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688Y1 -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688Y1
KR200162688Y1 KR2019970007034U KR19970007034U KR200162688Y1 KR 200162688 Y1 KR200162688 Y1 KR 200162688Y1 KR 2019970007034 U KR2019970007034 U KR 2019970007034U KR 19970007034 U KR19970007034 U KR 19970007034U KR 200162688 Y1 KR200162688 Y1 KR 200162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are tire
spare
floor panel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671U (ko
Inventor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70007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688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6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고정수단이 개선된 자동차용 스페어(SPARE)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별도의 조립 및 해지용 도구가 없이도 스페어타이어를 보관하거나 교체를 위한 이탈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트렁크룸의 리어플로어판넬에 하방으로 요입시켜 형성한 수용홈에 수납되는 자동차용 스페어타이러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룸(20)의 리어플로어판넬(21)에 형성한 수납홈(22)의 중앙에는 상단부에 걸림턱(23)을 형성한 고정브라켓(24, 24')을 상방으로 돌출시켜 고정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4, 24')에는 나사공(25, 25')형성하여 조절노브(26) 양측으로 나사봉(27, 27')를 형성한 조절구(30)를 결합시켜 구성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별도의 공구없이도 조절노브를 손으로 조절하여 스페어타이어를 고정시키고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페어(SPARE) 타이어 고정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페어(SPARE)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선된 고정수단에 의하여 트렁크룸에 수납되는 스페어타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는 트렁크룸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리어플로어판넬에 하방으로 요입시켜 형성한 수용홈에 수납되어지며, 주행중 바퀴의 이상이나 펑크등에 대비하는 비상용품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스페어타이어는 리어플로어판넬에 형성된 수용홈에 단순히 수납하는 경우에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중 선회시나 요철부위통과시 및 비포장도로를 주행시에 수용홈내에서 유동하여 심한 소음을 일으키거나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이며 종래의 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리어플로어판넬(1)에 형성된 수용홈(2)의 바닥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시켜 고정브라켓(3)을 돌출시키고, 돌출된 브라켓(3)의 저면에는 너트(4)를 용접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브라켓(3)에 수용홈(2)에 장입된 스페어타이어(5)의 휠(6) 중앙에 형성된 허브홀(7)을 통하여 와셔(9)를 가지는 고정볼트(10)로서 스페어타이어(5)를 고정시키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스페어타이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볼트를 고정브라켓에 결합할 때 별도의 고정치구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항시 고정 및 해지용 도구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스페어타이어를 보관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이탈시키는 작업이 지연되고, 특히 여성운전자나 초보운전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별도의 조립 및 해지용 도구가 없이도 스페어타이어를 보관하거나 교체를 위한 이탈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1도는 종래의 스페어타이어고정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트렁크룸 22 : 수납홈
23 : 걸림턱 24, 24' : 고정브라켓
25, 25' : 나사공 26 : 조절노브
27, 27' : 나사봉 30 : 조절구
31 : 스페어타이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트렁크룸의 리어플로어판넬에 하방으로 요입시켜 형성한 수용홈에 수납되는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룸(20)의 리어플로어판넬(21)을 하방으로 함입시켜 형성한 수납홈(22)의 중앙에는 상단부를 절곡하여 외측으로 걸림턱(23)을 형성한 고정브라켓(24, 24')를 탄성이 부여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돌출되게 고정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4, 24')의 걸림턱(23) 하방에는 나사공(25, 25')을 형성하고, 중앙의 조절노브(26) 양측으로 나사봉(27, 27')를 형성한 조절구(30)를 결합시켜 상기 조절구(30)의 회동에 의하여 고정브라켓(24, 24')의 폭을 조절하여 스페어타이어(31)를 고정, 해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스페어타이어(31)를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브라켓(24, 24')에 횡으로 나사결합된 조절구(30)의 조절노브(26)를 회동시킨다.
상기 조절노브(26)를 회동시키면 조절노브(26)의 양측에 형성된 나사봉(27, 27')이 고정브라켓(24, 24')에 형성된 나사공(25, 25')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절노브(26)의 정, 역회전에 의하여 나사봉(27, 27')이 고정브라켓(24, 24')을 당기거나 밀게 됨으로서 고정브라켓(24, 24')의 거리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4, 24')의 거리가 축소되면 스페어타이어(31)의 휠(32) 중앙에 형성된 허브홀(33)의 상단부를 걸어서 고정하고 있던 걸림턱(23)이 해지되므로 스페어타이어(31)를 수납홈(22)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되는 것이다.
반대로 스페어타이어(31)를 수납홈(22)에 수납하여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브라켓(24, 24')의 거리가 축소된 상태에서 스페어타이어(31)를 수납한 후, 조절구(30)의 조절노브(26)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고정브라켓(24, 24')의 거리를 넓히게 되면 고정브라켓(24, 24')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3)이 스페어타이어(31)의 휠(32) 중앙에 형성된 허브홀(3)의 상단부와 걸림되므로 가능하여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조절노브를 손으로 조절하여 스페어타이어를 고정시키고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트렁크룸의 리어플로어판넬에 하방으로 요입시켜 형성한 수용홈에 수납되는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룸(20)의 리어플로어판넬(21)에 형성한 수납홈(22)의 중앙에는 상단부에 걸림턱(23)을 형성한 고정브라켓(24, 24')을 상방으로 돌출시켜 고정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4, 24')에는 나사공(25, 25')형성하여 조절노브(26) 양측으로 나사봉(27, 27')를 형성한 조절구(30)를 결합시켜 상기 조절구(30)의 회동에 의하여 고정 브라켓(24, 24')의 폭을 조절하여 스페어타이어(31)를 고정, 해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페어(SPARE)타이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4, 24')은 탄성부여를 위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페어(SPARE)타이어 고정장치.
KR2019970007034U 1997-04-02 1997-04-02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200162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034U KR200162688Y1 (ko) 1997-04-02 1997-04-02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034U KR200162688Y1 (ko) 1997-04-02 1997-04-02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671U KR19980062671U (ko) 1998-11-16
KR200162688Y1 true KR200162688Y1 (ko) 1999-12-15

Family

ID=1949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034U KR200162688Y1 (ko) 1997-04-02 1997-04-02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6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671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2242A1 (en) Screw Lock Accessory Retaining Device
KR200162688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200301885Y1 (ko)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KR20110016265A (ko) 스페어 타이어용 클램프
JPS6132864Y2 (ko)
JPH0235590Y2 (ko)
KR200181573Y1 (ko) 자동차용 허브너트
CA2983520A1 (en) Anchor for removably attaching a component to a frame member and method for using same
CN216443719U (zh) 一种电动滑板车
KR200200112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고정구조
KR0149290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200150734Y1 (ko)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휠
KR19980064146U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 구조
KR200287823Y1 (ko) 자동차의 차폭 조절용 허브 스페이스
JP2001097262A (ja) コンビネイションロック装置
JP2616710B2 (ja) エアスポイラの取付方法
KR100223787B1 (ko) 자동차의 타이로드
KR200227788Y1 (ko) 넛트를 분해및 결합하는 공구
KR970003018Y1 (ko)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JPH0413268Y2 (ko)
KR100297291B1 (ko) 화물 차량의 캐빈 틸트 록 장치
KR200221030Y1 (ko)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KR20000019030U (ko) 잭 핸들과 스페어휠 캐리어 렌치가 일체화된 공구
KR200200111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고정구조
KR0122010Y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