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946Y1 -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946Y1
KR200163946Y1 KR2019970017083U KR19970017083U KR200163946Y1 KR 200163946 Y1 KR200163946 Y1 KR 200163946Y1 KR 2019970017083 U KR2019970017083 U KR 2019970017083U KR 19970017083 U KR19970017083 U KR 19970017083U KR 200163946 Y1 KR200163946 Y1 KR 200163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ft
door
main body
vending machin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485U (ko
Inventor
김찬흥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17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9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100)와 도어(200)의 상단부에는 상기 도어(200)의 개폐 및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상단힌지(3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도어(200)의 개폐 및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힌지(4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힌지(300)와 하단힌지(400)사이의 도어(200) 일측면에는 개구홀(512a)이 형성된 도난방지브라켓트(5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단힌지(300)와 하단힌지(400)사이의 본체(100) 일측면에는 상기 개구홀(512a)과 결합되도록 일측끝단부에 걸림턱(521)이 형성된 도난방지수단(520)이 설치되어져, 상기 상단힌지(300)와 하단힌지(400)의 결합이 외력에 의해 해체되더라도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510)와 도난방지수단(520)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도어(200)가 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본체(100)내의 판매물품 및 돈통(236)의 도난이 방지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본 고안은 음료나 각종 생활용품들을 자동판매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본체의 내부에 적치된 물품 및 도어의 내측부에 보관된 돈 등의 도난이 방지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컵을 이용하여 음료를 판매하도록 된 컵음료 자동판매기와, 캔음료를 판매하도록 된 캔음료 자동판매기와, 복권·음료 등 다양한 물품을 한 개의 판매기에서 동시 판매하도록 된 복합 자동판매기 및 적치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컵음료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도난방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컵음료 자동판매기는 외관상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100)의 전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도어(20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도어(200)의 외부에는, 상기 본체(100)에서 도어(200)의 개폐시 사용되도록 된 손잡이(211)가 설치되어 있고, 음료를 구입하기 위해 동전을 투입시키도록 된 동전투입구(2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음료를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이 부착된 음료선택부(213)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음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된 음료구입구(214)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투입된 동전의 액수와 음료의 판매가격만큼 그 차액이 반환되도록 된 동전반환구(2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전투입구(212)를 통해 투입된 동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된 동전슈트(231)와, 이 동전슈트(231)의 하부에 배설되어 투입된 동전이 정화(正貨)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된 코인메카(232)와, 이 코인메카(232)와 일체로 결합된 거스름통(233)과, 이 거스름통(233)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투입된 동전의 액수와 음료의 판매가격과의 차액이 상기 동전반환구(215)로 이동되게 가이드역할을 수행하도록 된 동전가이드(234) 및, 상기 동전투입구(212)로 투입된 동전이 상기 코인메카(232)와 결합된 덕트(235)를 통해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적재되도록 된 돈통(236)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를 보관하도록 된 급수통(111)이 상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통(11)의 하측에는 가루원료를 보관하도록 된 다수개의 원료통(1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료통(112)의 측부에는 컵을 보관하도록 된 컵상자(1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컵상자(113)의 하부에는 컵투출통로(114)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받침대(115)가 설치됨은 물론, 이 컵하우징(15)의 하부에는 배출호스(116)를 통해 배출되는 원료나 물을 임시저장하도록 된 배수통(11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판매기의 사용자가 커피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받기 위해 먼저 동전투입구(212)로 동전을 투입시킨 다음, 음료선택부(213)의 선탄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제3도에 도시된, 컵상자(113)내에 저장보관되어 있던 컵이 컵받침대(115)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컵받침대(115)내에 컵이 공급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음료배출노즐(도시되어있지 않음)을 통해 상기 컵받침대(115)내에 위치된 컵으로 기설정된 양만큼 토출되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음료토출이 완료된 컵을 음료구입구(214)를 통해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료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동전투입구(212)로 투입한 동전의 액수와 음료판매가격 만큼의 차액을 동전반환구(215)를 통해 반환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컵받침대(115)내에 공급된 컵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원료나 물이 상기 컵에 완전토출되지 못하고 컵이외의 다른 부위로 토출되면, 상기 원료와 물은 배출호스(116)를 통해 배수통(117)으로 집수되며, 이는 자동판매기 관리자에 의해 청소되게 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적치된 물품 및 상기 돈통(236)에 보관된 돈 등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바, 종래의 도난방지장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서 도어(200)의 개폐시 사용되도록 된 상단힌지(300) 및 하단힌지(400)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즉, 일측부가 상기 본체(100)와 결합됨은 물론 타측부는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310)를 매개로 상기 도어(200)와 단단히 결합된 상단힌지(300) 및, 상기 상단힌지(300)와 동일하게 일측부가 상기 본체(100)와 결합됨은 물론 타측부도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410)를 매개로 상기 도어(200)와 단단히 결합된 상기 하단힌지(400)를 매개로 자동판매기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상단힌지(300)와 하단힌지(400)만으로는 자동판매기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상단힌지(300)가 설치된 본체(100) 및 도어(200)사이의 공간부(X)와, 상기 하단힌지(400)가 설치된 본체(100) 및 도어(200)사이의 공간부(Y)에, 비교적 긴 쇠막대기를 끼워넣음과 더불어 일정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상단힌지(300)의 돌기부(310)와 하단힌지(400)의 돌기부(410)가 상기 도어(200)에서 쉽게 이탈되므로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단힌지와 하단힌지이외의 도난방지장치가 본체와 도어가 접하는 자동판매기의 중간부위에 더 설치되어, 쇠막대기에 의해 상기 상단힌지와 하단힌지의 결합이 해체되더라도 상기 본체와 도어의 해체가 방지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적치된 물품 및 돈통의 도난이 방지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와 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단힌지 및 상기 본체와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힌지를 매개로 상기 본체 내부에 적치된 물품 및 돈통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측면 소성부위에는 도난방지브라켓트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 소정부위에는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와 결합되어 도어의 해체를 방지하도록 된 도난방지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는, 도어에 설치되도록 평면을 갖춘 기저부와, 이 기저부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에는 소정형상의 개구홀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난방지수단의 일측부는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설치되고, 타측부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에 형성된 개구홀과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도어 내측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종래의 도난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판매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난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판매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도어
300 : 상단힌지 400 : 하단힌지
510 : 도난방지브라켓트 511 : 기저부
512 : 결합부 512a : 개구홀
520 : 도난방지수단 521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난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판매기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도난방지장치는, 자동판매기 본체(100)와 도어(2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단힌지(300)와,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힌지(400)와, 상기 상단힌지(300)와 하단힌지(400)사이의 도어(200)일측면에 설치된 도난방지브라켓트(510)및, 상기 상단힌지(300)와 하단힌지(400)사이의 본체(100)에 일측부가 설치되어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510)와 타측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200)의 해체를 방지하도록 된 도난방지수단(520)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0)내부에 적치된 물품 및 돈통(236; 제2도에 도시됨)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510)는, 상기 도어(200)에 설치되도록 평면을 갖춘 기저부(511)와, 이 기저부(511)와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소정부위에 개구홀(512a)이 형성된 결합부(51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도난방지수단(520)의 일측부는, 걸림턱(521)이 형성되도록 소정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510)에 형성된 개구홀(512a)에 삽입/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200)와 본체(100)가 접하는 자동판매기의 중간부위에 도난방지브라켓트(510) 및 도난방지수단(520)을 각각 설치함과 더불어 개구홀(512a)과 걸림턱(521)을 매개로 상기 도난방지브라젯트(510) 및 도난방지수단(520)을 결합시키게 되면, 외력에 의해 상단힌지(300)와 하단힌지(400)의 결합이 해체되더라도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510)와 도난방지수단(520)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도어(200)가 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판매물품 및 제2도에 도시된 돈통(236)의 도난이 방지되게 된다.
즉, 상기 상단힌지(300)와 하단힌지(400)가 외력에 의해 자동판매기와의 결합이 해체되더라도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521)과 개구홀(521a)과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서로 결합된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510)와 도난방지수단(520)의 해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상기 본체(100)내에 적치된 판매물품 및 제2도에 도시된 돈통(236)의 도난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난방지장치가, 상단힌지와 하단힌지와 상기 상/하단힌지사이의 본체에 설치된 도난방지수단 및 상기 상/하단힌지사이의 도어에 설치된 도난방지브라켓트로 이루어져, 상기 상단힌지와 하단힌지의 결합이 외력에 의해 해체되더라도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와 도난방지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본체내의 판매물품 및 돈통의 도난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100)와 도어(2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단힌지(300) 및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힌지(400)를 매개로 상기 본체(100)내부에 적치된 물품 및 돈통(236)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단힌지(200)와 상기 하단힌지(300)사이의 도어(200) 일측면에는 도난방지브라켓트(510)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힌지(200)와 상기 하단힌지(300)사이의 본체(100) 일측면에는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510)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도난방지수단(520)의 일측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브라켓트(510)가 상기 도어(200)에 설치되도록 평면을 갖춘 기저부(511)와, 이 기저부(511)와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소정부위에 개구홀(512a)이 형성된 결합부(5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수단(520)의 일측끝단부에는, 상기 개구홀(512a)에 삽입/결합됨은 물론 외력에 의해 상기 개구홀(512a)과의 결합해체를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5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KR2019970017083U 1997-06-30 1997-06-30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KR200163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083U KR200163946Y1 (ko) 1997-06-30 1997-06-30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083U KR200163946Y1 (ko) 1997-06-30 1997-06-30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85U KR19990003485U (ko) 1999-01-25
KR200163946Y1 true KR200163946Y1 (ko) 2000-01-15

Family

ID=1950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083U KR200163946Y1 (ko) 1997-06-30 1997-06-30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9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85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700B2 (en)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KR19990011262A (ko) 복합 자동판매기의 상품판매 방법
KR200163946Y1 (ko)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US5409094A (en) Vending machine for bottled water
KR19990008524A (ko)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KR100624706B1 (ko) 페트병 자동판매기용 랙크
KR200160601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KR19990005949U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KR200163001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KR19990012212U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KR940004369Y1 (ko) 자동판매기의 매상집계장치
JP2560737Y2 (ja) カップ飲料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
KR19990004352U (ko)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KR200196113Y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박스조립체의 스틱박스뚜껑
KR200261772Y1 (ko) 자동판매기
KR200160602Y1 (ko) 자동판매기
KR19990073736A (ko) 자동판매기의 동전투입장치
KR200151839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KR0182421B1 (ko) 라면 자동판매기의 온수공급제어방법
KR19990035751U (ko) 자동판매기용 동전투출장치
KR19980014830U (ko) 패트병음료의 자판기용 앗세이랙크
JP2005182534A (ja) 自動販売機
KR19990004350U (ko) 자동판매기
JPH11191178A (ja) 自動販売機
KR19990074020A (ko) 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