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231Y1 -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 Google Patents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231Y1
KR200160231Y1 KR2019970004424U KR19970004424U KR200160231Y1 KR 200160231 Y1 KR200160231 Y1 KR 200160231Y1 KR 2019970004424 U KR2019970004424 U KR 2019970004424U KR 19970004424 U KR19970004424 U KR 19970004424U KR 200160231 Y1 KR200160231 Y1 KR 200160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parallel port
pin
power supply
comput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383U (ko
Inventor
양성동
이관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4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23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9Powe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는 병렬 포트에 외부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였을 경우에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주변 기기 또는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는 지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전원의 공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접지되는 병렬 포트의 제 1 핀을 병렬 포트의 사용하지 않는 핀들 중에서 2개 이상 복수의 핀으로 설정하여 병렬 포트의 사용하지 않는 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핀을 접지시키지 않아도 병렬 포트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고,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접지되는 병렬 포트의 제 2 핀의 길이를 제 1 핀의 길이보다 짧게 하여 병렬 포트에 주변 기기를 연결하였을 경우에 제 1 핀이 제 2 핀보다 먼저 연결되게 함으로써 병렬 포트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병렬 포트의 제 1 핀이 제 2 핀보다 먼저 주변 기기에 연결되어 순간적으로 주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한다.

Description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본 고안은 노트 북형 컴퓨터, 랩탑형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병렬 포트와, 노트 북형 컴퓨터 및 랩탑형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 리플리케이터(port replicator) 및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등의 장착대에 구비되어 있는 병렬 포트에 주변 기기를 연결하였을 경우에 연결한 주변 기기의 종류를 판별하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및 그의 장착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1996년 특허 출원 제13117호 및 1997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47호를 개량하여 병렬 포트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데 오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및 그의 장착대에 관한 것이다.
노트 북형 컴퓨터, 랩탑형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 등을 비롯한 각종 컴퓨터 시스템은 필요로 하는 각종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의 크기는 무한정으로 크게 제조할 수 없는 것으로서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내에 설치할 수 있는 주변 기기는 본체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므로 많은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자들은 필요로 하는 주변 기기들 중에서 일부의 주변 기기만을 본체 내에 설치하고, 본체 내에 설치하지 못한 주변 기기는 본체의 외부에서 병렬 포트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의 외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주변 기기로서는 FDD(Floppy Disk Drive), CD-ROM(Compact Disk - Read Only Memory) 드라이브 및 외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이 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회로가 내장되지 않고, 외부에서 별도로 직류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공급해야 되는 주변 기기와, 프린터 및 디지타이저 등과 같이 전원 회로가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으로 부하에 직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주변 기기가 있다.
병렬 포트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를 연결하였을 경우에 컴퓨터 시스템에서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로 동작 전원을 공급해야 된다.
그러나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병렬 포트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핀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병렬 포트에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해야 된다.
병렬 포트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원 공급용 케이블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주변 기기와 컴퓨터 시스템의 병렬 포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전원 공급 라인이 일체로 형성된 Y형 케이블을 사용하고, 상기 Y형 케이블의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에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를 키보드가 연결되는 딘잭(din jack)에 키보드의 잭과 함께 연결하여 키보드에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에 함께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와 병렬 포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전원 공급 라인이 일체로 형성된 Y형 케이블을 사용해야 되는 것으로서 케이블의 제작이 매우 어렵고, 별도로 전원의 공급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해야 되었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온하여 동작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를 병렬 포트에 연결 또는 분리시킬 경우에 키보드가 연결된 딘잭을 함께 분리 및 연결시켜야 되므로 키보드에 공급되는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와 키보드를 손상시키게 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를 연결 및 분리시킬 경우에는 반드시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연결 및 분리시켜야 되어 필요없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에게 많은 번거로움을 주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1996년 특허 출원 제 13117호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출력 제어부와 병렬 포트의 사이에, 병렬 포트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과,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이 병렬 포트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판별할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이 병렬 포트를 통해 주변 기기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게 하였다.
한편, 노트 북형 컴퓨터 및 랩탑형 컴퓨터 등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동작 기능이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킹 스테이션 및 포트 리플리케이터 등의 장착대가 제안 및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장착대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병렬 포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병렬 포트에 주변 기기를 연결하지 못하고, 장착대에 구비되어 있는 병렬 포트에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된다.
그러나 장착대에 구비되어 있는 병렬 포트에도 전원이 공급되는 핀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장착대의 병렬 포트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전원 공급 라인이 일체로 구비된 Y형 케이블을 사용하고, 상기 Y형 케이블의 전원 공급 라인을 키보드가 연결되는 장착대의 딘잭에 커넥터로 연결해야 되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1997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47호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출력 제어부와 장착대의 병렬 포트의 사이에, 장착대의 병렬 포트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과,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이 장착대의 병렬 포트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판별할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이 장착대의 병렬 포트를 통해 주변 기기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게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도 1 및 도 2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장착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은 컴퓨터 시스템의 버스에 연결되는 입력/출력 제어부이고, 부호 2는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에 설치되어 주변 기기가 연결되고 25핀을 가지는 제 1 병렬 포트이며, 부호 3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장착되는 장착대에 구비되어 주변 기기가 연결되고, 25핀을 가지는 제 2 병렬 포트이다.
상기 입력/출력 제어부(1)와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각기 판별하는 제 1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5)과,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를 통해 주변 기기에 전원(Vcc1)(Vcc2)을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 수단(6)(7)을 각기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5)은,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접지되는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제 1 핀 예를 들면, 19번 핀(P19)과,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접지되는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제 2 핀 예를 들면, 24번 핀(P24)의 신호에 따라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 또는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또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 수단(6)(7)은, 상기 제 1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5)이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판단할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제 3 핀 예를 들면, 20번 핀(P20)을 통해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로 전원(Vcc1)(Vcc2)을 각기 공급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5)은, 전원(Vcc1)(Vcc2)이 저항(R1)(R3)을 통해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제 2 핀(P24)에 인가되게 접속되고, 상기 저항(R1)(R2)과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제 2 핀(P24)의 접속점이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FET5,FET6)의 게이트 및 인버터(INV1)(INV2)의 입력 단자에 각기 접속된다.
상기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FET5,FET6)의 소스는 접지되고,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의 드레인은 상기 제 1 병렬 포트(2)의 제 1 핀(P19) 및 제 3 핀(P20)에 각기 접속되며,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FET6)의 드레인은 상기 제 2 병렬 포트(3)의 제 1 핀(P19) 및 제 3 핀(P20)에 각기 접속된다.
상기 인버터(INV1)(INV2)의 출력단자는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FET7)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상기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FET7)의 소스가, 상기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5)의 드레인과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제 1 핀(P19)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FET7)의 드레인에서 판별 신호가 출력되게 하였다.
상기 전원 공급 수단(6)(7)은, 상기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5)이 출력하는 판별 신호가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FET8)의 게이트 및 상기 입력/출력 제어부(1)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게 공통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에, 전원(Vcc1)(Vcc2)이 저항(R2)(R4)을 통해 인가되게 접속되고,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FET8)의 드레인에는 전원(Vcc1)(Vcc2)이 휴즈(F1)(F2)를 통해 인가되게 접속되어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FET8)의 소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제 3 핀(P20)에 접속된다.
상기에서 전원(Vcc1)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고, 전원(Vcc2)은 장착대로부터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을 병렬 포트(2)(3)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대에 장착하지 않고, 제 1 병렬 포트(2)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병렬 포트(2)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병렬 포트(2)의 제 1 핀(P19)과 제 2 핀(P24)이 모두 개방된 상태이다.
그러면,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3)은, 전원(Vcc1)이 저항(R1)을 통해 인버터(INV1)의 입력 단자 및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인버터(INV1)는 저전위를 출력하고,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는 차단 상태로 된다.
상기 인버터(INV1)가 출력한 저전위에 의해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는 도통 상태로 된다.
이 때, 병렬 포트(2)에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아 제 1 핀(P19)은 개방된 상태이고,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 상태이므로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드레인은 개방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전원 공급 수단(4)은 전원(Vcc1)이 저항(R2)을 통해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가 차단 상태로 되고, 병렬 포트(2)의 제 3 핀(P20)으로 전원(Vcc1)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원(Vcc1)이 저항(R2)을 통해 입력/출력 제어부(1)로 입력되므로 컴퓨터 시스템은 병렬 포트(2)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판단하게 된다.
2.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대에 장착하지 않고, 병렬 포트(2)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
제 1 병렬 포트(2)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제 1 병렬 포트(2)의 제 1 핀(P19)이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를 통해 접지되고, 제 2 핀(P24)은 개방된 상태이다.
그러면, 제 1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은 상기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원(Vcc1)이 저항(R1)을 통해 인버터(INV1)의 입력 단자 및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인버터(INV1)는 저전위를 출력하고,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는 차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 1 병렬 포트(2)의 제 1 핀(P19)의 저전위가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드레인 및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소스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인버터(INV1)가 출력하는 저전위에 의해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가 도통 상태로 되고, 그의 드레인으로 저전위가 출력된다.
상기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드레인으로 저전위가 출력됨에 따라 전원(Vcc1)이 저항(R2)을 통해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드레인으로 흐르게 되고,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의 게이트에는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가 도통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원(Vcc1)이 휴즈(F1),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 및 제 1 병렬 포트(2)의 제 3 핀(P20)을 순차적으로 통해 주변 기기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된다.
이 때, 제 1 병렬 포트(2)를 통해 주변 기기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로 과전류가 흘러 손상된다.
그러므로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의 드레인에 휴즈(F1)를 구비하여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휴즈(F1)가 단선되고,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는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의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드레인으로 출력되는 저전위가 입력/출력 제어부(1)의 입력 단자로 입력되므로 컴퓨터 시스템은 제 1 병렬 포트(2)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3.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대에 장착하지 않고, 제 1 병렬 포트(2)에 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
제 1 병렬 포트(2)에 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프린터 등의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에 제 1 병렬 포트(2)의 제 1 핀(P19)은 개방된 상태이고, 제 2 핀(P24)은 제 1 병렬 포트(2)에 연결된 주변 기기를 통해 접지된 상태이다.
그러면 제 1 병렬 포트(2)의 제 2 핀(P24)의 저전위가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의 게이트에 인가됨과 아울러 인버터(INV1)를 통해 고전위로 반전되어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FET2)는 도통 상태로 되고,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는 차단 상태로 된다.
상기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가 차단 상태로 됨에 따라 전원(Vcc1)이 저항(R2)을 통해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는 차단 상태로 되고, 제 1 병렬 포트(2)의 제 3 핀(P20)으로는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원(Vcc1)이 저항(R2)을 통해 입력/출력 제어부(1)로 입력되므로 컴퓨터 시스템은 제 1 병렬 포트(2)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4.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대에 장착하고, 제 2 병렬 포트(3)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장착대의 제 2 병렬 포트(3)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 2 병렬 포트(3)의 제 1 핀(P19)과 제 2 핀(P24)이 모두 개방된 상태이다.
그러면,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5)은, 전원(Vcc2)이 저항(R3)을 통해 인버터(INV2)의 입력 단자 및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FET6)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인버터(INV2)는 저전위를 출력하고,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FET6)는 모두 차단 상태로 된다.
상기 인버터(INV2)가 출력한 저전위에 의해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는 도통 상태로 된다.
이 때, 제 2 병렬 포트(3)에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아 제 1 핀(P19)은 개방된 상태이고,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 상태이므로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의 드레인은 개방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제 2 전원 공급 수단(7)은 전원(Vcc2)이 저항(R4)을 통해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가 차단 상태로 되어 제 2 병렬 포트(3)의 제 3 핀(P20)으로 전원(Vcc2)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원(Vcc2)이 저항(R4)을 통해 입력/출력 제어부(1)로 입력되므로 장착대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장착대의 제 2 병렬 포트(3)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판단하게 된다.
5.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대에 장착하고, 제 2 병렬 포트(3)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장착된 장착대의 제 2 병렬 포트(3)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제 2 병렬 포트(3)의 제 1 핀(P19)이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를 통해 접지되고, 제 2 핀(P24)은 개방된 상태이다.
그러면,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5)은 상기 주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원(Vcc2)이 저항(R3)을 통해 인버터(INV2)의 입력 단자 및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FET6)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인버터(INV2)는 저전위를 출력하고,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FET6)는 차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 2 병렬 포트(3)의 제 1 핀(P19)의 저전위가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의 드레인 및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의 소스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인버터(INV2)가 출력하는 저전위에 의해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가 도통 상태로 되고, 그의 드레인으로 저전위가 출력된다.
상기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의 드레인으로 저전위가 출력됨에 따라 전원(Vcc2)이 저항(R4)을 통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의 드레인으로 흐르게 되고,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의 게이트에는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가 도통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원(Vcc2)이 휴즈(F2),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 및 제 2 병렬 포트(3)의 제 3 핀(P20)을 통해 주변 기기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된다.
여기서도 상기 제 1 전원 공급 수단(6)과 마찬가지로 제 2 병렬 포트(3)를 통해 주변 기기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로 과전류가 흘러 손상되는 것으로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의 드레인에 휴즈(F2)를 구비하여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휴즈(F2)가 단선되고,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는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5)의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의 드레인으로 출력되는 저전위가 입력/출력 제어부(1)의 입력 단자로 입력되므로 장착대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장착대에 구비된 제 2 병렬 포트(3)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6.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대에 연결하고, 제 2 병렬 포트(3)에 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장착된 장착대의 제 2 병렬 포트(3)에 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프린터 등의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에 제 2 병렬 포트(3)의 제 1 핀(P19)은 개방된 상태이고, 제 2 핀(P24)은 제 2 병렬 포트(3)에 연결된 주변 기기를 통해 접지된 상태이다.
그러면 제 2 병렬 포트(3)의 제 2 핀(P24)의 저전위가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FET6)의 게이트에 인가됨과 아울러 인버터(INV2)를 통해 고전위로 반전되어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5)(FET6)는 도통 상태로 되고,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는 차단 상태로 된다.
상기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7)가 차단 상태로 됨에 따라 전원(Vcc2)이 저항(R4)을 통해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8)는 차단 상태로 되고, 제 2 병렬 포트(3)의 제 3 핀(P20)으로는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원(Vcc2)이 저항(R4)을 통해 입력/출력 제어부(1)로 입력되므로 장착대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제 2 병렬 포트(3)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5)과 제 1 전원 공급 수단(6) 및 제 2 전원 공급 수단(7)은 와이어드 오아(wired or)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을 장착대에 장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병렬 포트(2)에만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고, 장착대에 장착할 경우에는 제 1 병렬 포트(2)가 장착대의 내부에 위치하여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없고, 제 2 병렬 포트(3)에만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5)과, 제 1 전원 공급 수단(6) 및 제 2 전원 공급 수단(7)은 상호간에 충돌되지 않고, 안정하게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프린터 등과 같이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고, 제 1 핀(P19)이 접지되어 있는 주변 기기를 장착할 경우에 제 2 핀(P24)보다 제 1 핀(P19)이 먼저 접촉되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FET4)(FET7,FET8)가 순간적으로 도통 상태로 되고, 전원(Vcc1)(Vcc2)이 휴즈(F1)(F2)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FET8)와,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를 순차적으로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FET8)로 과전류가 흐르게 되고, 휴즈(F1)(F2)가 단선되는 오동작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병렬 포트(2)(3)에 연결되는 프린터는 사용하지 않는 18번 핀부터 25번 핀까지 접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프린터의 제조 회사에 따라 18번 핀부터 25번 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핀을 접지시키지 않은 상태로 제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병렬 포트(2)(3)의 사용하지 않는 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핀을 제 1 핀으로 설정하게 되면, 병렬 포트(2)(3)에 연결되는 프린터를 연결하였을 경우에 프린터의 연결을 정확하게 판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 및 장착대의 병렬 포트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병렬 포트에 장착한 주변 기기가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일 경우에 순간적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접지되는 병렬 포트의 제 1 핀을 병렬 포트의 사용하지 않는 핀들 중에서 2개 이상 복수의 핀으로 설정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하면, 병렬 포트의 사용하지 않는 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핀을 접지시키지 않아도 병렬 포트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접지되는 병렬 포트의 제 2 핀의 길이를 제 1 핀의 길이보다 짧게 한다.
그러면, 병렬 포트에 주변 기기를 연결하였을 경우에 제 1 핀이 제 2 핀보다 먼저 연결되므로 병렬 포트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병렬 포트의 제 1 핀이 제 2 핀보다 먼저 주변 기기에 연결되어 순간적으로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장착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장착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입력/출력 제어부
2, 3 :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
4, 5 : 제 1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
6, 7 :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 수단
FET1, FET2, FET5, FET6 : 접지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T3, FET7 : 주변 기기 판별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T4, FET8 : 전원 공급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INV1, INV2 : 인버터
F1, F2 : 휴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를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장착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사용하지 않는 18번 핀부터 25번 핀 중에서 제 1 핀(P19) 및 제 3 핀(P20)을 제외한 2개 이상 복수의 핀을 병렬로 연결하여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접지되는 제 2 핀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의 23번 핀(P23) 및 24번 핀(P24)을 제 2 핀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접지되는 제 1 핀(P19)의 길이를 제 2 핀(P23,P24)의 길이보다 짧게 하여 제 2 핀(P23,P24)보다 제 1 핀(P19)이 늦게 접촉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제 1 병렬 포트(2)에 주변 기기를 연결할 경우에 제 1 병렬 포트(2)의 제 1 핀(P19) 및 제 2 핀(P23,P24)의 상태로 제 1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에 제 1 병렬 포트(2)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게 되고, 제 1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의 판별 신호에 따라 제 1 전원 공급 수단(6)이 전원(Vcc1)을 제 1 병렬 포트(2)의 제 3 핀(P20)을 통해 주변 기기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병렬 포트(3)에 주변 기기를 연결할 경우에는 제 2 병렬 포트(3)의 제 1 핀(P19) 및 제 2 핀(P23,P24)의 상태로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5)에 제 2 병렬 포트(3)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게 되고,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5)의 판별 신호에 따라 제 2 전원 공급 수단(7)이 전원(Vcc2)을 제 2 병렬 포트(3)의 제 3 핀(P20)을 통해 주변 기기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제 1 병렬 포트(2) 및 제 2 병렬 포트(3)의 사용하지 않는 18번 핀부터 25번 핀 중에서 제 1 핀(P19) 및 제 3 핀(P20)을 제외한 나머지 2개 이상의 핀(P23)(P24)을 병렬로 접속하여 제 2 핀으로 설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들 중에서 23번 핀(P23)을 접지시키지 않거나 또는 24번 핀(P24)을 접지시키지 않은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도 제 1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5)는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핀(P19)의 길이는 제 2 핀(P23,P2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주변 기기를 연결할 경우에 제 1 핀(P19)보다 제 2 핀(P23,P24)이 주변 기기에 먼저 접촉된다.
그러므로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를 연결할 경우에 제 1 핀(P19)이 제 2 핀(P23,P24)보다 주변 기기에 먼저 접촉되어 제 1 및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4)(5)이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고,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 수단(6)(7)에 제 1 및 제 2 병렬 포트(2)(3)로 전원(Vcc1)(Vcc2)을 출력하여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는 주변 기기가 연결될 경우에 접지되는 병렬 포트의 제 1 핀을 병렬 포트의 사용하지 않는 핀들 중에서 2개 이상 복수의 핀으로 설정함으로써 규격을 만족하지 않은 주변 기기를 연결할 경우에도 주변 기기의 종류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주변 기기임을 판별하는 병렬 포트의 제 1 핀의 길이를 다른 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주변 기기에 늦게 접촉되게 함으로써 병렬 포트의 제 1 핀이 주변 기기에 먼저 접촉되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병렬 포트와, 상기 제 1 병렬 포트에 연결되고 전원의 공급이 필요함을 알리는 제 1 핀이 접지되는 제 1 주변 기기와, 상기 제 1 병렬 포트에 연결되고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음을 알리는 제 2 핀이 접지되는 제 2 주변 기기와, 상기 제 2 병렬 포트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출력 제어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핀 및 제 2 핀의 상태로 상기 제 1 병렬 포트에 제 1 주변 기기 또는 제 2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제 1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과, 상기 제 1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이 상기 제 1 병렬 포트에 제 1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판단할 경우에 상기 제 1 병렬 포트의 제 1 핀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한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병렬 포트의 제 1 핀은 상기 제 1 병렬 포트의 제 2 핀보다 주변 기기에 늦게 접촉되게 짧게 형성하고, 상기 제 1 병렬 포트의 제 2 핀은 상기 제 2 주변 기기의 접지되는 핀 중에서 2개 이상의 핀을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2.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장착되는 장착대에 구비되는 제 2 병렬 포트와, 상기 제 2 병렬 포트에 연결되고 전원의 공급이 필요함을 알리는 제 1 핀이 접지되는 제 1 주변 기기와, 상기 제 2 병렬 포트에 연결되고 전원의 공급이 필요 없음을 알리는 제 2 핀이 접지되는 제 2 주변 기기와, 상기 제 2 병렬 포트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출력 제어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핀 및 제 2 핀의 상태로 상기 제 2 병렬 포트에 제 1 주변 기기 또는 제 2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과, 상기 제 2 주변 기기 연결 판별 수단이 상기 제 2 병렬 포트에 제 1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판단할 경우에 상기 제 2 병렬 포트의 제 1 핀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한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제 2 병렬 포트의 제 1 핀은 상기 제 2 병렬 포트의 제 2 핀보다 주변 기기에 늦게 접촉되게 짧게 형성하고, 상기 제 2 병렬 포트의 제 2 핀은 상기 제 2 주변 기기의 접지되는 핀 중에서 2개 이상의 핀을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의 장착대.
KR2019970004424U 1997-03-11 1997-03-11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KR200160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424U KR200160231Y1 (ko) 1997-03-11 1997-03-11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424U KR200160231Y1 (ko) 1997-03-11 1997-03-11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83U KR19980060383U (ko) 1998-11-05
KR200160231Y1 true KR200160231Y1 (ko) 1999-11-01

Family

ID=1949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424U KR200160231Y1 (ko) 1997-03-11 1997-03-11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2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83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5533B (zh) 快速导通电力开关
US6091617A (en) Automatic power supply selector for ACPI-compliant PCI devices
JPH09319669A (ja) Pcカードシステム装置
JPH1195884A (ja) 二重電圧pciコネクタ
CA2151683C (en) Redundant power mixing element with fault detection for dc- to-dc converter
KR100629964B1 (ko) 버스의 전력선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회로가 장착된애드온 카드
US6779068B2 (en) Portable computer and automatic setting method of master/slave devices for the same
JP3682147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とその拡張装置
KR200160231Y1 (ko)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JP2001228941A (ja) 電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US6952784B1 (en) Multi-source power switching circuit for Wake On LAN ethernet application
US5753982A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peripheral device from computer system
KR19980056207U (ko) 병렬 포트를 이용한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의 장착대
CN219800110U (zh) 一种用于从设备向主设备供电的电路及装置
KR0130785Y1 (ko) 휴대용 컴퓨터의 피씨엠씨아이에이 카드 교체시 자동 감지장치
JPH06309071A (ja) パワーセーブ回路
KR940009736B1 (ko) 마우스 및 키보드의 호환장치
KR960009049Y1 (ko) 도킹 스테이션의 전원 차단회로
JP4543483B2 (ja) 電子機器
JP4411104B2 (ja) パッシブカードアダプタ
JP3576096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KR100207227B1 (ko)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JP3154902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KR950004047Y1 (ko) 개인용 컴퓨터의 전원 확장 장치
JP3163023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