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969B1 -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 Google Patents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969B1
KR100864969B1 KR1020080048090A KR20080048090A KR100864969B1 KR 100864969 B1 KR100864969 B1 KR 100864969B1 KR 1020080048090 A KR1020080048090 A KR 1020080048090A KR 20080048090 A KR20080048090 A KR 20080048090A KR 100864969 B1 KR100864969 B1 KR 10086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s
front cover
holder
plura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순
추경호
Original Assignee
최학순
추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학순, 추경호 filed Critical 최학순
Priority to KR102008004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969B1/ko
Priority to PCT/KR2009/002730 priority patent/WO200914246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과 해제 기능이 있어 휴대 중 무전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전기 홀더는 쉽게 해제가 되어 무전기가 파손되거나 분실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의 날개부(11)에 형성된 관통공(12)과, 배면에 형성된 복수의 상측가이드(14)와, 상기 상측가이드(14)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하측가이드(15)로 구성된 전면커버(10)와; 상기 전면커버(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34)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상·하측 가이드(14)(15)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하측 절개부(31)(32)와, 상기 상·하측 절개부(31)(32)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 복수의 안내부(35)로 구성된 중간판(30)과; 상기 관통공(12)에 삽입되는 훅(41)과, 상기 안내부(35)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42)로 구성된 걸림부재(40)와; 상기 중간판(30)과 결합되며, 상기 상·하측 가이드(14)(15)에 삽입되는 가이드핀(52)이 고정되는 후면커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커버(1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걸림부재(40)를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외부에서 힘을 가하더라도 무전기를 고정하는 걸림부재(40)와 허리띠나 포켓에 고정되는 클립(80)이 해제되지 않아 무전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홀더, 무전기, 잠금,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

Description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holder of radiotelegraph with locking functions}
본 발명은 허리띠나 포켓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무전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과 해제 기능이 있어 휴대 중 무전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기는 그동안 건설 현장이나 경찰서, 소방서용 등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주5일 근무제로 야외 레저 활동이 빈번해지면서 생활 무전기의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무전기의 가장 큰 특징은 여러 명이 동시에 통신하는 ‘그룹통화’가 가능하다는 점과 휴대전화가 터지지 않는 곳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며, 결정적으로 무료거나 저렴한 비용이라는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무전기는 푸시투토크(Push-to-talk) 방식의 음성 통화를 주로 이용하지만, 최근에는 휴대폰처럼 키패드가 달려 있는 무전기도 개발되어 문자를 주고 받는 등 그 활용범위와 기능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무전기는 몸에 착용할 수 있는 홀더를 사용하여 휴대하게 되는데, 종래의 무전기 홀더는 일정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쉽게 해제가 되어, 사람들이 많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보행중에 이탈되어 무전기가 파손되거나 분실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압에 의해 해제가 되지않아 휴대 중 무전기를 분실할 우려가 없는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는 양측의 날개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배면에 형성된 복수의 상측가이드와, 상기 상측가이드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하측가이드로 구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상·하측 가이드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하측 절개부와, 상기 상·하측 절개부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 복수의 안내부로 구성된 중간판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훅과,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로 구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중간판과 결합되며, 상기 상·하측 가이드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이 고정되는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에 의하면, 전면커버(10)가 상 하로 이동하면서 걸림부재(40)를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외부에서 힘을 가하더라도 무전기를 고정하는 걸림부재(40)와 허리띠나 포켓에 고정되는 클립(80)이 해제되지 않아 무전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면커버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의 해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걸림부재가 잠금에서 해제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날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1)의 내측 면에는 무전기를 고정하는 걸림부재(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커버(10)의 배면에는 휴대할 수 있도록 클립(80)이 결합된 후면커버(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커버(10)는 락버튼(70)을 해제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로써 걸림부재(40)가 해제되어 무전기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구현되는 구성부품과 조립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데, 먼저 무전기가 거치되는 전면커버(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면커버(10)의 양측에는 대향하게 형성된 날개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부(11)에는 걸림부재(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11)의 상측에는 복수의 탄성돌기(1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돌기(13)는 무전기가 전면커버(10)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0)의 배면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상측가이드(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상측가이드(14)와 하측에는 간격을 두고 하측가이드(15)가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가이드(14)와 하측가이드(15)의 사이에는 스프링(34)이 고정되는 고정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커버(10)의 날개부(11) 외측에는 대칭으로 형성된 측판(20)이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측판(20)의 상단부에는 고정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걸림부재(40)가 관통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50)의 사이에는 중간판(30)이 결합되는데, 상기 중간판(30)의 상단부에는 사각형상의 상측절개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절개부(31)의 하측에는 간격을 두고 하측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절개부(31)의 상측에는 스프링(34)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리(3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34)의 타단은 전면커버(10)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6)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하측 절개부(31)(32)의 양측에는 대칭으로 복수의 안내부(3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안내부(3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35)에는 걸림부재(40)가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데, 상기 걸림부재(40)의 선단에는 측판(20)과 전면커버(10)에 형성된 관통공(22)(12)을 관통하여 무전기의 양측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는 훅(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상기 안내부(35)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판(30)은 후면커버(50)의 내측에 결합되는데, 상기 후면커버(50)의 상단부 일측에는 잠금구(60)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홈(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판(30)과 후면커버(50)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이드핀(52)이 수직으로 간격을 이루며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핀(52)은 전면커버(10)의 배면에 형성된 상·하측 가이드(14)(15)에 삽입되는데, 상기 상측가이드(14)는 중간판(30)의 상측절개부(31)를 관통하고, 하측가이드(15)는 하측절개부(32)를 관통하여 가이드핀(52)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10)는 상·하측 절개부(31)(32)의 높이만큼 가이드핀(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홈(51)에 삽입되는 잠금구(60)는 상측에 경사부(61)가 형성 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스프링(62)이 설치되어 항상 후면커버(50)의 내측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61)에는 대응하는 경사부(71)가 하측에 형성된 락버튼(70)이 밀착되는데, 상기 락버튼(70)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경사부(61)(71)에 의해 잠금구(60)가 후면커버(5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선단이 측판(20)의 고정홈(21)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측판(20)과 결합된 전면커버(1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50)의 배면에는 허리띠나 포켓에 착탈할 수 있도록 클립(80)이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데, 상기 클립(80)의 상단부에는 힌지부(81)가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81)에는 핀(56)이 삽입되는 핀홀(82)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립(80)의 하측에는 훅(8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되어 무전기를 거치하게 되는데, 전면커버(10)는 스프링(34)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력이 부여되어 상·하측 가이드(14)(15)가 상·하측 절개부(31)(32)의 상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40)는 경사에 의해 대칭으로 근접하게 형성된 안내부(35)의 상측에 밀착됨으로써 양측의 훅(41)이 최대한 가까이 근접하게 되어 무전기의 양측에 형성된 홈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락버튼(7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잠금구(60)를 측판(20)의 고정홈(21)에 고정시킴으로써 측판(20)과 결합된 전면커버(1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잠금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걸림부재(40)도 안내부(35)의 상측에 고정되어 외력에도 무전기를 전면커버(10)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반면에 무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전면커버(10)에서 분리하거나 또는 사용 후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락버튼(7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구(60)가 고정홈(21)을 이탈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전면커버(1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면 상·하측 가이드(14)(15)가 상·하측 절개부(31)(32)의 하측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걸림부재(40)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35)의 하측으로 함께 이동함으로써 양측의 훅(41)이 최대한 이격되어 무전기의 홈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이로써 해제상태가 되어 무전기를 전면커버(10)에서 분리 또는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40) 뿐만 아니라 클립(80)도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구현하여 홀더와 무전기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후면커버(50)의 배면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이루며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대(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53)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5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53)의 하측에는 간격을 두고 걸림구(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53)의 양측에는 클립(80)의 힌지부(81)가 핀(56)에 의해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핀(56)에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56)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핀(56)의 일단은 후면커버(50)에 밀착되고, 타단은 클립(80)에 밀착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립(80)의 훅(83)은 후면커버(50)의 걸림구(57)에 결합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해제를 하고자 할 때에는 클립(80)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핀(56)이 장공(5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하면 훅(83)이 걸림구(57)를 이탈하게 되어 간단히 해제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탄성이 있는 버튼누름부(17)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하고 있어 무전기의 측면에 형성된 작은 버튼을 누르기가 불편할 때 버튼누름부(17)를 사용하여 누름으로써 무전기의 작동이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면커버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의 해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걸림부재가 잠금에서 해제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면커버 11 : 날개부
12,22 : 관통공 13 : 탄성돌기
14 : 상측가이드 15 : 하측가이드
16 : 고정돌기 17 : 버튼누름부
20 : 측판 21 : 고정홈
30 : 중간판 31 : 상측절개부
32 : 하측절개부 33 : 고리
34,62 : 스프링 35 : 안내부
40 : 걸림부재 41,83 : 훅
42 : 가이드 50 : 후면커버
51 : 이동홈 52 : 가이드핀
53 : 지지대 54 : 장공
55 : 핀 56 : 탄성부재
57 : 걸림구 60 : 잠금구
61,71 : 경사부 70 : 락버튼
80 : 클립 81 : 힌지부
82 : 핀홀

Claims (4)

  1. 양측의 날개부(11)에 형성된 관통공(12)과, 배면에 형성된 복수의 상측가이드(14)와, 상기 상측가이드(14)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하측가이드(15)로 구성된 전면커버(10)와;
    상기 전면커버(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34)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상·하측 가이드(14)(15)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하측 절개부(31)(32)와, 상기 상·하측 절개부(31)(32)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 복수의 안내부(35)로 구성된 중간판(30)과;
    상기 관통공(12)에 삽입되는 훅(41)과, 상기 안내부(35)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42)로 구성된 걸림부재(40)와;
    상기 중간판(30)과 결합되며, 상기 상·하측 가이드(14)(15)에 삽입되는 가이드핀(52)이 고정되는 후면커버(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50)에는 스프링(62)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력을 부여되고 상측에 경사부(61)가 형성된 잠금구(60)가 구비되며, 상기 경사부(60)에는 가압에 의해 상기 잠금구(6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사부(71)가 하측에 형성된 락버튼(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50)의 배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54)을 구비한 한 쌍의 지지대(5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3)의 하측으로 간격을 이루며 걸림구(57)가 형성되며,
    상기 장공(54)에는 일단에 한 쌍의 힌지부(8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구(57)에 고정되는 훅(83)이 형성된 클립(80)이 핀(56)에 의해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10)의 일측에는 탄성이 있는 버튼누름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KR1020080048090A 2008-05-23 2008-05-23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KR10086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090A KR100864969B1 (ko) 2008-05-23 2008-05-23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PCT/KR2009/002730 WO2009142461A2 (ko) 2008-05-23 2009-05-22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090A KR100864969B1 (ko) 2008-05-23 2008-05-23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969B1 true KR100864969B1 (ko) 2008-10-22

Family

ID=4017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090A KR100864969B1 (ko) 2008-05-23 2008-05-23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4969B1 (ko)
WO (1) WO20091424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4449B1 (en) * 2019-12-13 2021-09-01 Beetge Lourens Device hol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8371A (en) 1996-10-29 1998-06-16 Ericsson Inc. Belt holder with auxiliary battery
KR20010001827A (ko) * 1999-06-09 2001-01-05 오덕수 이동통신기기 휴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686A (ja) * 2002-07-23 2004-02-19 Yutaka Higa 携帯器具用ホルダー
KR20050020901A (ko) * 2003-08-22 2005-03-04 손광범 휴대폰 휴대케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8371A (en) 1996-10-29 1998-06-16 Ericsson Inc. Belt holder with auxiliary battery
KR20010001827A (ko) * 1999-06-09 2001-01-05 오덕수 이동통신기기 휴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461A2 (ko) 2009-11-26
WO2009142461A3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116B1 (en) Card-receptible semiautomatic slide case for mobile phone
KR200189787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홀더
EP1585290A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100071168A1 (en) Earpiece retainer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EP2387905A2 (en) A buckle
KR100864969B1 (ko) 잠금 기능이 있는 무전기 홀더
KR100628761B1 (ko)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KR19990046393A (ko) 손목에착용이가능한휴대용통신단말기
KR200290003Y1 (ko) 무선전화기용 거치대
KR200402994Y1 (ko) 기능성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394711Y1 (ko) 휴대폰 벨트 클립장치
KR200282135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각도조절구조
KR200295588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KR200153281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228308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홀더
KR0136291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착탈구조
KR200282136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KR200488083Y1 (ko) 손가락 파지부재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179806Y1 (ko) 휴대폰용 안테나 및 플립개방장치
KR200179950Y1 (ko) 휴대폰용 홀스터
KR200338945Y1 (ko) 핸드폰 손목 띠
CN117752164A (zh) 一种多功能智能语音书包
KR200176223Y1 (ko) 배터리 팩 고정구조
KR100239828B1 (ko) 핸드폰용 그립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