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146Y1 -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146Y1
KR200163146Y1 KR2019970029752U KR19970029752U KR200163146Y1 KR 200163146 Y1 KR200163146 Y1 KR 200163146Y1 KR 2019970029752 U KR2019970029752 U KR 2019970029752U KR 19970029752 U KR19970029752 U KR 19970029752U KR 200163146 Y1 KR200163146 Y1 KR 200163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concave
connector
partitio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354U (ko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추두련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두련,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두련
Priority to KR2019970029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1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3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Abstract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틀의 수평부재에 레일부재가 결합되고 이 레일부재위에 창틀이 슬라이딩가능게 결합되는 오목형 창문틀의 수평,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실외측창틀과 실내측창틀을 구획하는 칸막이(40)는 몸체(20)에 분리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40)의 하측에는 배수구(41)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41)에는 강우시 맥동압현상과 수위에 의한 수압에 따라 자연적으로 개폐되어 배수가 조절되는 배수구덮개(42)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강우시 맥동압현상과 수위에 의한 수압에 의해 배수가 조절되어 수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수가 되지 않을 시에는 배수구덮개가 닫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본 고안은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 덮개를 가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의 창문틀은 볼록형 창문틀과 오목형 창문틀로 나뉘어진다. 상기 볼록형 창문틀은 창문틀의 수평부재에 형성된 돌출부를 타고 창문이 직접 슬라이딩하는 창문틀이고, 오목형 창문틀은 창문틀의 수평부재에 레일부재가 결합되고 이 레일부재위에 창틀이 슬라이딩가능게 결합되는 창문틀이다.
종래 오목형 창문틀이 적용된 창문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틀(1)이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창문틀(1)의 내부에는 창틀(3, 3')이 개폐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창틀(3)의 내부에는 벽체의 내측 또는 외측이 투시되도록 창유리(5, 5')가 삽입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창문틀(1)은 일정길이의 수평부재(7)와 수직부재(8)가 ㄴ 형의 연결구(10)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7)에는 실외측창틀과 실내측창틀을 구획하는 도시하지 앓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레일부재가 결합되고 이 레일부재위에 창틀이 슬라이딩가능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0)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7)와 수직부재(8)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0)의 앞측부에는 상기 수평부재(7)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11, 11', 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11, 11', 11")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10)와 수평부재(7)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명(1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10)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부재(8)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13, 13', 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13, 13', 13'')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10)와 수직부재(8)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멍(1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코어(11, 11', 11")와 돌출코어(13, 13', 13")가 이루는 내각의 모서리에는 창틀(3, 3')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돌출부(15, 15', 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5', 15")의 하측에는 빗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흘러 내리도록 배수홈(15'a)(1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에서는 장마철에 비가 많이 올때에는 연결구에 빗물이 넘치게 되어 상기 배수홈(15'a, 15"a)을 통해 실내로 빗물이 유입하게 되어 수밀성이 영호하지 못하고, 비가 오지 않을 시에는 상기 배수홈(15'a)(15"a)을 통해 실내로 바람이 들어오므로 기밀성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 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강우시 맥동압현상과 수위에 의한 수압에 의해 배수가 조절되어 수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수가 되지 않을 시에는 배수구덮개가 닫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창문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몸체 21, 22 : 돌출부
27 : 사다리꼴 요입띠홈 28 : 사각 요입띠홈
40 : 칸막이 41 : 배수구
42 : 배수구덮개 43 : 걸림턱
44 : 걸림홈
본 고안에 의한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틀의 수평부재에 레일부재가 결합되고 이 레일부재위에 창틀이 슬라이딩가능게 결합되는 오목형 창문틀의 수평,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실외측창틀과 실내측창틀을 구획하는 칸막이는 몸체에 분리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의 하측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에는 강우시 맥동압현상과 수위에 의한 수압에 따라 자연적으로 개폐되어 배수가 조절되는 배수구덮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는, ㄴ형으로 된 몸체(20)의 모서리 양측에는 돌출부(21)(22)가 형성되고, 몸체(20)의 모서리 중간부에는 칸막이(40)가 상기 몸체(20)에 분리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각 돌출부(21)(22)와 칸막이(40)사이에는 실외측창틀과 실내측창틀이 수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몸체(20)의 앞측부에는 창문틀의 수평부재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23, 23', 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23, 23', 23")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20)와 수평부재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멍(2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0)의 상부에는 창문틀의 수직부재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25, 25', 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25, 25', 25")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20)와 수직부재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멍(2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1)(22)에서 상기 칸막이를 향한 면에는 창틀이 끼워 졌을 때 창틀과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모헤어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21a)(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2)의 하측에는 빗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흘러 내리도록 배수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20)에는 상기 칸막이(40)가 끼위지는 사다리꼴 요입띠홈(27)과 사각 요입띠홈(28)이 직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2)의 일측에는 방충망틀이 끼워지도록 요입부(2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입부(29)의 일측에는 실외로 배수가 용이하도록 배수홈(2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40)의 하측에는 배수구(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41)에는 강우시 맥동압현상과 수위에 의한 수압에 따라 자연적으로 개폐되어 배수가 조절되는 배수구덮개(42)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40)의 양측면에는 창틀이 끼위 졌을 때 창틀과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모헤어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40a)(4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41)에는 상기 배수구덮개(42)가 수직상태에서 좌측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41)의 상측에는 상기 배수구덮개(42)의 후술하는 걸고리가 끼워져 안내/요동하도록 걸림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40)이 저부에는 상기 몸체(20)의 사다리꼴 요입띠홈(24)에 끼워지도록 사다리꼴 돌출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 덮개(42)의 상부의 양측에는 갈고리형의 걸고리(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에서 배수구덮개(42)는 수압의 강약에 따라 열림이 조정된다. 즉, 상기 돌출부(21)와 칸막이(40)사이에 물이 차면 그 수압과 맥동압에 의해 배수구덮개(42)가 실외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물이 빠진 상태에서는 배수구덮개(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턱(43)에 걸려 닫힌 상태로 되므로 빗물등이 배수구(41)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창문의 상측모서리에 결합된 오목형창문틀용 연결구에서는 상기 칸막이(40)를 분리시키고, 배수구가 없는 별도로 칸막이를 끼워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에 의하면, 강우시 맥동압현상과 수위에 의한 수압에 의해 배수가 조절되어 수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수가 되지 않을 시에는 배수구덮개가 닫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창문틀의 수평부재에 레일부재가 결합되고 이 레일부재위에 창틀이 슬라이딩가능게 결합되는 오목형 창문틀의 수평,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실외측창틀과 실내측창틀을 구획하는 칸막이(40)는 몸체(20)에 분리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40)의 하측에는 배수구(41)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41)에는 강우시 맥동압현상과 수위에 의한 수압에 따라 자연적으로 개폐되어 배수가 조절되는 배수구덮개(42)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에는 상기 칸막이(40)가 끼워지는 사다리꼴 요입띠홈(27)과 사각 요입띠홈(28)이 직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40)의 저부에는 상기 몸체(20)의 사다리꼴 요입띠홈(27)에 끼워지도록 사다리꼴 돌출부(40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41)에는 상기 배수구덮개(42)가 수직상태에서 일측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덮개(42)의 상부의 양측에는 갈고리형의 걸고리(4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41)의 상측에는 상기 걸고리(42a)가 끼위져 안내/요동하도록 걸림홈(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40)의 양측면에는 창틀이 끼워 졌을 때 창틀과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모헤어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40a)(4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KR2019970029752U 1997-10-27 1997-10-27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KR200163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752U KR200163146Y1 (ko) 1997-10-27 1997-10-27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752U KR200163146Y1 (ko) 1997-10-27 1997-10-27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354U KR19990016354U (ko) 1999-05-25
KR200163146Y1 true KR200163146Y1 (ko) 1999-12-15

Family

ID=1951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752U KR200163146Y1 (ko) 1997-10-27 1997-10-27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89B1 (ko) 2004-04-30 2006-08-28 이석춘 창호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89B1 (ko) 2004-04-30 2006-08-28 이석춘 창호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354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007B1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ES2246580T3 (es) Ventana o puerta-ventana de golpe con batiente(s) escondido(s).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200163146Y1 (ko)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JP3542960B2 (ja) 複合サッシの下枠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200163145Y1 (ko) 창문의 밀봉 배수구조
US6009928A (en) Complex window having multiple window types
KR200154228Y1 (ko) 분리가능한 배수조절장치가 결합된 창문틀 연결구
JPH019915Y2 (ko)
JP3232403B2 (ja) 合成樹脂製の框
JPS6316461Y2 (ko)
JPS645035Y2 (ko)
JPH019914Y2 (ko)
KR200258012Y1 (ko) 빗물 비산 방지용 중간 창짝용 중간막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JPH0116876Y2 (ko)
KR102035219B1 (ko) 배수가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KR200242415Y1 (ko) 방충망 레일 설치 구조
JPS636330Y2 (ko)
JP2018150702A (ja) 建具
JPS5856252Y2 (ja) カ−テンウオ−ルにおける雨仕舞機構
JP2521181Y2 (ja) 引違いサッシの下枠構造
JPH09209664A (ja) 引違いサッシの召合せ部水密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