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437Y1 - 상다리 연결구 - Google Patents

상다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437Y1
KR200161437Y1 KR2019970027615U KR19970027615U KR200161437Y1 KR 200161437 Y1 KR200161437 Y1 KR 200161437Y1 KR 2019970027615 U KR2019970027615 U KR 2019970027615U KR 19970027615 U KR19970027615 U KR 19970027615U KR 200161437 Y1 KR200161437 Y1 KR 200161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ixing
lever
upper leg
le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484U (ko
Inventor
최진수
Original Assignee
최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수 filed Critical 최진수
Priority to KR2019970027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43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4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다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 상다리 연결구는 연결구의 회동편에 결합된 고정레버가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접을 때 손가락을 통해 고정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고정레버와 지지편의 고정홈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회전축이 없어서 작동이 불확실하고 고정레버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고정편(10)과 회동편(12) 및 지지편(14)으로 된 통상의 상다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12)에 장착홈(28)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일체형의 회전축(17)을 갖춘 고정레버(16)가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편(14)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쌍의 고정홈(18)(19)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레버(16)가 경사지게 록킹되도록 하므로써, 회동편(12)에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레버(16)가 손가락에 가깝게 됨으로써 동일한 힘으로 레버를 눌렀을 때 누름동작이 보다 완전하게 되어 고정레버(16) 및 지지편(14)의 고정홈(19)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상다리 연결구
본 고안은 상다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다리를 용이하게 접고 펼수 있도록 한 상다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다리 연결구는 고정편과 회동편 및 지지편으로 된 세부분이 다수의 체결수단과 리벳힌지축으로 체결되어 있는 바, 상다리를 접을 때는 회동편의 고정레버를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다리를 90도 회전시켜 접게 되어 있고, 펼때는 상다리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고정레버가 지지편의 고정홈에 "딱"소리를 내면서 걸리도록 되어 있었다.
예시도면 도4는 종래품의 예시도로써 회동편(100)에 장착홈(200)이 형성되고 여기에 스프링(300)으로 탄지된 고정레버(400)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편(10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편(500)이 설치되어 고정레버(400)가 지지편(500)의 고정홈(600),(70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상다리 연결구는 회동편에 설치된 고정레버가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접을 때 손가락을 통해 고정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불완전하게 고정레버를 누르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다리를 젖혔을 때 고정레버와 지지편의 고정홈에 손상을 입히게될 뿐만 아니라 고정레버(400)가 굴곡부(800)를 중심으로 작동되므로 작동이 불확실하고 사용중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동편의 고정레버와 지지편의 고정홈이 경사를 이루면서 결합되게 함으로써 접을때 고정레버를 누르는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져 고정레버의 누름이 완전하게 될 수 있어서 상다리를 접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레버의 단부에 회전축을 형성하여 작동이 확실하고 이탈을 방지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정편과 회동편 및 지지편으로 된 통상의 상다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이 준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편의 장착홈과 고정레버의 위치 및 지지편의 고정홈을 경사지게 형성하며, 고정레버의 단부에 회전축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회동편의 형상이 기존의 사각판형에서 측면이 라운드진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재료의 절감를 꾀하고, 고정레버의 위치를 손가락에 가깝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동일한 힘으로 레버를 눌렀을 때 누름이 보다 완전하게 되어 고정레버 및 지지편의 고정홈이 손상되지 않으며, 고정레버의 회전축으로 인하여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회동이 확실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다리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장착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4는 종래의 상다리 연결구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 10 : 고정편
11 : 상다리 12 : 회동편
14 : 지지편 16 : 고정레버
17 : 회전축 18,19 : 고정홈
20 : 체결홈 21 : 힌지공
22 : 고정판 23 : 나사못
25 : 못 26 : 힌지공
27 : 스프링 28 : 장착홈
29 : 리벳힌지축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고정편(10)과 회동편(12) 및 지지편(14)으로 된 통상의 상다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12)의 양측이 둥글게 형성되고, 일체형의 회전축(17)을 갖춘 고정레버(16)와 회동편(12)의 장착홈(28)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4)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쌍의 고정홈(18)(19)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고정레버(16)가 경사지게 록킹되도록 한 상다리 연결구이다.
예시도면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다리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장착상태 사시도로서, 상다리 연결구는 크게 3부분인 고정편(10)과 회동편(12) 및 지지편(14)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고정편(10)은 준 사각형상으로 대각선방향의 두 모서리에 체결공(20)과 중앙에 힌지공(21)이 형성된 것으로, 상(1)의 하단에서 서로 직교하면서 사각을 이루도록 된 고정판(22)의 내측에 체결공(20)과 나사못(23)의 체결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공(21)에는 상다리(11)의 회전축이 되는 못(25)이 체결되어 상다리(11)와 상기 고정편(1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편(12)은 양측면이 둥글게 되어 있으며, 회동편(12)의 일부에는 힌지공(26)이 천공되어 있어서 지지편(14)과 힌지결합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12)의 중앙부분에는 스프링(27)에 의해 탄지되는 고정레버(16)가 장착되는 장착홈(28)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레버(16)의 단부에는 회전축(17)이 고정레버(16)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고, 상기 장착홈(28)은 고정레버(16)의 위치와 같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기울어진 방향은 고정레버(16)를 누를 때 손가락의 힘이 보다 직접적으로 고정레버(16)에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동편(12)과 리벳힌지축(29)으로 결합되는 지지편(14)은 측면이 "ㄱ"자형상으로 상(1)의 고정판(22)내측에 다수의 나사못(23)으로 결합된다. 상기 회동편(12)에 장착된 고정레버(16)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18)(19)이 형성되는 바, 이 한쌍의 고정홈(18)(19)은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됨은 물론이며, 일측으로 기울게 되고, 상다리(11)를 펼때는 상다리(11)만을 잡고 돌려주면 쉽게 펴질 수 있도록 고정홈(18)이 일측이 라운드지게 되어있다.
예시도면 도2에서와 같이, 상다리(11)에 고정편(1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10)을 고정판(22)내측에 체결시키고, 회동편(12)과 지지편(14)도 리벳힌지축(29)으로 서로 결합시킨 다음, 상기 회동편(12)은 상다리(11)측에 지지편(14)은 상(1)의 고정판(22) 내측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설치가 완료된다.
예시도면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사용자가 상다리(11)를 펼때에는 한손으로 상다리(11)를 회동시켜주면, 지지편(14)에 형성된 고정홈(18)의 라운드진부분에 의해 회동편(12)의 고정레버(16)가 자동으로 눌려지면서 상다리(11)가 90도로 펴지는데, 상다리(11)가 완전히 젖혀지면 고정레버(16)가 고정홈(19)에 순간적으로 삽입되면서 스프링(27)에 의해 "딱" 소리가 나면서 록킹되게 된다.
이렇게 펴진 상다리(11)를 접을 때는 고정홈(19)의 양측이 모두 직각을 이루게 되어 있어서, 회동편(12)의 고정레버(16)를 완전히 누른상태가 되어야만 상다리(11)와 회동편(12)이 회전가능하게 되는 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레버(16)의 위치가 손가락의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으므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고정레버(16)를 쉽게 완전히 누를 수 있어서 고정홈(19)에서 빠져나오기가 쉬워 접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고정레버(16)의 단부에 회전축(17)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레버(16)의 회동이 확실하고 사용중에 요동이나 이탈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편(10)과 회동편(12) 및 지지편(14)으로된 통상의 상다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12)이 준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체형의 회전축(17)을 갖춘 고정레버(16) 및 회동편(12)의 장착홈(28)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4)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쌍의 고정홈(18)(19)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고정레버(16)가 경사지게 록킹되도록 하므로써, 회동편(12)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더불어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레버(16)가 손가락에 가깝게 됨으로써 동일한 힘으로 레버를 눌렀을 때 누름이 보다 완전하게 되어 고정레버(16) 및 지지편(14)의 고정홈(19)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레버(16)의 회전축(17)으로 인하여 회동이 확실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고정레버의 흔들림이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정편(10)과 회동편(12) 및 지지편(14)으로 된 통상의 상다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12)에 설치되는 고정레버(16)의 단부에는 일체형의 회전축(17)이 형성되고 회동편(12)의 장착홈(28)과 고정레버(16)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다리 연결구.
KR2019970027615U 1997-10-04 1997-10-04 상다리 연결구 KR200161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15U KR200161437Y1 (ko) 1997-10-04 1997-10-04 상다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15U KR200161437Y1 (ko) 1997-10-04 1997-10-04 상다리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84U KR19990014484U (ko) 1999-05-06
KR200161437Y1 true KR200161437Y1 (ko) 1999-11-15

Family

ID=1951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615U KR200161437Y1 (ko) 1997-10-04 1997-10-04 상다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4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2B1 (ko) * 2007-06-29 2009-08-21 이여산 상다리 절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2B1 (ko) * 2007-06-29 2009-08-21 이여산 상다리 절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84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4114Y2 (ja) 折畳型電子機器の構造
KR930004896Y1 (ko) 틸팅수단이 부여된 랩탑 컴퓨터(Lap Top Computer)
JP2000214845A (ja) 楽器用クランプ装置の構造
KR200161437Y1 (ko) 상다리 연결구
JP3212535B2 (ja) カメラ用雲台
JP2003148446A (ja)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200232276Y1 (ko) 상다리 연결구
KR200271501Y1 (ko) 노트북의 포트 커버
JP2518612Y2 (ja) ピボットヒンジの軸座
JP3069681B2 (ja) 取付金具
KR200417631Y1 (ko) 상다리용 경첩
JPH023040Y2 (ko)
KR970003999Y1 (ko) 회전 키보드 장치
KR19980020468U (ko) 상다리 연결구
KR19980019849U (ko) 조립식 경첩
JPH1118860A (ja) テーブルにおける折りたたみ脚の連結金具
KR200264219Y1 (ko) 상다리 고정용 경첩
KR200394292Y1 (ko) 상다리 연결구
JPH10252331A (ja) パネルロック機構
KR950002725Y1 (ko) 상다리
KR200190391Y1 (ko) 절첩식 회전대를 갖는 스크루드라이버 홀더
KR950002726Y1 (ko) 상다리
KR200228976Y1 (ko) 회전형 힌지구조
KR19990008736U (ko) 휴대용 컴퓨터의 록킹장치
KR200180152Y1 (ko) 상다리 절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