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588Y1 -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588Y1
KR200295588Y1 KR2020020024610U KR20020024610U KR200295588Y1 KR 200295588 Y1 KR200295588 Y1 KR 200295588Y1 KR 2020020024610 U KR2020020024610 U KR 2020020024610U KR 20020024610 U KR20020024610 U KR 20020024610U KR 200295588 Y1 KR200295588 Y1 KR 200295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lder
locking piece
cli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2020020024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588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안착홈(23)이 형성되고, 안착홈(23) 하부에 한쌍의 힌지돌부(24)가 돌출형성되며, 힌지돌부(24) 하측에 결합돌기(26)가 돌출형성되며, 케이스(18) 배면에 결합구비되는 배면판(22)과; 배면판(22)의 안착홈(23)에 안착되도록 상단에 수평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안착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2) 하측에 상기 한쌍의 힌지돌부(24)가 삽입되도록 한쌍의 대응 결합구멍(33)이 형성되는 클립(31)과; 상기 배면판(22)의 힌지돌부(24)가 삽입되도록 두 결합홈(41)이 형성되는 힌지부(36)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36) 일측에 파지부(40)가 연장형성되는 잠금편(35)과; 상기 배면판(22)의 힌지돌부(24)와 잠금편(35)의 힌지부(36)에 결합되는 힌지핀(42)과; 상기 배면판(22)의 결합돌기(26)에 결합되어 클립(31)을 배면판(22)의 대응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4)으로 이루어진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홀더(21)가 허리벨트에 일단 체결되면 잠금편(35)이 회동되거나 부품이 파손되지 않는 한 홀더(21)가 허리벨트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착용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무선전화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면판(22)의 두 힌지돌부(24)에 클립(31)의 결합구멍(33)이 끼워진 상태에서 두 힌지돌부(24)에 잠금편(35)이 힌지결합되므로 클립(31)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holder structrue for walkie-talkie}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허리벨트 착용한 상태가 확실한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발전에 힘입어 개발된 무선전화기(셀룰러폰, PCS 등)는 특정 계층에서 주로 사용하다가 최근들어 일반 대중으로까지 널리 확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고가의 장비를 좀더 간편하고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는 방법들이 계속 고안되고 있는바, 그 중 하나가 무선전화기를 허리벨트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홀더이다.
이러한 무선전화기용 홀더는 다양한 구성을 갖도록 개발되어 사용되는바, 종래 홀더의 대표적인 구성인 도1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무선전화기 홀더구조는, 본체부(4)와, 이 본체부(4)에 하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 배면의 회전가능끼움부(2)에 착탈되는 가변체결부(8)와, 본체부(4) 결합되어 가변체결부(8)를 작동시키는 누름대(5)와, 본체부(4) 배면에 위치되는 부착부재(7)와, 양단이 본체부(4)와 부착부재(7)에 결합되어 부착부재(7)의 하단을 본체부(4) 하단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는 무선전화기를 케이스(1)에 수납시킨 후 케이스(1)의 회전가능끼움부(2)를 본체부(4)에 결합시켜서 케이스(1)와 홀더(3)를 결합시키고, 부착부재(7)와 본체부(4)의 상단을 누르면 판스프링(6)이 변형되면서 부착부재(7)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부착부재(7) 하부를 허리벨트에 끼워서 홀더(3)를 허리벨트에 착용하게 된다.
도2는 종래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로써, 이는 판스프링(6) 대신에 결합부재(12)의 힌지부(13)와 클립(14)의 힌지부(15)에 힌지핀(16)을 결합시키고, 이 힌지핀(16)에 비틀림스프링(17)을 결합하여서 클립(14) 하단이 결합부재(12)의 대응 하단에 탄성지지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도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2) 및 클립(14)의 상단을 누르면 비틀림스프링(17)이 변형되면서 클립(14)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클립(14)의 하부를 허리벨트에 끼워서 홀더(11)를 허리벨트에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두 가지 종래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는, 도1의 부착부재(7) 및 도2의 클립(14)이 도1의 판스프링(6)과 도2의 비틀림스프링(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허리벨트에 착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무선전화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의자에 앉거나 허리를 구부릴시 케이스(1)의 하부가 판스프링(6)이나 비틀림스프링(17)의 탄성복원력보다 더 큰 힘으로 신체의 일부에 눌리게 되면 부착부재(7)나 클립(14)이 허리벨트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었으며, 실제로 이러한 상태를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리를 옮기는 일이 종종 있게 되어 무선전화기 분실의 원인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허리벨트에 착용된 상태가 견고하여 의자에 앉거나 신체를 구부려도 홀더가 허리벨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는, 일측에 무선전화기의 케이스가 결합되고 타측에 허리벨트가 체결되어 무선전화기를 허리벨트에 착용시키는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에 있어서, 일측면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긴길이를 가지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 하부에 한쌍의 힌지돌부가 돌출형성되며, 힌지돌부 하측에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케이스 배면에 결합구비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단에 수평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 하측에 상기 한쌍의 힌지돌부가 삽입되도록 한쌍의 대응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클립과; 상기 배면판의 힌지돌부가 삽입되도록 두 결합홈이 형성되는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 일측에 파지부가 연장형성되는 잠금편과; 상기 배면판의 힌지돌부와 잠금편의 힌지부에 결합되는 힌지핀과; 상기 배면판의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클립을 배면판의 대응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홀더가 허리벨트에 일단 체결되면 잠금편이 회동되거나 부품이 파손되지 않는 한 홀더가 허리벨트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착용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무선전화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면판의 두 힌지돌부에 클립의 결합구멍이 끼워진 상태에서 두 힌지돌부에 잠금편이 힌지결합되므로 클립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들
도3은 본 고안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고안 홀더구조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케이스(가죽재의) 21 ; 홀더
22 ; 배면판 23 ; 안착홈
24 ; 힌지돌부 26 ; 결합돌기
31 ; 클립 32 ; 안착부
33 ; 결합구멍 34 ; 스프링
35 ; 잠금편 41 ; 결합홈
42 ; 힌지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3에서, 본 고안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는, 배면판(22)과 클립(31), 잠금편(35)으로 대분된다.
먼저, 배면판(22)은, 가죽재나 인조 가죽재, 또는 비닐재로 이루어진케이스(18) 배면에 부착되는바, 이는 일측면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안착홈(23)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23) 하부에는 한쌍의 힌지돌부(24)가 돌출형성된다. 힌지돌부(24)에는 구멍(25)이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25)과 후술할 잠금편(35)의 힌지구멍(37)에 힌지핀(42)이 결합된다.
이러한 배면판(22)의 힌지돌부(24) 하측에는 결합돌기(26)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26)에 후술할 스프링(34)의 일단이 결합지지되어 있으며, 배면판(22) 중앙에는 체결구멍(27)이 형성된다.
클립(31)은, 배면판(22)의 안착홈(23)에 안착되도록 상단에 수평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안착부(32)가 돌출형성되고, 안착부(32) 하측에 한쌍의 힌지돌부(24)가 삽입되도록 한쌍의 대응 결합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편(35)은, 힌지부(36)와 힌지부(36) 일측에 연장형성되는 파지부(40)로 이루어지는바, 힌지부(36)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힌지구멍(37)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판(22)의 힌지돌부(24)가 삽입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36) 둘레에는 클립(31)의 대응면에 밀착지지되는 두 면, 즉 지지면(39)과 누름면(38)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면판(22)의 힌지돌부(24)의 구멍(25)과 잠금편(35)의 힌지구멍(37)에는 힌지핀(42)이 결합되어 있어 잠금편(35)이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핀(42) 단부에는 C링(43)이 체결된다.
한편 배면판(22)의 결합돌기(26)에는 스프링(34)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이에 따라 클립(31)을 배면판(22)의 대응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며, 배면판(22) 중앙에는 체결구멍(27)이 형성되어 있어, 이 체결구멍(27)과 케이스(18)의 관통구멍(19), 그리고 케이스(18) 내측에 밀착지지된 브라켓(28)의 관통구멍(29)에 리벳(30)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는, 도4 내지 도6과 같이 결합되어 사용되는바, 도5와 같이 잠금편(35)의 파지부(40)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도6과 같이 하측으로 내리면 잠금편(35)이 힌지핀(4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잠금편(35)의 누름면(38)이 클립(31)의 대응 외면에서 이탈되면서 지지면(39)이 클립(31)의 대응 외면에 밀착지지되며, 이때 스프링(34)이 복원되면서 클립(31)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립(31) 및 배면판(22)의 벌어진 틈 사이로 허리벨트를 끼운 후, 도5와 같이 잠금편(35)의 파지부(4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잠금편(35)의 지지면(39)이 클립(31)의 대응 외면에서 이탈되면서 누름면(38)이 클립(31)의 대응 외면에 밀착지지된다.
이때 스프링(34)이 압축되면서 클립(31) 하단이 배면판(22) 하단에 밀착지지되므로, 홀더(21)가 허리벨트에 착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는, 잠금편(35)에 의해 홀더(21)의 클립(31)과 배면판(22)이 일단 체결되면, 잠금편(35)의 누름면(38)에 의해 클립(31)의 안착부(32)와 배면판(22)의 안착홈(23), 그리고 클립(31) 하단부와 배면판(22) 하단부가 서로 밀착지지되므로 홀더(21)가 허리벨트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고안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는, 홀더(21)를 허리벨트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잠금편(35)의 파지부(4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서 클립(31)을 잠그면,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잠금편(35)의 파지부(40)를 하측으로 내리지 않는 한 홀더(21)가 허리벨트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결국 홀더(21)에 결합된 무선전화기를 분실하는 종래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장점은, 배면판(22)과 클립(31)의 잠금편(35)의 독특한 결합구조인바, 클립(31)의 두 결합구멍(33)에 배면판(22)의 두 힌지돌부(24)를 끼운 후 힌지돌부(24) 단부에 잠금편(35)이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판(22)에 클립(31)이 견고히 결합지지된다.
따라서 홀더(21)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되어도 클립(31)의 안착부(32)가 배면판(22)의 안착홈(23)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클립(31)이 배면판(22)으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에 의하면, 홀더(21)가 허리벨트에 일단 체결되면 잠금편(35)이 회동되거나 부품이 파손되지 않는 한 홀더(21)가 허리벨트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착용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무선전화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면판(22)의 두 힌지돌부(24)에 클립(31)의 결합구멍(33)이 끼워진 상태에서 두 힌지돌부(24)에 잠금편(35)이 힌지결합되므로 클립(31)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무선전화기의 케이스가 결합되고 타측에 허리벨트가 체결되어 무선전화기를 허리벨트에 착용시키는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에 있어서,
    일측면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안착홈(23)이 형성되고, 안착홈(23) 하부에 한쌍의 힌지돌부(24)가 돌출형성되며, 힌지돌부(24) 하측에 결합돌기(26)가 돌출형성되며, 케이스(18) 배면에 결합구비되는 배면판(22)과;
    상기 배면판(22)의 안착홈(23)에 안착되도록 상단에 수평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안착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2) 하측에 상기 한쌍의 힌지돌부(24)가 삽입되도록 한쌍의 대응 결합구멍(33)이 형성되는 클립(31)과;
    상기 배면판(22)의 힌지돌부(24)가 삽입되도록 두 결합홈(41)이 형성되는 힌지부(36)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36) 일측에 파지부(40)가 연장형성되는 잠금편(35)과;
    상기 배면판(22)의 힌지돌부(24)와 잠금편(35)의 힌지부(36)에 결합되는 힌지핀(42)과;
    상기 배면판(22)의 결합돌기(26)에 결합되어 클립(31)을 배면판(22)의 대응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KR2020020024610U 2002-08-19 2002-08-19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KR200295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10U KR200295588Y1 (ko) 2002-08-19 2002-08-19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10U KR200295588Y1 (ko) 2002-08-19 2002-08-19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588Y1 true KR200295588Y1 (ko) 2002-11-18

Family

ID=7305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610U KR200295588Y1 (ko) 2002-08-19 2002-08-19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5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138B2 (en) 2007-11-15 2014-04-01 Lg Display Co., Ltd. Coupling mean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138B2 (en) 2007-11-15 2014-04-01 Lg Display Co., Ltd. Coupling mean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9787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홀더
US9661116B1 (en) Card-receptible semiautomatic slide case for mobile phone
KR19990013076U (ko)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착탈구조
US795346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2402030C (en) Headset assembly including replaceable battery
KR200295588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GB2301259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 carrying strap
US20110062302A1 (en) Clasp with locking function
KR200282136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US20090260465A1 (en) Portable terminal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KR20000009725U (ko) 이동전화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CN217907210U (zh) 一种多功能提手与杯盖
KR200282135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각도조절구조
JPH11208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KR200290003Y1 (ko) 무선전화기용 거치대
KR100864969B1 (ko)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KR200187928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홀더
KR200248697Y1 (ko) 손목착용밴드가 부착된 이동전화용 배터리
KR200402994Y1 (ko) 기능성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233150Y1 (ko) 핸드폰 포켓 클립고정장치
KR200282102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
KR200443858Y1 (ko) 안테나
JP3062130U (ja) クリップおよびクリップ付き携帯電話
KR200159851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
KR200285691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각도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