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434Y1 -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434Y1
KR200161434Y1 KR2019950028325U KR19950028325U KR200161434Y1 KR 200161434 Y1 KR200161434 Y1 KR 200161434Y1 KR 2019950028325 U KR2019950028325 U KR 2019950028325U KR 19950028325 U KR19950028325 U KR 19950028325U KR 200161434 Y1 KR200161434 Y1 KR 200161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elt
seat belt
guide rail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401U (ko
Inventor
조영균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28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434Y1/ko
Publication of KR970017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4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4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4Passive restraint systems, i.e. systems both applied and removed automatically, e.g. by movement of the vehicl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1)의 개,폐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이의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동력을 발생하는 이송수단과 이 이송수단의 동작에 따라 벨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성되어, 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하여 이송수단의 모터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이의 구동에 따라 이동부재는 안전벨트를 도어의 전방으로 이송시키거나 혹은 복귀시키는 동작으로 탑승자를 구속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A-A선에서 바라 본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취한 부분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 6 도는, 종래의 사용상태를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10 : 자동이송장치
20 : 가이드 레일 21 : 안내홈
30 : 이송수단 40 : 이동부재
본 고안은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 폐에 따라 자동으로 변위되면서 승객 혹은 운전자의 신체를 구속하거나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자동이송장치를 안전벨트에 연결하여 착용이 편리하도록함은 물론이고, 돌발적인 충돌사고에서 발생하는 탑승자의 부상을 초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에는 돌발적인 충돌사고에 대비하여 각종 안전장치가 부가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중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여 2차충돌의 방지는 물론 그 충격의 완화를 꾀하고자 하는 안전밸트의 착용은 근래 모든 운전자 혹은 승객들에게 권장되고 있는 사항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벨트는 통상 허리부분을 구속하는 랩 벨트와 어깨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가 조합된 3점식을 사용하여 모든 충돌사고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착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모든 사용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또한, 탑승자에 따라서는 착용시 신체적인 불쾌감 즉 구속감을 느낌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승차와 동시에 벨트가 착용되도록 하는 안전벨트가 고안되고 있는 바, 이를 첨부된 도면 제 6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안전벨트(3)는 탑승자가 승차와 동시에 착용이 될 수 있도록 좌석(2)의 일측 하단부와 도어(1)의 상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 승차시 먼저, 탑승자가 벨트(3)를 어깨에 걸어 좌석(2)에 착석한 상태에서 도어(1)를 닫게되면, 이의 도어(1) 상부측과 연결된 벨트(3)가 탑승자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목적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자동착용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벨트는 사용이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다시 설명하면 승차시에는 탑승자가 반드시 어깨를 먼저 벨트에 걸어야만 승차가 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하차시 또한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을 반복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탑승자의 승,하차시 도어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안전벨트의 위치를 도어의 전방 혹은 후방의 상부로 이동 시킴으로써, 승, 하차시에 탑승자가 겪는 불편 즉 안전벨트가 신체에 걸리는 하는 현상을 해소함은 물론, 그 사용성을 향상시켜 충돌사고시 그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승차시 자동적으로 안전벨트가 착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승용차의 정면 충돌시 2차적 충돌을 방지함을 물론, 탑승자가 승용차 밖으로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는 도어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이의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동력을 발생하는 이송수단과 이 이송수단의 동작에 따라 벨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성되어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이송장치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하여 모터부를 구동시키고, 이의 구동에 따라 이동부재는 안전벨트를 도어의 전방으로 이송시키거나 혹은 복귀시키는 동작으로 탑승자를 구속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도 및 제 2 도는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10)는 승용차 도어(1)의 상부를 형성하는 도어 글래스(2)의 하부와 일측부에 걸쳐 설치된 가이드 레일(20)과, 이의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벨트(3)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 및 상기 이동부재(40)를 도어(1)의 개, 폐 유무에 따라 동작시키는 이송수단(30)과 도어(1)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50)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먼저, 이송수단(30)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32)와 이의 모터부(32)에 축설된 드럼(33)과 이의 드럼(33)에 감겨지는 와이어(3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모터부(32)는 제 1 및 제 2 모터(32a)(32b)로 이루어져, 추후에 설명되는 감지수단(50)의 신호에 따라 회동되면서 와이어(31)를 감거나 혹은 풀어 벨트(3)를 이송시키고 있는데, 이 와이어(31)의 일측은 드럼(33a)(33b)에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부재(40) 본체(41)의 상,하부에서 각각 연결되도록 하되, 와이어(31)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안내 로울러(34) 또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수단(30)은 상기의 실시 예외에도 각각의 모터(32a)(32b)에 스프로캣을 축설하여 체인을 이동시킴으로써, 이와 연결된 벨트(3)가 이동되는 방법등 그 실시 예는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양측벽(26)사이에 안내홈(21)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의 가이드레일(20)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ㄴ"자형상으로 이루어져, 도어 글래스(2)의 하부와 일측부에 걸쳐 설치되면서 벨트(3)의 상,하 및 직선 왕복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상부에는 벨트(3)의 이송동작을 멈추게 하기 위한 스토퍼(22)를 설치하되, 이는 제 3 도에 도시한 일예와 같이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20)에 형성된 보울트 삽입공(23)과 고정보울트(24)의 조임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하는 나사공(25)을 형성하고 있으며, 보울트 삽입공(23)은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스토퍼(22)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선택적인 위치에서 스토퍼(22)를 고정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 4 도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안전벨트(3)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우선 본체(41)의 전면에는 안전벨트(3)를 고정핀(4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상, 하부의 각각에는 고리(45)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드럼(33a)(33b)과 연결된 와이어(31)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40)의 일측에는 축공(42a)이 형성된 브래킷(42)을 구비하고, 이의 축공(42a)에는 끝단에 롤러(43)가 구비된 고정축(47)을 축설하되, 이의 롤러(43)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안내홈(21)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제 5 도는 도어(1)의 개, 폐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50)의 신호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32)까지의 전달과정을 도시한 블록도로써, 이의 감지수단(50)은 센서 혹은 마이크로 스위치등 그 종류와 구성에는 관여치 않으며, 다만 도어(1)가 개 ,폐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51)에 신호를 보내는 것이면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감지수단(50)에서 보내지는 신호는 제어부(51)를 통해 모터 구동부(52)로 그리고 다시 모터부(32)로 보내져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어 글래스(2)의 주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20)에는 이동부재(40)가 조립되고, 이의 이동부재(40)는 이송수단(30)과 연결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승차를 위하여 도어(1)를 열게되면 감지수단(50)은 이를 감지하여 제 2 모터(32b)에 신호를 보내 이와 축설된 드럼(33)을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31)를 감게 되는데, 이때의 제 1 드럼(33a)은 와이어(31)를 푸는 역회전 동작으로 하게 된다.
제 2 모터(32b)의 회전으로 감아진 와이어(31)는 이동부재(40)의 하부를 잡아 당기면서 벨트(3)를 도어(1)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차가 가능하도록 하고, 승차를 맞친 탑승자가 도어(1)의 닫게되면 각각의 모터(32a)(32b)와 드럼(33a)(32b)은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 행하여 벨트(3)를 도어(1)의 상부 즉 가이드 레일(20)의 상부까지 이동시켜 탑승자는 직접 안전벨트(3)를 걸지 않아도 벨트(3)의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탑승자가 하차를 하고자 도어(1)를 여는 경우에는 감지수단(50)은 이를 감지하여 제 2 모터(32b)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하차시 벨트(3)가 신체에 걸릴 수 있는 현상을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효과 뿐만아니라 벨트(3)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신체의 조건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벨트가 도어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후방 상부로 이동하여 탑승자는 운전자는 벨트를 직접 걸지 않아도 착용이 가능한 이점과 하차시에는 벨트의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승객 혹은 운전자의 승차와 동시에 자동으로 신체의 구속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 안전벨트 구조에 있어서, 승용차의 승하차시에 안전벨트가 탑승자의 신체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글래스(2)의 하부와 일측부에 걸쳐 설치된 가이드 레일(20)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벨트(3)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를 구비하며, 상기한 이동부재(40)는 도어(1)의 개폐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50)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이송수단(30)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상부에는 탑승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스토퍼(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 이송장치.
KR2019950028325U 1995-10-10 1995-10-10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 KR200161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325U KR200161434Y1 (ko) 1995-10-10 1995-10-10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325U KR200161434Y1 (ko) 1995-10-10 1995-10-10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01U KR970017401U (ko) 1997-05-23
KR200161434Y1 true KR200161434Y1 (ko) 1999-11-15

Family

ID=1942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325U KR200161434Y1 (ko) 1995-10-10 1995-10-10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4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01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510B2 (en) Single loop, four-point shoulder and lap belt system
JP2528403B2 (ja) 自動車の膝保護装置
US8590934B2 (en) Vehicle seat belt-offering device and three-point automatic belt
US20120326486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unlocking a vehicle seat belt
JP3695403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161434Y1 (ko) 승용차의 안전벨트 자동이송장치
IT9047771A1 (it) Dispositivo di alloggiamento regolabile in altezza per i punti di articolazione e di rinvio delle cinture di sicurezza in autoveicoli.
KR960004164B1 (ko) 자동 3지점 안전구속장치용 도어장착형 구동기구
US4555127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US4256330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US4191399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H0214217B2 (ko)
GB2050147A (en) Vehicle passive occupant restraining system
KR100590955B1 (ko) 자동차용 자동 시트 벨트 구조
JPS6126131Y2 (ko)
US4190267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US4165100A (en) Safety belt applying system
JP4760182B2 (ja) 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
KR100218999B1 (ko) 리어 시트벨트용 버클 수납장치
EP2546113A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unlocking a vehicle seat belt
US4230342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JP4296953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527127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자동조정장치
JPS6010928Y2 (ja) パツシブベルト装置
KR19980061226A (ko) 승합차용 슬라이딩식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