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620Y1 - 제수변 보호통 - Google Patents

제수변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620Y1
KR200162620Y1 KR2019970025820U KR19970025820U KR200162620Y1 KR 200162620 Y1 KR200162620 Y1 KR 200162620Y1 KR 2019970025820 U KR2019970025820 U KR 2019970025820U KR 19970025820 U KR19970025820 U KR 19970025820U KR 200162620 Y1 KR200162620 Y1 KR 200162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tube
support plate
dike
protect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699U (ko
Inventor
오명환
오남식
Original Assignee
오명환
오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명환, 오남식 filed Critical 오명환
Priority to KR2019970025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62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의 제수변을 보호하기 위한 제수변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제수변 보호통의 맨홀뚜껑과 그 주위를 지나는 많은 차량들로 인해 반복하중을 받게 되므로 지하의 지지부에 설치된 보호관의 설치위치가 변경되거나, 콘크리트 받침이 부서지기도 하며, 보호관위의 몸통 위치가 비틀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호관의 재질을 강성이 큰 경화수지로 하면 이것은 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강한 충격에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고, 어느정도 연성을 갖춘 강재로 하였을 경우는 이에 견디는 힘은 있으나 상기 둘다 고비용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보호관(12)과 받침판(20)을 폐비닐을 녹여서 성형하고, 상기 보호관(12)과 몸통(14)의 접촉부위를 다단의 계단식으로 형성하며, 받침판(20)도 그 상면에 고정돌기부(26)와 접착홈(32)을 형성시키므로써, 재활용을 통해 저비용 제작이 가능하고, 지지부(18)의 위치변동을 막아줄 수 있어서 제수변 보호통(10)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수변 보호통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의 제수변을 보호하기 위한 제수변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호관과 받침판을 폐비닐을 재료로 하여 성형하되, 상기 보호관과 이를 덮는 몸통에 계단식으로 서로 접하도록 단턱부를 형성하고, 보호관의 외주면에는 보강살을 형성하며, 받침판 상면에 다수의 동심원상으로 된 접착홈과 환형의 고정돌기부를 형성시켜서 과도한 반복하중을 받더라도 설치위치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고, 재활용 및 저비용효과를 얻도록 한 제수변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수변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개폐밸브로서, 토사등에 의해 매몰되지 않도록 제수변의 상부에 제수변 보호통이 설치된다.
예시도면 도 1은 종래 제수변 보호통(10)의 분리사시도로서, 제수변 보호통(10)은 보통 철재로 되어 있으며, 크게 원추형으로 된 하부의 보호관(12)과, 그 위의 몸통(14)과, 상기 몸통(14)을 폐쇄하는 맨홀뚜껑(16)의 3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운반과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2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제수변 보호통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한 제수변 보호통(10)은 제수변(54) 아래의 지지부(18)에 설치되는 바, 상기한 지지부(18)는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50)내의 제수변(54)이 직접 흙에 닿지 않게 하고 일정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시멘트 콘크리트와 같은 몰타르로 벽돌을 다층으로 원형 적층하여 감싸도록 한 것이며, 지지부(18)하단에는 지지부(18)를 비롯한 제수변 보호통(10)이 반복되는 차량의 하중과 지반의 진동에 의해 침하되지 않게 받쳐주도록 콘크리트를 굳혀서 받침을 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18)위에 제수변 보호통(10)의 보호관(12)을 올려놓고 상기 보호관(12)의 하단 플랜지(13)에 형성된 장착홀(19)내에 몰타르를 부어서 벽돌과 함께 굳힘으로써 상기 보호관(12)을 고착시키고, 보호관(12) 상측에 형성된 나사부(17)에 몸통(14)을 돌려 씌워서 보울트(15)로 조여주어 체결력을 더욱 공고히 하며, 맨홀뚜껑(16)으로 몸통(14)을 폐쇄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다.
상기한 종래의 제수변 보호통(10)은 그 맨홀뚜껑(16)과 그 주위를 지나는 많은 차량들로 인해 반복되는 하중을 받게 되므로 지하의 지지부(18)에 설치된 보호관(12)의 설치위치가 변경되거나, 콘크리트 받침(19)이 부서지기도 하며, 보호관(12)위의 몸통(14) 위치가 비틀어져서 맨홀뚜껑(16)의 탈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종래 제수변 보호통(10)의 보호관(12)과 몸통(14)의 재질을 반복하중에 대한 강성이 큰 경화수지로 하기도 하였지만, 이것은 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강한 충격에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고, 어느정도 연성을 갖춘 강재로 하였을 경우는 이에 견디는 힘은 있으나 상기 둘다 고비용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복하중을 유연하게 해소시키면서 피로현상을 적게 받는 수지재질로 보호관 및 받침판을 성형하고, 상기한 보호관과 몸통의 접촉부분에 하중을 보다 지탱하기 쉽게 다단의 계단식으로 형성하여 하중에 의한 응력의 분산을 유도할 수 있게 하며, 받침판도 수지재로 함과 동시에 지지부와의 몰타르접합이 보다 강화되게 하고 위치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들을 마련하여 설치의 안정성과 반복하중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제수변 보호통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호관과 받침판을 폐비닐을 녹여서 성형하되, 보호관의 상부 외주면에는 보강살과 상기 보호관과 몸통사이의 접촉부에는 다단의 계단식 단턱부를 형성하고, 받침판 상면에 다수의 동심원상으로 된 접착홈과 환형의 고정돌기부를 형성시켜서 반복하중에 대한 강성과 설치의 안정성 및 재활용의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제수변 보호통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종래 제수변 보호통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수변 보호통 12 : 보호관
14 : 몸통 15 : 보울트
16 : 맨홀뚜껑 18 : 지지부
19 : 콘크리트 받침 20 : 받침판
22 : 외주면 24 : 보강살
26 : 고정돌기부 28, 30 : 단턱부
32 : 접착홈 34 : 손잡이홈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보호관(12)와 받침판(20)을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성형하되, 보호관(12)의 상부 외주면(22)에는 보강살(24)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관(12)과 이를 덮는 몸통(14)사이의 접촉부위에는 다단의 계단식 단턱부(28)(30)를 각기 형성하고, 받침판(20) 상면에 다수의 동심원상으로 된 접착홈(32)과 환형의 고정돌기부(26) 및 측면외주에 다수의 손잡이홈(3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변 보호통이다.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을 도시한 도면으로, 크게 맨홀뚜껑(16)과 몸통(14) 및 보호관(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추형 보호관(12)은 폐비닐을 녹여서 성형한 것으로, 보호관(12)의 상부 외주면(22)에는 덧살을 댄 보강살(24)을 형성하여 반복하중을 보다 더 잘 견딜 수 있게 한 바, 상기한 보강살(24)은 외주면(22) 전체에 걸쳐 형성되기도 하며, 도면상에서와 같이 삼각형이상의 다각형상으로 외주면(22)에 일정 간격 떨어져서 대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보호관(12)의 상부를 덮어주는 철재인 몸통(14)과 상기 보호관(12)의 각 접촉부위 즉, 보호관(12)의 상부면과 몸통(14)의 하부면에 각각 계단식 단턱부(28)(30)을 형성시켜서 몸통(14)를 보호관(12)에 결합시 상기한 단턱부(28)(30)가 서로 밀착되게 하여 반복하중을 다단으로 굴곡진 단턱부(28)(30)에서 분산되게 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몸통(14)과 보호관(12)의 결합접촉부에 가해지는 반복하중은 곧 피로하중으로 작용하게 되고, 그 하중이 접촉부위의 모서리에 응력집중이 생기게 되는데 이 응력의 증가하면 모서리에 균열이 생기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28)(30)들이 다단굴곡되어 있어서 상기한 응력집중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갖게되어 몸통(14)과 보호관(12)의 접촉부파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시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을 보인 도면으로, 상기 받침판(20)은 판상이며, 그 위에 다수의 적층된 벽돌을 쌓아올려 몰타르로 굳힌 환형의 지지부(18)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여 제수변 보호통(10)이 침하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받침판(20)은 그 상면에 다수의 동심원으로 된 접착홈(32)과 환형의 고정돌기부(26)를 형성시킨 것으로, 상기 보호관(12)과 같이 폐비닐을 녹여서 만든 합성수지로 성형시킨 것이다.
상기한 접착홈(32)에는 몰타르를 넣어주고서, 고정돌기부(26)둘레의 받침판(20)위에 지지부(18)를 쌓을 때 상기 받침판(20)과 지지부(18)가 서로 접합하도록 하고, 또한 고정돌기부(26)는 진동에 의해 지지부(18)가 흔들릴때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하여 받침판(20)의 측면 외주면에 다수의 손잡이홈(34)을 형성시켜 운반시 편리하게 하였다.
예시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제수변(54)아래의 지반위에 받침판(20)을 놓고 그 위에 몰타르를 접착홈(32)에 들어가도록 부어 벽돌을 상기 받침판(20)의 고정돌기부(26)외측으로 둥글게 쌓아올려 몰타르로 굳혀서 지지부(18)를 형성한 다음, 지지부(18)위에 보호관(12)을 고착시키고, 보호관(12) 상측에 몸통(14)을 돌려 씌워서 보울트(15)로 조여주는 종래 방식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제수변(54)을 보호하도록 지하에 매설된 본 고안은 보호관(12)과 몸통(14) 및 받침판(20)을 폐비닐을 녹여서 성형하므로서, 저렴하고 또한 재활용의 효과도 있으며, 상기 보호관(12)과 몸통(14)의 접촉부위를 다단의 계단식으로 형성되게 하므로서 반복하중에 따른 응력을 분산시켜서 접촉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게 하고, 받침판(20)도 그 상면에 고정돌기부(26)와 접착홈(32)을 형성시키므로 지지부(18)의 위치변동을 막아줄 수 있어서 제수변 보호통(10)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수도 제수변(54)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12)과 받침판(20)을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성형시키고, 상기 보호관(12)과 이를 덮는 몸통(14)의 양 접촉부위에는 다단의 계단식으로 된 단턱부(28)(30)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12)의 상부 외주면(22)에는 보강살(2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받침판(20)의 상면에는 그 중앙의 환형 고정돌기부(26)와 상기 고정돌기부(26)외측으로 다수의 동심원인 접착홈(32) 및 그 외주면에 손잡이홈(3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변 보호통.
KR2019970025820U 1997-09-12 1997-09-12 제수변 보호통 KR200162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820U KR200162620Y1 (ko) 1997-09-12 1997-09-12 제수변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820U KR200162620Y1 (ko) 1997-09-12 1997-09-12 제수변 보호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99U KR19990012699U (ko) 1999-04-15
KR200162620Y1 true KR200162620Y1 (ko) 1999-12-15

Family

ID=1951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820U KR200162620Y1 (ko) 1997-09-12 1997-09-12 제수변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6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45B1 (ko) * 2009-04-06 2010-06-29 (주)창원기술개발 제수변용 투명 보호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99U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702A (en) Ribbed storage tank
US5456051A (en) Compression spacer for bar reinforcement
KR20170135494A (ko) 거푸집 조립체
KR200162620Y1 (ko) 제수변 보호통
KR101804537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KR20010038534A (ko) 교각 보수 방법
KR20110009395U (ko) 안전성을 갖춘 오폐수 정화조용 맨홀 뚜껑 받침 어셈블리
KR101796469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및 그 조립식 보호방벽 설치방법
KR101856899B1 (ko) 정화조 구조물
KR100856660B1 (ko)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KR200345860Y1 (ko) 흄관 연결 구조물
KR200350364Y1 (ko) 제수변용 맨홀
KR200325135Y1 (ko) 맨홀
KR102249300B1 (ko) 정화조 구조물
JP2006002474A (ja) 合成樹脂製マンホール
KR100565972B1 (ko) 맨홀 접속부의 플랜지 일체형 보강관 구조
US5299596A (en) Sewer chimney system
JP3475006B2 (ja) 地下埋設プラスチック槽
WO2024150279A1 (ja) 地中埋設型構造物の補強方法
JP2005146571A (ja) マンホール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受け枠の据え付け構造
JPS584628Y2 (ja) 浄化槽
KR102330106B1 (ko) 정화조 구조물 제조방법
KR200335097Y1 (ko) 제수변 보호통
KR200411372Y1 (ko) 도로 횡단 배수관의 보강구조
KR200334645Y1 (ko) 전기배선박스용 보강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