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001Y1 -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001Y1
KR200163001Y1 KR2019970014631U KR19970014631U KR200163001Y1 KR 200163001 Y1 KR200163001 Y1 KR 200163001Y1 KR 2019970014631 U KR2019970014631 U KR 2019970014631U KR 19970014631 U KR19970014631 U KR 19970014631U KR 200163001 Y1 KR200163001 Y1 KR 200163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w material
vending machine
cabine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215U (ko
Inventor
박영곤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14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00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001Y1/ko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를 무인으로 자동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분말원료를 저장보관하는 다수의 원료통과, 상기 원료통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반원형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상기 캐비닛이 내부에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지지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원료통을 지지하도록, 하부면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는 걸림턱이 돌출되며, 전방에는 상기 지지대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된 다수의 받침대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결합홈이 구비되고 반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원료통이 결합돌기 및 걸림턱이 구비된 받침대를 매개로 설치되어서, 받침대를 지지대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원료통을 용이하게 재배치시킬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배가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본 고안은 음료를 무인으로 자동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말원료를 저장보관하는 원료통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지지대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원료통의 재배치를 용이하게 하므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를 무인으로 자동판매하는 자동판매기는, 커피등과 같은 컵음료를 판매하는 것과, 캔음료를 자동으로 판매하는 것등과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본 고안은 커피등과 같은 분말원료를 용해시켜서 음료를 자동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이 음료를 자동판매하는 자동판매기는, 음료투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컵을 자동공급하는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에서 투출된 컵으로 분말원료가 공급되도록 분말원료를 저장보관하는 원료통과, 물을 저장보관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서 공급된 물과 상기 원료통에서 공급된 분말원료를 혼합시키는 혼합기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이 필수적으로 소요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통(1)은 원료를 저장보관하는 케이스(1a)와, 상기 케이스(1a)의 하부에 마련된 하우징(1b)과, 상기 하우징(1b)의 내부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에 의해 원료가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b)의 전면에 형성된 원료토출구(1c)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은, 상기 하우징(1b)의 내부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1a)에 저장보관된 원료가 상기 원료토출구(1c)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료통(1)의 하측에는 다수의 상기 원료통(1)을 지지하는 받침대(2)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은, 다수의 원료통이 하나의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게 되므로써, 판매되는 음료를 재배치할 경우 받침대를 교환하여야 하므로서 원료통의 재배치가 불가능하여 사용의 불편함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모터가 고정설치되어 모터를 청소하는 것이 난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분말원료를 저장보관하는 원료통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지지대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원료통의 재배치를 용이하게 하므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는,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분말원료를 저장보관하는 다수의 원료통과, 상기 원료통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반원형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상기 캐비닛이 내부에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지지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원료통을 지지하도록, 하부면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는 걸림턱이 돌출되며, 전방에는 상기 지지대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된 다수의 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에 의하면, 결합홈이 구비되고 반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원료통이 결합돌기 및 걸림턱이 구비된 받침대를 매개로 설치되어서, 받침대를 지지대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원료통을 용이하게 재배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배가된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및 받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부품이 조립된 상태에서 제3도의 IV-IV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11 : 도어
12 : 인출구 21 : 컵디스펜서
23 : 원료통 24 : 토출구
25 : 컵이송부 27 : 온수통
28 : 배출관 40 : 고정구
50 : 지지대 51 : 결합홈
60 : 받침대 61 : 결합돌기
62 : 걸림턱 80 : 모터부
81 : 회전축 82 : 모터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부품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3의 IV-IV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10)은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으로서, 그 전면에는 상기 캐비닛(10)을 개폐시킬수 있도록 인출구(12)가 구비된 도어(11)가 힌지를 매개로 조립되어 있다.
또,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컵을 적치시켜서 일회에 하나의 컵을 하부로 투출시키는 원통형상의 컵디스펜서(21)가 설치되며, 상기 컵디스펜서(21)의 하측에는 컵의 투출을 제어하는 컵이송부(2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컵디스펜서(21)에 대향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커피 및 프리임 그리고 설탕 등을 각각 저장보관하여 상기 컵디스펜서(21)에서 투출되는 컵으로 분말원료가 공급되도록 반원형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하단에는 토출구(24)가 구비된 원료통(2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원료통(23)의 일측에는, 상기 컵디스펜서(21)에서 투출되는 컵으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가열하여 공급하며 밸브가 장착된 배출관(28)이 구비된 온수통(2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대체로 하부에는 상기 온수통(27)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물을 저장보관하는 물통(30)이 인출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특징부인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50)은 상기 원료통(23)을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반원형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이고, (40)은 상기 지지대(50)가 상기 캐비닛(10)이 내부에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지지대(50)를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50)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홈(5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대(50)에는 상기 원료통(23)을 재배치시킬 경우 상기 원료통(23)을 용이하게 재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료통(23)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50)에 탈착가능하게 받침대(6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받침대(60)는 하부면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대(50)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는 걸림턱(62)이 돌출되며, 상기 받침대(60)의 전방에는 상기 지지대(50)의 결합홈(5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61)가 돌출되어서,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지지대(50)에 탈착가능하게 취부된다.
또, 상기 받침대(60)가 상기 지지대(50)에 취부된 후에는 상기 받침대(60)가 상기 지지대(50)에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볼트(70)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료통(23)에 저장보관된 분말원료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80)는 모터(82)와 회전축(81)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60)의 후면에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소비자가 상기 도어(11)에 구비된 동전투입구 혹은 지폐투입구로 주화혹은 지폐를 투입시기고 선택버튼을 누르면,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컵 디스펜서(21)의 컵이 상기 컵이송부(25)에 제어되어서 낙하된다.
또, 상기 컵디스펜서(21)의 컵이 낙하되면 상기 원료통(23)에 저장된 분말원료는 토출구(24)를 통해 컵으로 공급되고, 상기 온수통(27)의 온수가 상기 배출관(28)을 통해서 컵으로 공급되어 소비자는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료통(23)은 결합돌기(61)와 걸림턱(62)이 구비된 받침대(60)에 지지되어 반원호상의 상기 지지대(50)에 설치되므로, 상기 받침대(60)의 결합돌기(61)를 상기 지지대(50)의 결합홈(51)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받침대(60)를 들어올리면 상기 받침대(60)가 상기 지지대(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므로서, 상기 원료통(23)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음료의 판매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원료통(23)의 재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상기 지지대(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상기 받침대(60)의 후면에 상기 모터부(80)가 설치되므로, 상기 받침대(60)를 상기 지지대(5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모터부(80)의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에 의하면, 결합홈이 구비되고 반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원료통이 결합돌기 및 걸림턱이 구비된 받침대를 매개로 설치되어서, 받침대를 지지대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원료통을 용이하게 재배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배가된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분말원료를 저장보관하는 다수의 원료통(23)과, 상기 원료통(23)을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반원형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50)와, 상기 지지대(50)가 상기 캐비닛(10)이 내부에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지지대(50)를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40)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 결합홈(51)과;
    상기 결합홈(51)이 형성된 상기 지지대(5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원료통(23)을 지지하도록, 하부면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대(50)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는 걸림턱(62)이 돌출되며, 전방에는 상기 지지대(50)의 결합홈(5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61)가 돌출된 다수의 받침대(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KR2019970014631U 1997-06-17 1997-06-17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KR200163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631U KR200163001Y1 (ko) 1997-06-17 1997-06-17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631U KR200163001Y1 (ko) 1997-06-17 1997-06-17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215U KR19990001215U (ko) 1999-01-15
KR200163001Y1 true KR200163001Y1 (ko) 1999-12-15

Family

ID=1950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631U KR200163001Y1 (ko) 1997-06-17 1997-06-17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0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215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512B1 (ko) 자동판매기
US3247940A (en) Machine for vending cups containing powdered food
GB2271048A (en) Revolving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US20090250490A1 (en) Dispensing device
KR200163001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받침대
US5409094A (en) Vending machine for bottled water
KR200151839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JPH03194693A (ja) 飲料自動販売機
KR200163946Y1 (ko) 자동판매기의 도난방지장치
KR200159357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200161197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결합장치
KR200294636Y1 (ko) 복합자동판매기
KR200162571Y1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KR200257792Y1 (ko) 자동판매기용 디스펜서의 컵디스펜서
KR200157696Y1 (ko)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KR200246675Y1 (ko) 수동식 커피 믹서기
JP3443877B2 (ja) 自動給茶機の葉茶自動計量装置
KR19990074019A (ko) 자동판매기의 컵배출장치
JP3196445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9990004350U (ko) 자동판매기
KR200160601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KR200163003Y1 (ko) 자동판매기의 누설원료 집진구조
KR19990005949U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KR200238056Y1 (ko) 자동판매기의원료혼합장치
KR19990028110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