声再生システム
JP2003333700A (ja) サラウンドヘッドホン出力信号生成装置
JPH11176101A (ja) 疑似多チャンネルステレオ再生装置
KR200164977Y1 (ko) 다채널오디오재생시스템의 보컬(vocal)레벨조정장치
JP2001160997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2007006432A (ja) バイノーラル再生装置
KR200247762Y1 (ko) 다채널 멀티미디어 스피커 시스템
JP2000148165A (ja) カラオケ装置
WO2005064991A1 (ja) オーディオ装置
JP2009060336A (ja) 増幅装置
EP0323830B1 (en) Surround-sound system
KR200262164Y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음성신호출력장치
JPH01223895A (ja) 音響再生装置
GB2352379A (en) Audio signal controller and reproduc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280789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에이씨-3 2채널 출력장치 및 방법
JP3788081B2 (ja) 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