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720Y1 -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720Y1
KR200160720Y1 KR2019960067834U KR19960067834U KR200160720Y1 KR 200160720 Y1 KR200160720 Y1 KR 200160720Y1 KR 2019960067834 U KR2019960067834 U KR 2019960067834U KR 19960067834 U KR19960067834 U KR 19960067834U KR 200160720 Y1 KR200160720 Y1 KR 200160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frigerant
condenser
air conditioner
cool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639U (ko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7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7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6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을 순환하는 냉매를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체 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응축기(1)와, 상기 응축기(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냉각팬(2) 및 제2냉각팬(3)과, 상기 응축기(1)로 전달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4)와, 상기 압력감지센서(4)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1, 제2냉각팬(2,3)을 제어하는 ECU(5)로 구성된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응축기로 전달되는 기체 냉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응축기로 공급되는 회전력이 변화되도록 하여, 상기 기체 냉매의 압력이 저압되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상기 기체 냉매의 압력이 고압이면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공기 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을 순환하는 냉매를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기후 조건이나 주행 조건에서도 승차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 조화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는 자동차 실내의 냉, 난방을 위한 에어컨과 히터 유니트 및 상기 히터 유니트를 통해 자동차 실내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워 어셈블리 등이 있다.
상기한 에어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가 통과하면서 고온 다습한 외부 공기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51)와, 상기 증발기(51)를 통과한 고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2)와, 상기 압축기(52)에서 형성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통과하면서 차량 외부로 열을 발산하여 액화되는 응축기(53)와, 상기 저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급격하게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로 만든 후 상기 증발기(51)로 전송하는 팽창밸브(5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냉매는 증발기(51), 압축기(52), 응축기(53) 및 팽창밸브(54)를 순환되면서 기화와 액화 및 고압화와 저압화를 반복하게 되는 바, 상기 증발기(51)에서 기화되면서 외부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자동차 실내를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응축기(53)에는 기체 냉매가 쉽게 액화될 수 있도록 냉각팬(55)이 회전하고 있는 바, 상기 응축기(53)의 용량과 냉각팬(55)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에어컨의 성능이 좌우된다.
엔진이 시동되면 압축기(52)가 가동되기 시작하여 저압의 냉매를 점차적으로 고압으로 되게 하는 바, 상기 냉매가 상기 압축기(52)에서 응축기(53)로 전달되어 액화되는 동안에 냉각팬(55)은 동일한 회전력을 출력한다.
즉, 상기 응축기(53)로 전달되는 냉매의 압력에 관계없이 상기 냉각팬(55)이 항상 동일한 회전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응축기(53)로 전달되는 냉매가 저압이면 냉각팬(55)이 전력을 과다하게 많이 소비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53)로 전달되는 냉매가 고압이면 상기 냉각팬(55)의 회전력이 부족하게 되어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응축기로 전달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응축기로 전달되는 냉각팬의 회전력이 달라지도록 하는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 에어컨을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응축기 2 : 제1냉각팬
3 : 제2냉각팬 4 : 압력감지센서
5 : ECU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는 기체 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냉각팬 및 제2냉각팬과, 상기 응축기로 전달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1, 제2냉각팬을 제어하는 ECU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기체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응축기(1)와, 상기 응축기(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냉각팬(2) 및 제2냉각팬(3)과, 상기 응축기(1)로 전달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4)와, 상기 압력감지센서(4)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냉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1, 제2냉각팬(2,3)을 제어하는 ECU(5)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시동되고 에어컨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압축기(52)는 엔진의 구동력을 마그네틱 클러치를 통해 전달받아 고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만들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52)의 초기 구동 상태에서는 응축기(1)로 저압의 기체 냉매가 공급되는 바, 압력감지센서(4)는 상기 응축기(1)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 후 ECU(5)로 전달한다.
상기 ECU(5)는 상기와 같이 상기 응축기(1)로 공급되는 기체 냉매의 압력이 저압이면 제1냉각팬(2)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냉각팬(2)은 구동시키고, 제2냉각팬(3)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52)가 정상적으로 구동하여 응축기(1)로 공급되는 기체냉매가 고압이 되면, ECU(5)는 압력감지센서(4)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제1냉각팬(2)과 제2냉각팬(3)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제2냉각팬(2,3)이 모두 구동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응축기로 전달되는 기체 냉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응측기로 공급되는 회전력이 변화되도록 하여, 상기 기체 냉매의 압력이 저압이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상기 기체 냉매의 압력이 고압이면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체 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냉각팬과, 상기 복수개의 냉각팬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에어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팬의 동작여부가 결정되도록 그 입구의 냉매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ECU로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KR2019960067834U 1996-12-31 1996-12-31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KR200160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834U KR200160720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834U KR200160720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639U KR19980054639U (ko) 1998-10-07
KR200160720Y1 true KR200160720Y1 (ko) 1999-11-15

Family

ID=1948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834U KR200160720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7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639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36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s
EP0085246A1 (en) A control circuit for a variable displacement air conditioning compressor
US20070125106A1 (en) Supercritical refrigeration cycle
JP200332696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058252B1 (ko) 초임계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60720Y1 (ko) 에어컨의 냉매 액화장치
JP4460913B2 (ja) 空調装置
JPH0738625U (ja) 車両用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
EP0908340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JP4089630B2 (ja) 車両用冷凍サイクル
KR0125322B1 (ko) 압력감지수단을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222885B1 (ko) 자동차의 듀얼 에어콘 제어장치
JP200428453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0137791B1 (ko) 자동차의 에어콘디션 제어 장치
KR100388123B1 (ko) 중장비용 압축기 제어시스템
KR100387617B1 (ko) 가속시 부하저감형 에어컨 컴프레서
JPH0528635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004714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90009855U (ko) 속도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를 이용한 컨덴서팬작동장치
KR20020093393A (ko) 자동차 라디에이터와 에어컨의 냉각팬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2005225438A (ja) 空調装置
JP2002221381A (ja) 冷凍機
KR100216853B1 (ko) 자동차용 에어콘의 콘덴서팬 제어방법
KR20030017827A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너 작동 시스템
KR20050121346A (ko) 자동차 에어컨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