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860Y1 -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860Y1
KR200162860Y1 KR2019970015236U KR19970015236U KR200162860Y1 KR 200162860 Y1 KR200162860 Y1 KR 200162860Y1 KR 2019970015236 U KR2019970015236 U KR 2019970015236U KR 19970015236 U KR19970015236 U KR 19970015236U KR 200162860 Y1 KR200162860 Y1 KR 200162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high voltage
pressure bobbin
printed board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752U (ko
Inventor
강석동
Original Assignee
강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동 filed Critical 강석동
Priority to KR2019970015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86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1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dynam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1차승압하며,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단과 연결된 제1인쇄기판상에 입력핀단자가 접속된 저압보빈과 상기 저압보빈에 의해 1차승압된 저전압을 2차승압하며, 몸체부에 형성되여 2차승압된 고전압을 출력하는 출력핀단자가 제2인쇄기판상에 접속된 고압보빈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대략 직각으로 설치되는 인쇄기판상에 저압보빈과 고압보빈의 핀단자를 분리 접속하므로 고전압으로 승압시 저압부와 고압부간에 문제시되는 내부방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작업공정을 추가할 필요없이 신속간편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며, 점유공간이 줄어들어 소형화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본 고안은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핀단자를 다른 기판에 분리접속함에 의해 내부방전으로 인한 신호왜곡을 방지하며,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는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이온 또는 오존발생장치에 사용되는 고전압 발생장치는 고압발생수단으로 승압용 보빈(bobbin)을 갖추고 있고, 승압용 보빈은 직류전원을 1차승압하는 저압보빈과 1차승압된 저전압을 2차승압하는 고압보빈으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음이온발생장치는 정류작용, 음이온발생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처리회로와 보빈을 통상적으로 동일한 인쇄기판상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저압보빈의 입력핀단자와 고압보빈의 출력핀단자가 인쇄기판상에 인접된 위치에 접속되어 있어서 직류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시 내부방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압보빈과 고압보빈에 대한 접속구조의 변형예가 제1도와 같이 제시되었다.
제1a 및 제1b는 종래의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제1a도에서 저압보빈(11)은 직류전원공급원(미도시)이 설치된 인쇄기판(13a)과 접속되며, 고압보빈(12)은 인쇄기판(13b)에 접속되어 있다. 저압보빈(11)은 정류된 직류전원을 연결도선(14)과 접속된 입력핀단자(11a)를 통해 공급받아 1차승압한다. 고압보빈(12)은 1차승압된 저전압을 2차승압하고, 2차승압된 고전압을 출력핀단자(12a)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나 인쇄기판(13a)과 저압보빈(11)을 연결하는 연결도선(14)을 통해 내부방전등이 발생되므로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우며 전체 외형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제1b도에서 별도의 케이스(20) 내부에 인쇄기판(23)을 설치하고, 케이스(20) 내부 일측에 형성된 격리공간(24)에 저압보빈(21) 및 고압보빈(22)를 배치하고 하부의 인쇄기판(23)에 접속하고 있다. 저압보빈(21)의 입력핀단자와 고압보빈(22)의 출력핀단자는 인쇄기판(23)에 핀접속되며, 격리공간(24)은 수지물로 몰딩처리되어 밀봉된다.
인쇄기판(23)에 저압보빈(21) 및 고압보빈(22)을 접속후 격리공간(24)은 절연을 위해 수지물로 몰딩처리를 하므로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나, 별도의 케이스(20)를 구비하여야 하고 번잡한 몰딩공정으로 인한 작업공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저압보빈과 고압보빈을 서로 이격된 인쇄기판상에 분리접속함에 의해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며,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는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음이온발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31 : 저압보빈 12,22,32 : 고압보빈
13a,13b,23,33a,33b : 인쇄기판 20 : 케이스
24 : 격리공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류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고전압 발생수단을 구비한 음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1차승압하며,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단과 연결된 제1인쇄기판상에 입력핀단자가 접속된 저압보빈; 및 상기 저압보빈에 의해 1차승압된 저전압을 2차승압하며, 몸체부에 형성되어 2차승압된 고전압을 출력하는 출력핀단자가 제2인쇄기판상에 접속된 고압보빈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제2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전압 발생장치는 제1 인쇄기판(33a)에 접속된 저압보빈(31)과 제2인쇄기판(33b)에 접속된 고압보빈(32)를 구비한다. 저압보빈(31)은 입력핀단자(31a)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놓인 제1인쇄기판(33a)에 접속된다. 고압보빈(32)은 저압보빈(31)과 일체로 성형되고 출력핀단자(32a)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놓인 제2 인쇄기판(33b)에 접속된다. 상기 저압보빈(31)과 고압보빈(32)은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승압한다.
상기 제1인쇄기판(33a)은 소정의 직류전원을 발생하는 직류전원공급단과 직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인쇄기판(33b)과 대략 직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저압보빈(31)은 입력핀단자(31a)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1차승압하며, 고압보빈(32)은 1차승압된 저전압을 2차승압한 다음 승압된 고전압은 출력핀단자(32a)를 통해 제2인쇄기판(33b)에 공급한다.
따라서, 저압보빈(31)의 입력핀단자(31a)와 고압보빈(32)의 출력핀단자(32a)는 서로 분리되어 접속됨에 의해 내부방전으로 인한 노이즈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1차승압하는 저압보빈(31)과 2차승압하는 고압보빈(32)가 동일한 인쇄기판에 접속시 핀단자가 인접함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방전으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인쇄기판(33b)은 수직방향으로 제1인쇄기판(33a)의 측방에 배치되므로 종래 보다 점유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제1인쇄기판(33a)과 제2인쇄기판(33b)을 직각형태로 배치하였으나 저압보빈(31)과 고압보빈(32)의 핀단자를 분리하고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를 만족시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인쇄기판을 경사지게 배치하거나 평행하게 배치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를 도시한 제3도에서는 별도의 케이스(20) 내부에 제1인쇄기판(33a)와 제2인쇄기판(33b)을 설치하고, 케이스(20) 내부 일측에 형성된 격리공간(24)에 저압보빈(31) 및 고압보빈(32)를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격리공간(24)에는 수지물로 몰딩처리되어 밀봉된다.
이와같이 격리공간(24)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절연재질인 수지물을 채워서 몰딩처리하게 되면, 저압보빈(31)의 입력핀단자(31a)와 고압보빈(32)의 출력핀단자(32a)사이의 절연효과를 배가할 수 있으므로 내부방전으로 인한 노이즈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대략 직각으로 설치되는 인쇄기판상에 저압보빈과 고압보빈의 핀단자를 분리 접속하므로 고전압으로 승압시 유기되는 자장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별도의 작업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저압보빈의 핀단자를 접속하므로 조립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격자형태로 인쇄기판이 설치되므로 점유공간이 줄어들어 소형화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직류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고전압 발생수단을 구비한 음이온 및 오존발생장치등에 사용되는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1차승압하며,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단과 연결된 제1인쇄기판(33a)상에 입력핀단자가 접속된 저압보빈(31);
    및 상기 저압보빈(31)에 의해 1차승압된 저전압을 2차승압하며, 몸체부에 형성되여 2차승압된 고전압을 출력하는 출력핀단자(32a)가 제2인쇄기판(32b)상에 접속된 고압보빈(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기판(33a)과 제 2인쇄기판(33b)은 상호 이격되여 대략 직각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압보빈(31)과 고압보빈(3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KR2019970015236U 1997-06-21 1997-06-21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KR200162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36U KR200162860Y1 (ko) 1997-06-21 1997-06-21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36U KR200162860Y1 (ko) 1997-06-21 1997-06-21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52U KR19990001752U (ko) 1999-01-15
KR200162860Y1 true KR200162860Y1 (ko) 1999-12-15

Family

ID=1950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236U KR200162860Y1 (ko) 1997-06-21 1997-06-21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8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094B1 (ko) 2008-05-26 2010-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리된 기판을 사용하는 램프 구동용 전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094B1 (ko) 2008-05-26 2010-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리된 기판을 사용하는 램프 구동용 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52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50719A (ja) Emcフィルタ
KR20060118328A (ko) 변압기
US5752838A (en) Terminal block and control unit using same
KR200162860Y1 (ko) 보빈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고전압 발생장치
US6625031B2 (en) Module part and electronic device
US5603307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16162682U (zh) 一种多级滤波结构、电机控制器及车辆
JP4519790B2 (ja) イオン発生装置
CN113794456A (zh) 一种多级滤波结构、电机控制器及车辆
JP7268508B2 (ja) 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電力変換装置
KR102421696B1 (ko) 트랜스포머용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용 절연체
CN218182012U (zh) 一种用于离子发生器的集成式高压单元
JPH1074643A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の高電圧発生コイル
JP7046146B1 (ja) 電力変換装置
CN117597840B (zh) 汇流条散热结构和逆变器设备
KR960007714Y1 (ko) 고전압 발생장치
CN1805222A (zh) 接地噪声抑制方法
US20020154523A1 (en) Circuit for converting AC voltage into DC voltage
JP4239870B2 (ja) 放電灯始動装置、放電灯点灯装置、車両用前照灯器具、車両
JP200009283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用回路ブロック
JPH0669053A (ja) 高圧ブロック
JP2024015550A (ja) バスバー位置決め構造及び電気機器
KR100336842B1 (ko) 안정기의 트랜스
KR960006101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포커스 유니트의 접지구조
KR960032515A (ko) 플라이백 변성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