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183Y1 -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183Y1
KR200162183Y1 KR2019960029337U KR19960029337U KR200162183Y1 KR 200162183 Y1 KR200162183 Y1 KR 200162183Y1 KR 2019960029337 U KR2019960029337 U KR 2019960029337U KR 19960029337 U KR19960029337 U KR 19960029337U KR 200162183 Y1 KR200162183 Y1 KR 200162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upport plate
case
pag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052U (ko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2019960029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1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무선전화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회동부재와 지지판 사이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도록 이들 사이에 각도제어수단이 형성된 무선전화기용 홀더를 구비하므로 허리베르에 착용된 무선전화기의 회전을 소정각도로 제한하므로 무선전화기가 케이스로 부터 이탈되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허리벨트에 착용된 무선전화기를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는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신수단의 발달로 요즈음 많은 사람들이 휴대하는 호출기나 무선전화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에 착탈구(3)가 구비된 케이스(2)에 삽입하여 휴대하는 바, 이와 같이 케이스(2)에 수납된 무선전화기(1)를 허리의 벨트 등에 착용하여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홀더(4)가 구비된다.
여기서 홀더(4)는 전면에 케이스(2)의 착탈구(3)가 안내되어 끼워지도록 안내홈(9)을 갖는 수납부(8)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로커(10)가 돌출 설치되어 이를 누르면 결합된 착탈구(3)가 홀더(4)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홀더(4)를 벨트에 착용하도록 클립(6)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에 결합된 케이스는 수직으로 착탈이 가능할 뿐 좌우 회동되지 않게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무선전화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좌석에 앉게 되면 수직방향으로 꼿꼿히 착용된 상태의 무선전화기에 의해 구부려 지는 신체 일부가 눌려서 착용감이 좋지 못하였으며, 홀더와 벨트 사이의 무리한 하중이 가중되어 홀더가 파손되거나 벨트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허리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무선전화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전화기용 홀더(출원 제 96-27382호)를 개발하였는바, 도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1) 일면에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 케이스(11)의 관통구멍(12)과 대향되도록 결합구멍(15)이 형성된 고정편(14)이 위치된다.
한편, 고정편(14)에 대향되는 케이스(11) 외면에 지지판(17)이 위치되는바, 이 지지판(17) 중앙에는 케이스(11)의 관통구멍(12)에 대향되는 다단의 원형 안착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17)의 안착구멍(18)에는 중앙에 결합구멍(21)이 형성된 원형 회동부재(20)가 삽입되고, 회동부재(20), 지지판(17), 케이스(11), 고정편(14)의 구멍들에는 결합핀(22)이 끼워지는바, 케이스(11)와 지지판(17)이 소정각도 상호 회동되도록 비교적 느슨하게 결합되며, 지지판(17) 상단에는 클립(23)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홀더(30)는 결합핀(22)에 의해 지지판(17)과 케이스(11)가 상호 360°회동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케이스(11)가 허리벨트에 착용된 상태에서 360°회전가능하므로 케이스(11)의 커버가 느슨히 닫힌 경우에나 완전히 열린 경우에 부주의한 경우로 180°회전시 무선전화기가 케이스(11)에서 이탈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판과 회동부재 사이에 각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므로 케이스가 소정각도 내에서만 회동하도록 한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는, 케이스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측에 클립이 결합되며 중앙에 다단의 원형 안착구멍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안착구멍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스에 고정되는 원형 회동부재가 구비되는 무선전화기용 홀더에 있어서, 회동부재와 지지판 사이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도록 이들 사이에 각도제어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한 무선전화기의 또는 호출기용 홀더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다른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4 내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판과 회동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부분 측면도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7 내지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분리사시도 및 부분결합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스 14 : 고정편
17 : 지지판 18 : 안착구멍
18a,18b,20c : 안내홈 18c,20a,20b : 안내돌기
20 : 회동부재 22 : 결합핀
23 : 클립 30 : 홀더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3은 본 고안 홀더(30)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로서, 케이스(11) 일면에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에 절개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11) 내측으로 케이스(11)의 관통구멍(12)과 대향되도록 결합구멍(15)이 형성된 고정편(14)이 위치되는바, 이 고정편(14) 상단은 절개홈(13)에 끼워져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분에 끈이 체결되도록 체결홈(1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편(14)에 대향되는 케이스(11) 외면에 위치되는 지지판(17)은 그 중앙에 케이스(11)의 관통구멍(12)에 대향되는 다단의 원형 안착구멍(18)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안착구멍(18)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그 둘레에 소정각도 내에 안내홈(18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17)의 안착구멍(18)에는 중앙에 결합구멍(21)이 형성된 원형 회동부재(20)가 삽입되는바, 이 회동부재(20) 외주에 안내홈(18a)을 따라 소정각도 회동지지되도록 안내돌기(2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부재(20), 지지판(17), 케이스(11), 고정편(14)의 구멍들에는 결합핀(22)이 끼워져 케이스(11)와 지지판(17)이 소정각도 상호 회동되도록 비교적 느슨하게 결합된다.
또한, 지지판(17) 상단에는 허리 벨트 등에 착용하도록 힌지핀(25) 및 비틀림스프링(26)에 의해 클립(23)이 결합되어 있는바, 클립(23) 하단에는 지지판(17)의 지지홈(19)에 안착되도록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케이스(11)의 절개홈(13)에 고정편(14)의 상단을 끼우면 케이스(11)의 관통구멍(12)와 고정편(14)의 결합구멍(15)이 대향되고, 힌지핀(25)과 비틀림스프링(26)에 의해 클립(23)이 상단에 결합된 지지판(17) 일면을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케이스(11) 외면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지지판(17)의 안착구멍(18)에 회동부재(20)를 안착시키고 그 결합구멍(21)으로부터 결합핀(22)을 끼우게 되면 결합핀(22)은 지지판(17)의 안착구멍(18), 케이스(11)의 관통구멍(12), 고정편(14)의 결합구멍(15)을 통과하면서 케이스(11)내부로 돌출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여기서, 지지판(17)과 회동부재(2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바, 지지판(17)의 안내홈(18a)에 회동부재(20)의 안내돌기(20a)가 안착되어 있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를 회동시킴에 따라 안내돌기(20a)가 안내홈(18a)을 따라 회전된다.
이때, 안내홈(18a)의 형성각도가 180°이기때문에 안내돌기(20a)는 안내홈(18a) 중앙에서 부터 좌우로 각각 90°씩 회전할 수 있으므로 허리벨트에 착용된 상태의 무선전화기의 회전각도는 좌, 우 각각 90°이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홈(18b)을 90°로 형성시키면 안내돌기(20b)는 안내홈(18b) 중앙에서 좌, 우로 45°씩 회전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회전각도를 180° 또는 90°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7,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 및 결합 측면도로서, 지지판(17)의 안착구멍(18) 둘레에 안내돌기(18c)가 돌출형성되고, 회동부재(20) 둘레에 그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소정각도 만큼 안내홈(20c)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홀더(30)의 지지판(17)과 회동부재(20)는 상술한 지지판(17)과 회동부재(20)의 결합관계를 비교할 때 그 반대의 구성을 가지지만 그 효과는 동일하다.
즉, 허리벨트에 착용된 상태의 케이스(11)를 회전시키면 회동부재(20)의 안내홈(20c)이 그 형성각도만큼 지지판(17)의 안내돌기(18c)에 안내되면서 회전되므로 무선전화기를 소정각도 내에서만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에 의하면, 허리벨트에 착용된 무선전화기의 회전을 소정각도로 제한하므로 무선전화기가 케이스로 부터 이탈되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Claims (2)

  1.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케이스(11)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측에 클립이 결합되며 중앙에 다단의 원형 안착구멍(18)이 형성되는 지지판(17)과, 상기 지지판(17)의 안착구멍(18)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에 고정되는 원형 회동부재(20)가 구비되는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0)와 지지판(17) 사이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도록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제어수단이, 상기 안착구멍(18)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그 둘레에 소정각도 형성된 안내홈(18a,18b)과, 상기 회동부재(20) 외주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8a,18b)을 따라 소정각도 회동지지되는 안내돌기(20a,2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제어수단이, 상기 안착구멍(18)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18c)와, 상기 안내돌기(18c)가 안내지지되고 상기 회동부재(20)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그 둘레에 소정각도 형성되는 안내홈(20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KR2019960029337U 1996-09-14 1996-09-14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KR200162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37U KR200162183Y1 (ko) 1996-09-14 1996-09-14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37U KR200162183Y1 (ko) 1996-09-14 1996-09-14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52U KR19980016052U (ko) 1998-06-25
KR200162183Y1 true KR200162183Y1 (ko) 1999-12-01

Family

ID=1946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337U KR200162183Y1 (ko) 1996-09-14 1996-09-14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1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52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9909A (en) Portable telephone having a biased rotatable cover
US4454737A (en) Key holder
JP2677246B2 (ja) 携帯用電話機
KR200162183Y1 (ko) 무선전화기 또는 호출기용 홀더
US6108276A (en) Belt buckle with an attached watch
US6157717A (en) Snap hinge mechanism for flip style portable phone
JP2001203791A (ja) 携帯式電話に付設されるフリップの開閉構造
KR200159851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
JP2004052887A (ja) 折畳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KR200168533Y1 (ko) 클립
JP2001284835A (ja) 携帯機器の腕装着装置
KR200350775Y1 (ko) 통신 단말기용 홀더
JP2001116038A (ja) ヒンジユニット
KR200198287Y1 (ko)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KR200233150Y1 (ko) 핸드폰 포켓 클립고정장치
KR200187928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홀더
KR200147343Y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본체 개폐장치
KR20000004377U (ko) 휴대폰에서 크레이들의 벨트클립장치 및벨트클립장치의 각도조절 장치
KR20050050424A (ko) 휴대용 단말기
KR100810250B1 (ko) 자기-클립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295588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JP3871921B2 (ja) 携帯用機器のホルダークリップ
KR19980017995U (ko) 고정형 무선전화기의 수납케이스 홀더
KR200282135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각도조절구조
KR20000000287U (ko)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21121

Effective date: 2003121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730

Effective date: 200502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1102

Effective date: 200504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113

Effective date: 20050915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0531

Effective date: 200511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