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749Y1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749Y1
KR200160749Y1 KR2019960066225U KR19960066225U KR200160749Y1 KR 200160749 Y1 KR200160749 Y1 KR 200160749Y1 KR 2019960066225 U KR2019960066225 U KR 2019960066225U KR 19960066225 U KR19960066225 U KR 19960066225U KR 200160749 Y1 KR200160749 Y1 KR 200160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ength
driver
seat por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041U (ko
Inventor
손병종
Original Assignee
류종열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열,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종열
Priority to KR2019960066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74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0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23Coach-like constructions
    • B60N2/7035Cushions
    • B60N2/7047Springs
    • B60N2/7082Springs with air or fluid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서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차량용 시트에서 시트부는 그 높낮이는 조절되어 탑승자가 앉는 높이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그 길이를 조절할 수는 없다.
이에 본 고안은 시트부(10)와 등받이부(12)로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부(10) 앞부분에 폭을 따라 에어챔버(20)를 설치하여서 시트부(10) 길이가 가변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 체형에 맞게 되므로 운전자는 피로감없는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트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서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는 승용차처럼 하나씩 분리 설치된것부터 승합차에 사용되는 여러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도록 된 것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러나, 어느 것이든 시트부와 등받이부로 형성되어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는 대개가 대량 생산되는 차량에 규격화 되어 같은 크기의 것이 설치되는 바, 이 때문에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든지, 등받이부를 앞뒤로 젖힐 수 있는 등의 수단이 강구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종래의 시트는 시트부(10)와 등받이부(12)로 이루어지고, 시트부(10)는 노브(16)를 회전시키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등받이부(12)는 레버(18)를 당겨서 전후로 등받이부(12)의 기울기를 조절한다음 레버(18)를 놓게 되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차내부 바닥에 발이 편하게 올려지는 높이(엑셀페달이나 크러치 페달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쉬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시트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 등받이부(12)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조향 핸들과의 거리를 알맞게 조절하므로써 편하고 안전한 운행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시트부는 그 높낮이는 조절되어 탑승자가 앉는 높이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그 길이를 조절할 수는 없다.
즉, 탑승자마다 대퇴부의 길이(A)와 정강이의 길이(B)가 모두 다르게 되는데, 이 경우 도 1과 같이 대퇴부의 길이(A)가 짧은 사람인 경우에는 시트부(10)의 길이가 짧아야 할 것이고, 대퇴부의 길이(A)가 긴 사람인 경우에는 시트부(10)의 길이도 길어야 할 것이지만 시트부(10)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갖추어진 차량용 시트는 없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대퇴부의 길이에 따라 시트부 길이를 조절하여 탑승자(운전자)의 체결에 맞는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트부 전면에 에어 쳄버를 설치하여서 운전자가 임의로 크기를 조절하여 시트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차량용 시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시트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사용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부 12: 등받이부
20: 에어챔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시트부(10)와 등받이부(12)로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부(10) 앞부분에 폭을 따라 에어챔버(20)를 설치하여서 시트부(10) 길이가 가변되게 한 차량용 시트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챔버(20)가 형성된 시트부(10)의 측면구성도면으로, 여기서 에어챔버(20)는 시트부(10)의 쿠션재(22) 앞에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밀폐된 공기주머니를 설치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시트부(10) 형성시에 에어챔버(20) 부분을 함께 형성시켜도 결과는 같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에어챔버(20)가 부피가 줄어 있는 상태는 운전자의 대퇴부 길이가 짧은 사람인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그러다가 대퇴부 길이가 긴 사람인 경우는 에어챔버(20)에 공기를 주입하여 도 3과 같이 부풀린다.
따라서, 시트부(10) 길이를 그만큼 길어지고 운전자는 대퇴부가 편안히 시트부(10)에 올려진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게 되어 안전운전과 피로감이 덜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을 사용함에 따라 운전자의 체형이나 취향에 맞게 시트부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피로감 없는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시트부(10)와 등받이부(12)로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부(10)의 쿠션재의 앞부분에 폭을 따라 에어챔버(20)를 설치하고, 상기한 에어챔버(20)는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된 밀폐된 공기주머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한 에어챔버(20)의 내부 공기주머니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시트부(1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KR2019960066225U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시트 KR200160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225U KR200160749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225U KR200160749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041U KR19980053041U (ko) 1998-10-07
KR200160749Y1 true KR200160749Y1 (ko) 1999-11-15

Family

ID=1948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225U KR200160749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7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041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0099A (en) Head-rest
KR960033882A (ko) 일체형 부스터 좌석 및 호환 모듈을 갖는 차량용 좌석
GB2317333A (en) Headrest with extendable side elements
JPS6470246A (en) Safety device for user of central seat for automobile
KR200160749Y1 (ko) 차량용 시트
US3468556A (en) Automobile safety devices
EP1273475A3 (en) Child's car seat, integral with the rear seat of motor vehicles
JPH1085260A (ja) 車椅子搭乗用輸送装置
KR0138776Y1 (ko) 프론트시트의 시트쿠션 전후조절장치
KR200154403Y1 (ko) 장시간 좌석 이탈시 시트 정위치 복귀장치
KR0135006Y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판넬로 내장된 어린이용 시트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KR970036788A (ko) 이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장치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200147896Y1 (ko) 풋레스트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0119407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지지대 장착구조
KR19980010796U (ko) 자동차용 가변형 시트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980007356U (ko) 전후 양방향에서 조작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트랙
KR20000013506U (ko) 프론트시트 시트백 리클라이닝장치
KR19980060258A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리프팅장치
KR19980051799U (ko) 푸트레스트 어셈블리
KR19980055242A (ko) 인스트루먼트 패널구조
KR19980039180U (ko) 어린이용 시트가 설치된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