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409Y1 - 철도용신호기브라켓 - Google Patents

철도용신호기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409Y1
KR200163409Y1 KR2019990013236U KR19990013236U KR200163409Y1 KR 200163409 Y1 KR200163409 Y1 KR 200163409Y1 KR 2019990013236 U KR2019990013236 U KR 2019990013236U KR 19990013236 U KR19990013236 U KR 19990013236U KR 200163409 Y1 KR200163409 Y1 KR 200163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signal
fixing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광성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광성신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광성신호
Priority to KR2019990013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9/00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 B61L9/04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의 건널목이나 기차역 등에 설치되는 신호기의 지주와 색등 하우징을 간편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고, 브라켓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습기로 인한 브라켓의 변형과 누전이나 합선 등의 전기적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용 신호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지주와 브라켓은 색등 하우징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브라켓과 색등 하우징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브라켓을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를 첨가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며, 그 상부브라켓은 받침부에 U볼트를 결합하여 지주에 고정하고, 그 대향측의 통공에 연결구를 결합하여 색등 하우징을 고정하며, 상기 하부브라켓은 받침부에 2개의 U볼트를 결합하여 지주에 고정하고, 그 대향측을 색등 하우징의 하단부에 고정한 후, 하부브라켓에는 배선마개를 나사로 착탈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철도용 신호기 브라켓 {Bracket for suspending signal in railway}
본 고안은 철도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한 건널목이나 기차역 등에 설치되는 신호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의 건널목이나 기차역 등에 설치되는 신호기의 지주와 색등 하우징을 합성수지재의 브라켓으로 연결하여 신호기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습기로 인한 브라켓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습기로 인한 누전이나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용 신호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용 신호기는 기차의 안전한 운행과 건널목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이러한 신호기는 2색부터 4색까지의 색등으로 구성되어 기차의 운행을 보조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호기 중에서 지주와 색등 하우징을 브라켓으로 연결하는 신호기는 그 브라켓을 금속 주물품이나 철재로된 브라켓을 사용함으로서 내,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브라켓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브라켓의 내부에 생긴 습기로 인하여 내부의 배선에 전기적 악영향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금속 주물품이나 철재로된 브라켓은 자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설치에 많은 힘이 소모되고, 설치시 여러사람이 함께 작업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철도의 건널목이나 기차역 등에 설치되는 신호기의 지주와 색등 하우징을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를 첨가한 합성수지재의 브라켓으로 연결함으로서 신호기의 설치 및 철거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브라켓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습기로 인한 브라켓의 변형과 누전이나 합선 등의 전기적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철도용 신호기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주 2 : 색등 하우징
3 : 하부브라켓 4, 18 : 받침부
5, 19 : 요홈 6, 7, 20 ; 통공
8 : 연결구 9, 14, 24 : 나사부
10, 15, 25 : 링와셔 11, 16, 26 : 스프링와셔
12, 13a, 27 : 너트 13, 23 : U볼트
17 : 하부브라켓 21 : 배선마개
22 : 나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1)와 색등 하우징(2)을 브라켓으로 연결하여 지주(1)에 색등 하우징(2)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철도용 신호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색등 하우징(2)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브라켓(3)과 색등 하우징(2)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브라켓(17)을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를 첨가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며, 그 상부브라켓(3)은 받침부(4)에 U볼트(13)를 결합하여 지주(1)에 고정하고, 그 대향측의 통공(7)에 연결구(8)를 결합하여 색등 하우징(2)을 고정하며, 상기 하부브라켓(17)은 받침부(18)에 2개의 U볼트(23)를 결합하여 지주(1)에 고정하고, 그 대향측을 색등 하우징(2)의 하단부에 고정한 후, 하부브라켓(17)에는 배선마개(21)를 나사(22)로 착탈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때, 상기 상부브라켓(3)과 하부브라켓(17)은 요홈(5)(19)을 지주(1)에 밀착시키고, U볼트(13)(23)의 그 나사부(14)(24)를 받침부(4)(18)의 통공(6)(20)으로 관통삽입하여 링와셔(15)(25)와 스프링와셔(16)(26)를 끼운 상태로 너트(13a)(27)를 체결 고정한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3)의 통공(7)에 결합되는 연결구(8)는 그 연결구(8)의 나사부(9)를 통공(7)으로 관통삽입한 후, 그 관통된 나사부(9)에 링와셔(10)와 스프링와셔(11)를 끼운 상태로 너트(12)를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철도용 신호기의 지주(1)와 색등 하우징(2)을 상부브라켓(3)과 하부브라켓(17)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되 그 상부브라켓(3)은 연결구(8)로 색등 하우징(2)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다색인 색등을 점멸하기 위한 배선이 내설되는 하부브라켓(17)은 색등하우징(2)의 하단부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하부브라켓(17)에는 배선마개(21)를 나사(22)로 고정하여 배선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상부브라켓(3)과 하부브라켓(17)은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를 첨가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함으로서 그 상부브라켓(3)과 하부브라켓(17) 자체의 중량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신호기의 설치 및 철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배선이 내설되는 하부브라켓(17)은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브라켓(17) 내부의 습기발생이 방지됨에 따라 습기로 인한 하부브라켓(17)의 변형을 방지하고, 누전이나 합선 등의 전기적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지주와 브라켓은 색등 하우징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브라켓과 색등 하우징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브라켓을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를 첨가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며, 그 상부브라켓은 받침부에 U볼트를 결합하여 지주에 고정하고, 그 대향측의 통공에 연결구를 결합하여 색등 하우징을 고정하며, 상기 하부브라켓은 받침부에 2개의 U볼트를 결합하여 지주에 고정하고, 그 대향측을 색등 하우징의 하단부에 고정한 후, 하부브라켓에는 배선마개를 나사로 착탈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철도의 건널목이나 기차역 등에 설치되는 신호기의 지주와 색등 하우징을 간편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고, 브라켓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습기로 인한 브라켓의 변형과 누전이나 합선 등의 전기적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지주(1)와 색등 하우징(2)을 브라켓으로 연결하여 지주(1)에 색등 하우징(2)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철도용 신호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색등 하우징(2)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브라켓(3)과 색등 하우징(2)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브라켓(17)을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를 첨가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며, 그 상부브라켓(3)은 받침부(4)에 U볼트(13)를 결합하여 지주(1)에 고정하고, 그 대향측의 통공(7)에 연결구(8)를 결합하여 색등 하우징(2)을 고정하며, 상기 하부브라켓(17)은 받침부(18)에 2개의 U볼트(23)를 결합하여 지주(1)에 고정하고, 그 대향측을 색등 하우징(2)의 하단부에 고정한 후, 하부브라켓(17)에는 배선마개(21)를 나사(22)로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철도용 신호기 브라켓.
KR2019990013236U 1999-07-07 1999-07-07 철도용신호기브라켓 KR200163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236U KR200163409Y1 (ko) 1999-07-07 1999-07-07 철도용신호기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236U KR200163409Y1 (ko) 1999-07-07 1999-07-07 철도용신호기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409Y1 true KR200163409Y1 (ko) 2000-02-15

Family

ID=19580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236U KR200163409Y1 (ko) 1999-07-07 1999-07-07 철도용신호기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4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451Y1 (ko) 2015-01-13 2015-10-13 대연시스템(주) 위치조절이 가능한 철도터널용 지주
CN109973888A (zh) * 2019-03-19 2019-07-05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多功能铁路报警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451Y1 (ko) 2015-01-13 2015-10-13 대연시스템(주) 위치조절이 가능한 철도터널용 지주
CN109973888A (zh) * 2019-03-19 2019-07-05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多功能铁路报警灯
CN109973888B (zh) * 2019-03-19 2021-09-21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多功能铁路报警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3409Y1 (ko) 철도용신호기브라켓
KR100763025B1 (ko) 신호등의 설치구조
ATE126406T1 (de) Gekapselte gasisolierte hochspannungsanlage und baugruppe einer solchen anlage.
KR200332599Y1 (ko)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한 가로등
CH673553A5 (ko)
KR100934102B1 (ko) 전기박스가 구비된 가로등주
KR200391190Y1 (ko) 연등 가설장치
KR960002958A (ko) Ft형 커넥터
KR100431514B1 (ko) 신호등 함체의 거치구조
CN220627204U (zh) 一种直流电输出设备防强电灌入的安全设备
CN204717550U (zh) 一种长排警示灯主灯模组
CN204704769U (zh) 一种长排警示灯主灯组
CN218209405U (zh) 一种建筑用的结构连接件
CN213753637U (zh) 一种分离式电表箱
KR200146604Y1 (ko) 철도 신호용 전구기판
CN218594225U (zh) 一种新型昼间行驶灯
CN220152703U (zh) 一种快拆式隧道灯
CN217405865U (zh) 一种插座系统
KR200284353Y1 (ko) 절손방지형 애자
CN214396576U (zh) 一种汽车喇叭支架
KR20040037345A (ko) 전신주행거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부 고정 장치
KR200152793Y1 (ko) 가로등주에 부설된 매입형 기꽂이
CN213900888U (zh) 一种新式路灯灯杆结构
KR19980042333U (ko) 조명등과 반사갓의 결합구조
KR0122821Y1 (ko) 가로등 철주의 뚜껑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