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359Y1 - 호스조임 용트윈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조임 용트윈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359Y1
KR200160359Y1 KR2019950044507U KR19950044507U KR200160359Y1 KR 200160359 Y1 KR200160359 Y1 KR 200160359Y1 KR 2019950044507 U KR2019950044507 U KR 2019950044507U KR 19950044507 U KR19950044507 U KR 19950044507U KR 200160359 Y1 KR200160359 Y1 KR 200160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ent
hose
prese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562U (ko
Inventor
황인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4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359Y1/ko
Publication of KR970043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의 호스를 단번에 체결할 수 있는 호스조임용 트윈클램프에 관한 고안으로서 단일체로된 강선의 중간부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 양쪽으로 양쪽링을 권회시키고 양쪽링의 양단부에 손잡이를 절곡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조임용 트윈 클램프
제1도는 본 고안인 트윈 클램프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트윈 클램프 작동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선 2 : 절곡부
3, 3' : 링 4, 4' : 손잡이
본 고안은 호스조임용 트윈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두갈래로 분리되는 호스를 조여주기 위해서는 동일한 수축력을 갖는 클램프가 이용되어야하며 두 개의 클램프가 일체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클램프 숫자를 줄여서 클램프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호스조임용 트윈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클램프는 각각 단일체로 구성되있어서 두 개의 호스연결부위에는 각각 클램프를 사용해야 됨으로 클램프의 숫자가 많게 되고 탈거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두갈래로 분리되는 호스를 조여주기 위해 두 개의 클램프가 일체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클램프 숫자를 줄여서 클램프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설치작업시간단축과 아울러 사용이 용이한 호스조임용 트윈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체 강선의 중간부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 양쪽으로 양쪽링을 권회시키고 상기 링의 양단부에 손잡이를 절곡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호스조임용 트윈 클램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체 강선(1)의 끝단을 소정 길이를 갖도록 절곡하여 손잡이(4)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4)로부터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하방향으로 절곡하며, 이 절곡된 강선을 권회시켜서 호스가 끼워지도록 원을 형성하는 링(3)을 형성한다.
한편, 링(3)을 형성하는 끝단이 손잡이(4)로부터 절곡된 부위 즉, 중간부에서 교차되 이 교차되는 부분에서 상기 링과 대향되어지도록 절곡부(2)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2)를 중심으로 링(3)과 같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절곡하여 손잡이(4')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4')로부터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하방향으로 절곡하며, 이 절곡된 강선을 권회시켜서 호스가 끼워지도록 원을 형성하는 링(3')을 형성하되 상기 인접하는 손잡이(4)의 간격은 넓게 형성되고 이 손잡이(4)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된 강선의 인접 거리는 짧게 형성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 5'는 호스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링(3)(3')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L이라는 거리로 이격된 손잡이(4)(4')를 안쪽으로 누르면 손잡이(4)(4')는 L1이라는 간격으로 압입되며 상기 손잡이(4)(4')가 L1이라는 간격으로 압입됨과 동시에 하방향으로 절곡된 강선부분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양쪽링(3)(3')의 하부가 최초의 위치에서 S거리만큼 내경이 확개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상태에서 양쪽링(3)(3')에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5)(5')를 연결관에 끼운 다은 누르고 있던 손잡이(4)(4')를 놓으면 링(3)(3')의 수축력 다시말하여 강선이 같는 금속 고유의 탄성력에 의하여 링(3)(3')의 직경이 축소되면서 호스(5)(5')를 압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클램프가 일체로 되 있어서 두 개의 호스에 착설하는 작업 과정이 한번에 이루워질 뿐만 아니라 클램프의 제작이 손쉽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단일체 강선(1)의 중간부에 절곡부(2)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2) 양쪽으로 양쪽링(3, 3')을 권회시키고 상기링(3, 3')의 양단부에 손잡이(4, 4')를 절곡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호스조임용 트윈 클램프.
KR2019950044507U 1995-12-20 1995-12-20 호스조임 용트윈 클램프 KR200160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507U KR200160359Y1 (ko) 1995-12-20 1995-12-20 호스조임 용트윈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507U KR200160359Y1 (ko) 1995-12-20 1995-12-20 호스조임 용트윈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62U KR970043562U (ko) 1997-07-31
KR200160359Y1 true KR200160359Y1 (ko) 1999-11-01

Family

ID=1943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507U KR200160359Y1 (ko) 1995-12-20 1995-12-20 호스조임 용트윈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3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25B1 (ko) * 2008-02-21 2010-08-16 이덕규 착탈이 용이한 플렉시블 덕트 연결고정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62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12029A (en) &#34;open&#34; type clamp
KR870008145A (ko) 밴드 클램프
ATE287135T1 (de) Rohranordnung
KR970016254A (ko) 관이음매
JP3650631B2 (ja) バンドクランプ部品の構造
KR960029646A (ko) 클램핑 칼라
KR200160359Y1 (ko) 호스조임 용트윈 클램프
CN1231692C (zh) 椭圆软管连接部分的固定用卡箍
US5216783A (en) Band clamp
DE3774608D1 (en) Wire hose clip
CA2258185A1 (en) Wire clamping collar
AU704590B2 (en) Post mounted outrigger
KR100219085B1 (ko) 와이어링 묶음 띠
JPH0751884Y2 (ja) ハウスバンド止め金具
KR0135623Y1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200162355Y1 (ko) 와이어 고정구
KR200155193Y1 (ko) 밴드 클램프
JPH0732192U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ロールパイプ
KR0125399Y1 (ko) 클램프 홀더의 구조
JP3379806B2 (ja) 紐固定用クランプ
JP2500597Y2 (ja) 電柱用の金属製バンド
KR200154114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0149727Y1 (ko) 자동차의 머플러 캡의 부착장치
KR19980035666U (ko) 바-머플러 고정장치
JP2003074776A (ja) ホース取り付け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