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435Y1 -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435Y1
KR200160435Y1 KR2019970015248U KR19970015248U KR200160435Y1 KR 200160435 Y1 KR200160435 Y1 KR 200160435Y1 KR 2019970015248 U KR2019970015248 U KR 2019970015248U KR 19970015248 U KR19970015248 U KR 19970015248U KR 200160435 Y1 KR200160435 Y1 KR 200160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link
rivet
ho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761U (ko
Inventor
권구인
Original Assignee
권구인
주식회사대영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구인, 주식회사대영정밀 filed Critical 권구인
Priority to KR2019970015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43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판의 주연에 결합되는 칼날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예초기용 칼날에 있어서, 칼날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리벳축의 마모파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칼날의 결합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칼날(3) 및 링크(2)의 회동동작시 리벳(4)이 관통설치되는 링(5)도 함께 회전 동작됨에 따라 링(5)의 내주면과 리벳(4)의 외주면에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리벳(4)이 마모 단락되어 칼날이 비산하게 되는 위험함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회전판(1)의 통공(10)과 칼날(3)의 통공(30)에 삽입되는 링(5)과 링크(2)와의 사이에 결합수단을 형성시켜 칼날(3) 및 링크(2)의 회동동작시 발생되는 부하가 리벳(4)에 전달되지 않고 각각의 링크(2)와 회전판(1)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리벳(4)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

Description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본 고안은 예초기의 칼날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판의 주연에 결합되는 칼날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예초기용 칼날에 있어서, 칼날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리벳축의 마모파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칼날의 결합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용 칼날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판(1)의 주연에 칼날(3)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칼날(3)은 물체와의 충돌시 칼날(3)의 파손 방지와 그 충격을 흡수완출시킬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종래에 있어서의 칼날과 회전판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칼날 결합구조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판(1)의 주연에 통공(10)을 형성시키고, 상기 통공(10)의 내부에 링(5)이 삽입 설치되고, 통공(10)의 상하면에 각각의 링크(2)에 형성된 통공(21)이 연통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링크가 회동가능하도록 리벳(4)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링크(2) 선단사이에 칼날(3)의 통공(30)부를 삽입시코 리벳(4)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칼날(3)의 통공(30)내에도 링(5)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칼날 결합구조는 칼날(3) 및 링크(2)의 회동동작시 리벳(4)이 관통설치되는 링(5)도 함께 회전동작됨에 따라 링(5)의 내주면과 리벳(4)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링(5)은 열처리공정을 거쳐 강성을 가지는데 반하여 리벳(4)은 그 특성상 연질로 형성됨에 따라 리벳의 외주면이 마찰에 의해 쉽게 마모되어 칼날의 결합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리벳(4)의 마모되는 부분은 링크(2)에 의하여 가려짐에 따라 식별이 불가능하게 되고 리벳의 마모정도를 모르는 상태에서 예초기를 계속하여 사용하게 되면 결국에는 리벳(4)이 단락되면서 칼날(3)이 비산하게 되는 위험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칼날 및 링크를 회전 동작시 발생되는 부하가 리벳에 집적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링크와 회전판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리벳축의 마모를 방지하여 칼날이 회전판으로 부터 분리이탈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칼날의 결합내구성을 강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예초기용 칼날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판의 주연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부에 링이 삽입 설치되며, 통공의 상하면에 각각의 링크에 형성된 통공이 연통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링크가 회동가능하도록 리벳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링크 선단사이에 칼날의 통공부를 삽입시키고 리벳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칼날의 통공내에서도 링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회전판의 통공과 칼날의 통공에 삽입되는 링을 각각의 링크에 고정결합시켜 칼날 및 링크의 회전동작시 발생되는 부하가 리벳에 전달되지 않고 각각의 링크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리벳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예초기의 칼날을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칼날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칼날결합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판 2 : 링크
3 : 칼날 4 : 리벳
5 : 링 25 : 홈
26 : 걸림구멍 50 : 요철돌기
55 : 삽입부 56 : 걸림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칼날결합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판(1)의 주연에 통공(1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0)의 내부에 링(5)이 삽입 설치되며, 통공(10)의 상하면에 각각의 링크(2)에 형성된 통공(21)이 연통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링크(2)가 회동가능하도록 리벳(4)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링크(2) 선단사이에 링(5)이 삽입되는 칼날(3)의 통공(30)부를 삽입시키고, 리벳(4)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회전판(1)의 통공(10)과 칼날(3)의 통공(30)에 삽입되는 링(5)과 링크(2)와의 사이에 결합수단을 형성시켜 칼날(3) 및 링크(2)의 회전동작시 발생되는 부하가 리벳(4)에 전달되지 않고 각각의 링크(2)와 회전판(1)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리벳(4)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각 링크(2)의 사이에 링(5)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5)의 상하면에 다수의 요철돌기(50)를 형성시키고 상기 링(5)이 접촉되는 링크(2)의 각면에도 상기 요철돌기(50)가 끼워지는 다수의 홈(25)을 형성시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5)의 일측면에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는 삽입부(55)를 형성시키되 삽입부(55)의 양측면에 걸림면(56)을 형성시키고, 일측 링크(2)에 상기 삽입부(55)가 끼워지는 걸림구멍(26)을 형성시켜 링(5)을 링크(2)에 고정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링크(2) 및 칼날(3)의 회전동작에 의한 부하가 링(5)을 거쳐 링크(2)와 회전판(1)에 직접전달되고, 각각의 링크(2)를 고정시키는 리벳(4)에는 아무런 부하가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서, 리벳(4)의 마모는 발생되지 않으며 리벳(4)은 단순히 각각의 링크(2)를 고정결합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칼날 및 링크의 회전 동작시 발생되는 부하가 리벳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링크와 회전판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리벳축의 마모를 방지하여 칼날이 회전판으로 부터 분리이탈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칼날의 결합내구성을 강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판(1)의 주연부에 통공(1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0)의 내부에 링(5)이 삽입 설치되며, 통공(10)의 상하면에 각각의 링크(2)에 형성된 통공(21)이 연통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링크(2)가 회동가능하도록 리벳(4)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링크(2) 선단사이에 링(5)이 삽입되는 칼날(3)의 통공(30)부를 삽입시키고, 리벳(4)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회전판(1)의 통공(10)과 칼날(3)의 통공(30)에 삽입되는 링(5)과 링크(2)와의 사이에 결합수단을 형성시켜 링이 링크에 고정결합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링(5)의 일측면에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는 삽입부(55)를 형성시키고, 삽입부(55)의 양측면에 걸림면(56)을 형성시키고, 일측 링크(2)에 상기 삽입부(55)가 끼워지는 걸림구멍(26)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KR2019970015248U 1997-06-23 1997-06-23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KR200160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48U KR200160435Y1 (ko) 1997-06-23 1997-06-23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48U KR200160435Y1 (ko) 1997-06-23 1997-06-23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61U KR19990001761U (ko) 1999-01-15
KR200160435Y1 true KR200160435Y1 (ko) 1999-11-01

Family

ID=1950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248U KR200160435Y1 (ko) 1997-06-23 1997-06-23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4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349B1 (ko) 2010-02-26 2012-06-14 김원태 링크를 이용한 예취기 칼날 구동 장치 및 칼날 구동 방법과 그 칼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349B1 (ko) 2010-02-26 2012-06-14 김원태 링크를 이용한 예취기 칼날 구동 장치 및 칼날 구동 방법과 그 칼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61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388B2 (en) Cutting blade piece protective structure, blade guard and lawn mower
KR200160435Y1 (ko)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장치
US5103882A (en) Rotary cutter wheel and removable tooth structure
US2850862A (en) Cutting device
US4353705A (en) Sprocket and clutch drum assembly
US5033175A (en) Tire rasp blade
AU6331680A (en) Trimming head for vegetation
KR200159301Y1 (ko) 예초기용 칼날의 결합 장치
JP2007244299A (ja) 回転刃
CA2161717C (en) Power transmission sheave
CA2228862C (en) Rotary mower cutter disc having replaceable knife mount shield
CA2238535C (en) Arbor and circular saw with asymmetric spline having generally radial force-transmitting face
JP4078761B2 (ja) 動力伝達装置
KR20140040925A (ko)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KR200359485Y1 (ko) 예취기용 회전칼
RU2003131192A (ru) Крепление запирающей рабочей лопатки паровой турбины
US6311463B1 (en) Rotary mower cutter disc having self-cleaning knife mount shield
JPH01275101A (ja) チェーンソー用のスプロケット組立体
JP2002136208A (ja) 刈払機の接地円板構造
CA2055527A1 (en) Toolholder for use in a rotary crop-cutting machine
KR200254737Y1 (ko) 예초기용 절단부재 및 예초기 절단장치
EP1228680B1 (en) Knife attachment
KR100696177B1 (ko) 매직 플라잉 커터
KR102493824B1 (ko) 궤도바퀴용 조립식 구동축
CN214660484U (zh) 一种用于割草机的发动机用散热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