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287U -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 Google Patents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287U
KR20000000287U KR2019980009637U KR19980009637U KR20000000287U KR 20000000287 U KR20000000287 U KR 20000000287U KR 2019980009637 U KR2019980009637 U KR 2019980009637U KR 19980009637 U KR19980009637 U KR 19980009637U KR 20000000287 U KR20000000287 U KR 200000002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late
mobile phone
supported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선
Original Assignee
신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남선 filed Critical 신남선
Priority to KR2019980009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287U/ko
Publication of KR200000002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87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으로, 뒤쪽에 위치하면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판(10)과, 이 지지판(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탄지되도록 구비된 하부판(20)과, 이 하부판(20)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판(30)과, 상기 지지판(10)의 양 측면에 탄지된 걸림부재(40)와,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재(50)와, 이 결합부재(5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밴드부재(60)와, 상기 지지판(10)의 배면에 탄지된 클립부재(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휴대폰을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고, 휴대폰의 측면을 걸림부재 및 밴드부재에 의해 지지하므로 견고하게 결합되게되며, 하부에 형성된 하부판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발력을 받아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하여 사용할 때 휴대폰이 임의로 분리되어 지면에 떨어질 염려가 없는 등의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본 고안은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벨트등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임의의 장소에서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는 개인휴대용 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합니다)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폰의 보급이 급증하면서 많은 사용자가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이 발생하였다.
즉, 휴대폰의 특성상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전화를 걸거나 받도록 하는 기능이 주요기능인바, 여성인 경우에는 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전화가 걸려오면 가방안에서 꺼내어 통화동작을 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고, 남성인 경우에는 속주머니에 넣고 다니다가 전화가 걸려오면 바로 꺼내어 통화를 하거나 허리춤의 벨트에 장착하여 필요시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방에 넣고 다니는 경우에, 혼잡한 장소에서는 전화로부터 수신된 것을 알려주는 음이 잘 들리지 않게되고, 가방으로부터 꺼내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벨트에 벨트클립을 끼우고, 휴대폰을 장착한 것이 있으나, 이것은 대개 클립으로부터 휴대폰을 꺼내는 동작이 불편하고, 자칫 핸드폰이 클립으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많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벨트에 견고하게 장착되면서 휴대폰을 쉽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벨트클립을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뒤쪽에 위치하면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탄지되도록 구비된 하부판과, 이 하부판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 측면에 탄지된 걸림부재와, 지지판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재와, 이 결합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밴드부재와, 상기 지지판의 배면에 탄지된 클립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판은 지지판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힌지부에 끼워진 축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판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편이 돌출.형성되며, 선단에는 폭방향으로 다른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축핀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하부판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판에 탄지되도록 되며, 상기 하부판의 저면 일측에는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는 판스프링이 개재되고, 그 상부에 캡이 구비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판의 누름돌기와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삽입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캡에 의해 탄지되도록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걸림부재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편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실시예로서, 상기 지지판의 삽입관의 내부에 U자형 판스프링이 내장되고 캡이 구비되어 걸림부재의 누름돌기와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에는 지지판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돌기에 끼워지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부를 일부 절개하여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부지지판이 상부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된 상태의 동작상태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휴대폰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을 벨트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휴대폰을 착용하지 않을 때 완전히 접힌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지지판
11 : 힌지부
12 : 축핀
13,15 : 스프링
14 : 삽입관
16,19,32 : 캡
17 : 힌지부
18 : U자형 판스프링
20 : 하부판
21 : 걸림편
22 : 걸림돌기
23,41 : 누름돌기
30 : 고정판
31 : 판스프링
40 : 걸림부재
42 : 걸림편
42a : 경사면
50 : 결합부재
51 : 돌기
60 : 밴드부재
61 : 수용홈
70 : 클립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에 위치하면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판(10)과, 이 지지판(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탄지되도록 구비된 하부판(20)과, 이 하부판(20)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판(30)과, 상기 지지판(10)의 양 측면에 탄지된 걸림부재(40)와,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재(50)와, 이 결합부재(5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밴드부재(60)와, 상기 지지판(10)의 배면에 탄지된 클립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20)은 지지판(10)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힌지부(11)에 끼워진 축핀(12)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판(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편(21)이 돌출.형성되며, 선단에는 폭방향으로 다른 걸림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축핀(12)에는 스프링(13)이 개재되어 하부판(20)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판(30)에 탄지되도록 되며, 상기 하부판(20)의 저면 일측에는 누름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30)의 중앙에는 판스프링(31)이 개재되고, 그 상부에 캡(32)이 구비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판(20)의 누름돌기(23)와 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40)는 상기 지지판(10)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삽입관(14)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15) 및 캡(16)에 의해 탄지되도록 누름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부(1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걸림부재(40)의 선단에는 경사면(42a)이 형성된 걸림편(42)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실시예로서, 상기 지지판(10)의 삽입관(14)의 내부에 U자형 판스프링(18)이 내장되고 캡(19)이 구비되어 걸림부재(40)의 누름돌기(41)와 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60)의 양단에는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재(50)의 돌기(51)에 끼워지도록 수용홈(61)이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0은 휴대폰, 90은 벨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휴대폰(80)을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벨트(90)에 클립부재(70)를 통해 장착한 상태에서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나 전화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 쉽게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20)이 스프링(13)에 의해 상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지지판(10)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부재(40)의 후단을 잡고 안쪽방향으로 누르면, 걸림부재(40)가 힌지부(17)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걸림부재(40)의 후단에 형성된 누름돌기(41)가 캡(16)을 누르게되고, 그에따라 캡(16)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15)이 압축된다. 그에따라 걸림부재(40)가 약간 벌어진 상태로 되며, 이때 휴대폰(80)을 끼우면 하부판(20)이 지지판(10)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힌지부(11)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축핀(12)을 축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2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러면, 하부판(20)은 그 저면에 누름돌기(23)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판(20)이 눌려지면, 고정판(30)의 캡(32)이 눌려지면서 판스프링(31)이 압축되면서 멈추게되고, 하부판(2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편(21)이 휴대폰(8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걸리게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판(10)의 양측면에 구비된 걸림부재(40)를 통해 휴대폰(8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걸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의 배면에 형성된 삽입관(14)안에 U자형 판스프링(18)을 내장하고, 이 판스프링(18)의 일단에 캡(19)이 구비되면서 걸림부재(40)의 일단에 형성된 누름돌기(41)에 접면되도록 되어 있는바, 보다 안정적으로 걸림부재(40)의 회동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4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편(42)에는 경사면(42a)이 형성되어 있어 휴대폰(80)의 장착시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재(50)의 돌기(51)에 밴드부재(60)의 수용홈(61)을 끼워 고정하도록 한다.
이 밴드부재(60)는 사용자의 편의상 결합부재(50)에 결합하여도 되고, 필요에 따라 결합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의 저면에 형성된 클립부재(70)를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된 벨트(90)에 끼우면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20)에 탄지된 스프링(13)은 이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휴대폰(80)의 장/탈착이 가능하다. 따라서,제조상 스프링(13)을 제거한 상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만일,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판(1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재(40)를 약간 벌리면서 휴대폰(80)을 상방향으로 인출시키면 쉽게 분리되고, 이때 탄지되어 있는 하부판(20)이 스프링(13) 및 고정판(30)의 판스프링(31)에 의해 반발력을 받아 상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더욱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휴대폰(80)을 사용한 후에는 다시 지지판(1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재(40)를 약간 벌리고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삽입하면 쉽게 장착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을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고, 휴대폰의 측면을 걸림부재 및 밴드부재에 의해 지지하므로 견고하게 결합되게되며, 하부에 형성된 하부판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발력을 받아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하여 사용할 때 휴대폰이 임의로 분리되어 지면에 떨어질 염려가 없으며, 휴대폰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완전히 접혀 부피가 대폭 축소되어 휴대가 간편한 잇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에 있어서,
    뒤쪽에 위치하면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판(10)과, 이 지지판(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탄지되도록 구비된 하부판(20)과, 이 하부판(20)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판(30)과, 상기 지지판(10)의 양 측면에 탄지된 걸림부재(40)와,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재(50)와, 이 결합부재(5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밴드부재(60)와, 상기 지지판(10)의 배면에 탄지된 클립부재(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20)은 지지판(10)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힌지부(11)에 끼워진 축핀(12)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판(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편(21)이 돌출.형성되며, 선단에는 폭방향으로 다른 걸림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축핀(12)에는 스프링(13)이 개재되어 하부판(20)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판(30)에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의 중앙에는 판스프링(31)이 개재되고, 그 상부에 캡(32)이 구비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판(20)의 누름돌기(23)와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0)는 상기 지지판(10)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삽입관(14)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15) 및 캡(16)에 의해 탄지되도록 누름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부(1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걸림부재(40)의 선단에는 경사면(42a)이 형성된 걸림편(42)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4)의 내부에 U자형 판스프링(18)이 내장되고 캡(19)이 구비되어 걸림부재(40)의 누름돌기(41)에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60)의 양단에는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재(50)의 돌기(51)에 끼워지도록 수용홈(61)이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걸이용 벨트클립.
KR2019980009637U 1998-06-05 1998-06-05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KR200000002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37U KR20000000287U (ko) 1998-06-05 1998-06-05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37U KR20000000287U (ko) 1998-06-05 1998-06-05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87U true KR20000000287U (ko) 2000-01-15

Family

ID=6951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37U KR20000000287U (ko) 1998-06-05 1998-06-05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2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954B1 (ko) * 2003-08-19 2006-01-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전자기기 착탈밴드
KR100760894B1 (ko) * 2007-02-05 2007-09-21 이동원 다목적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954B1 (ko) * 2003-08-19 2006-01-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전자기기 착탈밴드
KR100760894B1 (ko) * 2007-02-05 2007-09-21 이동원 다목적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362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US20100071168A1 (en) Earpiece retainer
JPH08291808A (ja) クリップ組立体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000000287U (ko) 휴대폰 걸이용 벨트클립
KR100628761B1 (ko)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KR200343610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배터리록킹장치
KR19990046393A (ko) 손목에착용이가능한휴대용통신단말기
KR200316345Y1 (ko) 휴대폰 거치대
JPH11208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KR200402994Y1 (ko) 기능성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290003Y1 (ko) 무선전화기용 거치대
KR100542954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착탈밴드
US20040013265A1 (en) Cellular phone holding device
KR200182281Y1 (ko) 이동 단말기의 휴대장치
KR200208040Y1 (ko) 휴대폰 휴대용 버클
KR200179950Y1 (ko) 휴대폰용 홀스터
KR100348293B1 (ko)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KR100239828B1 (ko) 핸드폰용 그립퍼
KR1005757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40011269A (ko) 휴대폰의 배터리 밀착구조
KR200282135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각도조절구조
KR200210692Y1 (ko) 단말기용 목걸이 장치
KR200159852Y1 (ko) 휴대폰 케이스용 홀더
KR100741792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