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957Y1 -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 Google Patents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957Y1
KR200162957Y1 KR2019970005798U KR19970005798U KR200162957Y1 KR 200162957 Y1 KR200162957 Y1 KR 200162957Y1 KR 2019970005798 U KR2019970005798 U KR 2019970005798U KR 19970005798 U KR19970005798 U KR 19970005798U KR 200162957 Y1 KR200162957 Y1 KR 200162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coupling
cover
termi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557U (ko
Inventor
노진설
Original Assignee
김덕현
주식회사대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현, 주식회사대륙 filed Critical 김덕현
Priority to KR2019970005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957Y1/ko
Publication of KR970025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5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장비의 배선 등에 설치되는 회로 보호용 차단기의 입력 및 출력 단자부 절연을 확실하게 수행할수 있도록한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차단기 본체부(2)의 입력단자(3) 및 출력단자(6) 일측에는 절연돌기(10)가 각각 입설되며, 이와 결합되는 차단기 커버(8)의 돌기 결합부(11)에 돌기 삽입홈(12)이 천설되어 상기 절연돌기(10)가 긴밀하게 내삽 고정토록 되고, 상기 절연돌기(10) 내부에는 관통홀(7)이 천설되어 차단기 커버(8)와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결합구(9)를 절연토록 하는 것을 고안의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서, 차단기 본체부와 차단기 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차단기 결합구가 절연돌기 내부에 삽입 고정토록 되어 고전압이 인출되는 단자부의 절연을 확실하게 수행토록 하며, 배선과 연설된 차단기의 입, 출력 단자에서 발생되는 아아크의 누설에 따른 차단기 결합구의 숏트 발생을 미연에 예방하고, 이에따라 통신장비의 내부회로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본 고안은 통신장비의 배선 등에 설치되는 회로보호용 차단기(Circuit Pro-tector)의 입력 및 출력 단자부 절연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차단기의 입, 출력단자 사이로 커버와 본체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절연돌기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2중 절연구조로 인하여, 차단기의 고전압이 인출되는 단자부 및 결합구의 절연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함은 물론, 차단기의 조립시 상기 결합부와 절연돌기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조립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상태가 가일층 견고하게 이루어 지는 한편, 배선과 연결 설치되는 차단기의 입, 출력 단자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아아크의 누설시 차단기 결합구의 숏트 발생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장비 등의 배선등에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배선과 연결된 회로를 동작하게 되며, 이때 과부하 발생에 따른 회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배선에는 과부하 발생에 의한 배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가 설치되어 내부의 회로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구조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로보호용 차단기(31)의 차단기 본체부(32) 내측으로 전방에 돌출된 입력단자(33)와 일체로 케이블이 연설되어 온/오프 스위치(34)와 연결토록 되며, 상기 스위치(34)는 접지편(35)과 전기적으로 연설되어 입력단자(33) 일측으로 돌출되는 출력단자(36)와 선택적으로 접속토록 됨은 물론, 상기 입력 및 출력단자(33)(36) 일측에는 관통홀(37)이 형성되어 차단기 커버(38)와 결합구(39)로서 차단기 본체부(32)와 결합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회로보호용 차단기는, 배선(미도시)과 연설되는 차단기(31)의 입,출력 단자부(33)(36)에 전압의 인가시, 온/오프 스위치(34)가 온(ON)상태에서 접지편 (35)은 출력단자(36)와 접속되어 통신 장비의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되며, 상기 차단기(31) 내부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온/오프 스위치(34)가 오프(OFF)로 되는 상태에서 이와 연설된 접지편(35)은 출력단자(36)로 부터 순간적으로 이탈하게 되어 출력단자의 배선을 통한 회로 부품내에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어 회로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로보호용 차단기(31)의 차단기 본체부(32)와 차단기 커버(38)를 상호 결합시, 차단기 본체부(32)의 입력 및 출력단자(33)(36) 일측으로 천설된 관총홀(37)을 이용하여 차단기 커버(38)와 결합구(39)로서 결합시키게 되는 관계로 입, 출력 단자부(33)(36)로 부터 발생되는 아아크가 이와 근접 설치되는 결합구(39)에 전달되어 숏트 발생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통상 전기용품 기술 기준에 의하면, 상기 차단기(31)의 본체부와 커버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고전압이 인출되는 입,출력 단자부(33)(36)로 부터 도체 결합구(39)의 결합위치가 6mm이상 이격 설치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차단기의 특성상 상기 단자부로 부터 결합구(39)의 이격거리가 매우 근접(약 3mm정도)되어 입, 출력 단자부(33)(36)로 부터 발생되는 아아크의 영향에 의해 결합구(39)의 숏트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절연거리의 미확보로 인한 제품의 절연파괴 위험을 초래하게 되고, 배선과 연설된 통신장비의 회로에 영향을 미치게 하여 극심한 노이즈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단자부(33)(36)사이에 하나의 몸체로 된 차단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단일 구조로 차단벽에 의한 단자 및 결합구의 절연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차단기 조립시에도 그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단기의 입, 출력단자 사이로 커버와 본체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절연돌기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2중 절연구조로 인하여, 차단기의 고전압이 인출되는 단자부 및 결합구의 절연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함은 물론, 차단기의 조립시 상기 결합부와 절연돌기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조립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상태가 가일층 견고하게 이루어 지는 한편, 배선과 연결 설치되는 차단기의 입,출력 단자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아아크의 누설시 차단기 결합구의 숏트 발생을 확실하게 예방하며, 이에 따라 차단기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차단기 본체부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일측에는 절연돌기가 각각 입설되며,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차단기커버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 결합부에는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연돌기가 긴밀하게 내삽 고정되며, 상기 절연돌기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커버결합부의 삽입홈을 통하여 본체부와 커버를 결합하는 결합구가 결합되어 단자부 및 결합구를 2중 절연토록 구성되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 보호용 차단기의 개략 구조도.
제2도는 종래 차단기의 결합부 요부 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개략 구조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을 위한 차단기 결합부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기 2 : 차단기 본체부
3 : 입력단자 4 : 온/오프 스위치
5 : 접지편 6 : 출력단자
7 : 관통홀 8 : 차단기 커버
9 : 결합구 10 : 절연돌기
11 : 돌기 결합부 12 : 돌기 삽입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개략 구조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을 위한 차단기 결합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또한, 회로보호용 차단기(1)의 차단기 본체부(2) 내측으로 전방에 돌출된 입력단자(3)와 일체로 케이블이 연설되어 온/오프 스위치(4)와 연결토록 되며, 상기 스위치(4)는 접지편(5)과 전기적으로 연설되어 입력단자(3) 일측으로 돌출되는 출력단자(6)와 선택적으로 접속토록 됨은 물론, 상기 입력 및 출력단자(3)(6) 일측에는 관통홀(7)이 천설되어 차단기 커버(8)와 결합구(9)로서 차단기 본체부(2)와 결합 고정토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기 본체부(2)의 입력단자(3) 및 출력단자(6) 일측에는 절연돌기(10)가 각각 입설되며, 이와 결합되는 차단기 커버(8)의 돌기 결합부(11)에 돌기 삽입홈(12)이 천설되어 상기 절연돌기(10)가 상기 돌기 결합부(11)의 내측으로 긴밀하게 삽입 고정되어 입, 출력단자(3)(4)를 서로 끼워지는 커버 결합부(11)와 본체부 절연돌기(10)로서 2중 절연토록 된다.
한편, 상기 절연돌기(10)의 내부에는 관통홀(7)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본체부(2)와 차단기 커버(8)와 일체로 결합 고정토록 하는 결합구(9)도 상기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 결합부(11)와 절연돌기(10)로서 2중 절연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통신장비 등의 배선등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배선과 연결된 회로를 동작하게 되며, 이때 과부하 발생에 따른 회로를 보호토록 배선에 연결 설치되며, 특히 단자 및 결합구의 절연구조를 2중으로 구성하여 절연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킨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는 다음과 같다.
먼저, 회로보호용 차단기(1)의 차단기 본체부(2) 전방에 돌출된 입력단자(3)와 연설되는 온/오프 스위치(4)를 온(ON) 상태로 동작하여 전압을 인가시키면, 상기 온/오프 스위치(4)와 전기적으로 연설된 접지편(5)이 출력단자(6)와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통신장비의 회로부품에 공급하여 기기를 작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단기(1)의 내부로 과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4)가 오프(OFF) 되는 상태에서 접지편(5)이 출력단자(6)와 이격되어 통신장비의 회로부품에 공급되는 과전류를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회로보호용 차단기(1)는 입력 및 출력단자(3)(6)일측에는 마련된 결합부(11)를 결합구(9)로서 차단기 커버(8)와 일체로 차단기 본체부(2)와 결합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기 본체부(2)의 입력단자(3) 및 출력단자(6) 일측으로는 절연돌기(10)를 각각 입설시킨 상태에서, 이와 결합되는 차단기커버(8)의 돌기 결합부(11)에는 돌기 삽입홈(12)을 형성시킨후, 상기 차단기 본체부(2)의 절연돌기(100)가 상기 결합부(11)의 돌기 삽입홈(12)내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결합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부(2)의 입,출력 단자부(3)(6)사이에 돌출된 절연돌기(10) 내부에는 관통홀(7)을 형성시킴으로써, 차단기 커버(8)와 일체로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구(9)가 상기 절연돌기(10)의 내측으로 밀폐되는 상태로 결합토록 되어 입, 출력단자(3)(6)사이의 틈새로 부터 격리토록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8)와 본체부(2)의 결합시, 상기 커버 결합부(11)의 돌기 삽입홈(12)내에 본체부(2) 절연돌기(10)가 삽입되면서 2중으로 차단벽이 형성되는 2중 절연구조로 인하여, 입,출력단자(3)(6)사이에 두개가 설치되는 동시에 2중 절연토록 하여 단자부 및 결합구(9)의 절연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수행되는 한편, 조립시 상기 결합부(11)가 절연돌기(10)에 삽입되어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그 조립상태도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차단기(1)의 내부에 전압의 인가시 입력 및 출력단자(3)(6)에서 발생되는 아아크는 절연돌기(10)에 의해 완벽한 상태로 차단되어 결합구(9)에 아아크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되어 내부 절연효과에 의한 절연파괴현상 등을 미연에 예방할수 있게 된다.
더하여, 차단기 본체부(2)는 양측 단자 사이에 돌설된 절연돌기(10)가 절연커버(8)의 돌기 삽입홈(12)내에 긴밀하게 맞물리면서 삽입되어 1차로 고정된 후, 이를 재차 리벳등과 같은 결합구(9)를 통하여 2중으로 결합함으로써, 차단기 커버(8)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에 의하면, 차단기의 입,출력단자 사이로 커버와 본체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절연돌기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2중 절연구조로 인하여, 차단기의 고전압이 인출되는 단자부의 절연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함은 물론, 차단기의 조립시 상기 결합부와 절연돌기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조립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상태가 가일층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배선과 연결 설치되는 차단기의 입, 출력 단자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아아크의 누설시 차단기 결합구의 숏트 발생을 확실하게 예방하며, 이에 따라 차단기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부(2)의 내측으로 전방에 돌출된 입력단자(3)와 일체로 케이블이 연설되어 온/오프 스위치(4)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4)는 접지편(5)과 전기적으로 연설되어 입력단자(3) 일측으로 돌출되는 출력단자(6)와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입력 및 출력단자(3)(6) 일측으로 형성된 관통홀(7)에는 커버(8)의 삽입홈(12)을 통하는 결합구(9)가 결합되어 본체부(2)와 커버(8)가 결합고정되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본체부(2)의 입력단자(3) 및 출력단자(6) 일측에는 절연돌기(10)가 각각 입설되며, 상기 본체부(8)와 결합되는 차단기 커버(8)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 결합부(11)에는 돌기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절연돌기(10)가 긴밀하게 내삽 고정되며, 상기 절연돌기(10)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7)과 커버(8) 결합부(11)의 삽입홈(12)을 통하여 본체부(2)와 커버(8)를 결합하는 결합구(9)가 결합되어 단자부 및 결합구를 2중 절연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KR2019970005798U 1997-03-26 1997-03-26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KR200162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798U KR200162957Y1 (ko) 1997-03-26 1997-03-26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798U KR200162957Y1 (ko) 1997-03-26 1997-03-26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57U KR970025557U (ko) 1997-06-20
KR200162957Y1 true KR200162957Y1 (ko) 1999-12-15

Family

ID=1949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798U KR200162957Y1 (ko) 1997-03-26 1997-03-26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9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57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3966C (en) Circuit interrupter with terminal shield and wire trough
US5637000A (en) Electrical wiring device with ground strap shorting protection
US7084727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uniform control tile
US20180220541A1 (en) Multi-Chamber GFCI Housing Apparatus
US20180302997A1 (en) Multi-Chamber GFCI Housing Apparatus
CA2576767C (en) Electrical service device
JP2003141973A (ja) 電源遮断時における保護装置
CA2973821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terminal guard assembly
KR200162957Y1 (ko)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단자부 절연장치
KR20170017336A (ko)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인렛 소켓
ES2100080T3 (es) Instalacion de conmutacion de campos multiples con una barrera de arco electrico.
JP3843675B2 (ja) 多極開閉器の端子ユニット
EA00228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го блока со средство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ения,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и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блок
JP2918060B2 (ja) ガス絶縁電気機器
CN220121767U (zh) 一种可提高分断能力的隔离电弧结构
TWI541851B (zh) 電路遮斷器
CN111480272A (zh) 气体绝缘开关装置
JP7019095B2 (ja) 接続変換アダプタおよび電気機器
KR960007501Y1 (ko) 어댑터의 접지구조
JP6899970B1 (ja) 母線接続装置
KR101582610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용 메일 커넥터
JP2008017674A (ja) テストプラグ
KR100355930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 포커스유니트의 세라믹 기판
EP1442502B1 (en) Terminal for low voltage modular device
KR200183478Y1 (ko) 가스절연 부하 개폐기 부착형 휴즈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