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227B1 -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227B1
KR100207227B1 KR1019970009701A KR19970009701A KR100207227B1 KR 100207227 B1 KR100207227 B1 KR 100207227B1 KR 1019970009701 A KR1019970009701 A KR 1019970009701A KR 19970009701 A KR19970009701 A KR 19970009701A KR 100207227 B1 KR100207227 B1 KR 10020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rocessor
contact
socket
pow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056A (ko
Inventor
백현기
Original Assignee
이홍순
주식회사삼보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순, 주식회사삼보컴퓨터 filed Critical 이홍순
Priority to KR1019970009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22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3Components mounted in and supported by recessed area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고정 또는 탈거시키는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의 플레이트(36)일측에 구성된 제 1접점(A)과, 상기 소켓(30)의 레버(10)일측에 제 1접점(A)과 대응되게 구성되어 레버(10)가 잠금상태일때 제 1접점(A)에 접촉되는 제 2접점(B)과, 제 1입력단으로 상기 제 1접점(A)과 저항(R1)을 통해 구동전원(+Vcc)이 인가되고, 제 2입력단으로 컴퓨터의 주 전원스위치가 연결된 NOR게이트(40)와, 상기 NOR게이트(40)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로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공급부(50)가 포함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전원이 공급중일 때에 소켓(30)의 레버(10)를 무단으로 해정시키면,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전원을 차단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망실을 방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본 발명은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더보드(Mother Board)에 장착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고정용 소켓(Socket)에 전원스위치가 구성된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의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소켓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연산장치와 제어장치의 논리회로로 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PU)를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대규모 집적회로)화 기술에 의해 실리콘칩상에 모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중심으로 메모리,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를 접속하여 계산기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 원칩의 중앙처리장치를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라 한다. 또, CPU와 메모리, 인터페이스회로의 일부까지 한 개의 LSI에 모은 것을 원칩 마이크로컴퓨터(One chip Micro Computer)라고 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컴퓨터를 주제어하는 것으로, 마더보드의 일측에 구성된 소켓(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소켓(30)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때에는 소켓(30)에 구성된 복수의 삽입공에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복수의 핀을 삽입시킨 후에 소켓(30)의 일측에 구성된 레버(10)를 눌러 고정시킨다. 이때, 레버(10)에 연결된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핀은 삽입공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레버(10)를 작동시킨 후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무단으로 분리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는 컴퓨터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마더보드가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소켓(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소켓(30)에 고정된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레버(10)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고정된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핀이 해제상태가 되고,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손으로 집어 올리면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소켓(30)으로부터 분리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소켓(3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불량이나 오삽입 또는 교체나 교환 등의 이유로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분리시킬 때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소켓의 레버를 작동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소켓의 삽입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핀사이에서 마찰 또는 과전류 등이 발생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망실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켓의 일측에 전원스위치를 구성시켜 레버를 작동시킬 때에 소켓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소켓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켓에 전원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에 관한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NOR게이트의 입출력에 관한 도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레버 20: 마이크로프로세서
30: 소켓 32, 34: 접점
36: 플레이트 40: NOR게이트
50: 전원공급부 R1: 저항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삽입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고정시키는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플레이트일측에 구성된 제 1접점과, 상기 소켓의 레버일측에 제 2접점과 대응되게 구성되어 레버가 잠금상태일때 제 1접점에 접촉되는 제 2접점과, 제 1입력단으로 상기 제 1접점과 저항을 통해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제 2입력단으로 컴퓨터의 주 전원스위치가 연결된 NOR게이트와, 상기 NOR게이트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켓에 전원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소켓(30)은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구성된 플레이트(36)와, 플레이트(36)의 측단일측에 구성된 레버(10)로 이루어진다. 레버(10)가 작동되는 플레이트(36)의 측면에 제 1접점(A)이 구성되고, 제 1접점(A)에 대응되는 레버(10)의 일측에 제 2접점(B)이 구성된다. 즉, 레버(10)가 작동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제 1접점(A) 및 제 2접점(B)은 접촉상태가 되어 전기적으로 도통상태가 유지되고, 레버(10)가 상부로 당겨 올려진 상태에서는 제 1접점(A)과 제 2접점(B)은 오프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구동전원(+Vcc)을 차단시킨다. 예컨대, 제 1접점(A)과 제 2접점(B)이 접촉되면, 제 1접점의 신호는 접지상태(GND)가 되고, 격리된 상태에서는 제 1접점(A)의 신호가 +5V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소켓(30)의 레버(10)가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보지하고 있는 잠금상태에서는 제 1접점(A) 및 제 2접점(B)은 도통상태가 되지만, 레버(10)가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인출해낼 수 있는 해정상태에서는 제 1접점(A)과 제 2접점(B)은 차단상태가 된다.
제 1접점(A)은 회로기판상의 A단자로 배선되고, 제 2접점(B)은 회로기판상의 B단자로 배선된다. 이때, 배선은 소켓(30)의 레버(10)가 작동되는 범위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에 관한 회로구성도로, 상기 소켓(30)의 플레이트(36)에 구성된 제 1접점(A)이 회로기판상의 A단자에 배선된다. A단자는 NOR게이트(40)의 제 1입력단으로 연결되고, 제 1입력단에는 저항(R1)을 통해 구동전원(+5V)이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소켓(30)의 레버(10)에 구성된 제 2접점(B)은 회로기판상에 B단자와 배선되고, B단자는 접지(GND)상태이다. NOR게이트(40)의 제 2입력단에는 컴퓨터로 인가되는 주 전원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다. 즉, NOR게이트(40)의 제 2입력단으로는 컴퓨터가 온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이다.
NOR게이트(40)의 제 1입력단 및 제 2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논리적인 신호에 의해 NOR게이트(40)는 논리적인 부정합을 수행한 후에, 그 산출된 논리적인 신호값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논리적인 값은 '1'(+5V) 또는 '0'(GND)이 된다.
전원공급부(50)는 상기 NOR게이트(40)의 출력단으로부터 인가된 논리적인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단속시킨다. 즉,NOR게이트(40)로부터 논리적으로 '1'이 입력되면 전원공급부(50)에서는 온상태로 전원을 공급시키고, '0'이 입력되면 오프상태로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컴퓨터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장착되어 있는 소켓(30)의 플레이트(36) 및 레버(10)의 제 1접점(A) 및 제 2접점(B)이 접촉되어 있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구동전원이 인가된다. 즉, 레버(10)가 잠금상태일 때에는 제 1접점(A)과 제 2접점(B)이 도통상태이므로, 구동전원(+5V)이 저항(R1)을 통해 회로기판상의 A단자 및 B단자를 거쳐 접지상태가 된다. 이때 NOR게이트(40)의 제 1입력단으로는 논리적인 '0'(GND)이 입력된다.
그러나, 레버(10)가 작동되어 소켓(30)이 해정상태가 되면, 제 1접점(A)과 제 2접점(B)은 오프상태가 되어 회로기판상의 A단자 및 B단자는 격리된다. 이때, NOR게이트(40)의 제 1입력단으로는 저항(R1)을 거쳐 구동전원(+5V)이 논리적인 '1'(+5V)로 인가된다. 따라서 제 1접점(A)과 제 2접점(B)이 온상태가 되면, NOR게이트(40)의 제 1입력단으로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지만, 제 1접점(A)과 제 2접점(B)이 오프상태가 되면, NOR게이트(40)의 제 1입력단으로 구동전원(+5V)이 인가된다.
또한, NOR게이트(40)의 제 2입력단에는 컴퓨터의 주 전원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어 주 전원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는 논리적인 '0'이 입력되고, 오프된 상태에서는 논리적인 '1'이 입력된다.
이와 같이 NOR게이트(40)의 제 1 및 제 2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논리적인 신호에 의해 NOR게이트(40)는 도 4의 입출력에 관한 도표에서와 같은 진리치를 갖는다. 즉, NOR게이트(40)의 제 1입력단과 제 2입력단이 모두 0V의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NOR게이트(40)는 논리적인 부정합을 수행한 후에 출력단으로 +5V의 하이신호를 출력시킨다. 또, 제 1입력단 또는 제 2입력단중 어느 하나라도 하이상태이면 NOR게이트(40)의 출력단으로는 0V의 로우신호를 출력시킨다. NOR게이트(40)의 출력단에서 +5V의 하이신호가 전원공급부(50)로 인가되면 전원공급부(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 및 각 주변장치로 구동전원을 출력시키고, NOR게이트(40)의 출력단에서 접지상태(GND)의 로우신호가 전원공급부(50)로 인가되면 전원공급부(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 및 각 주변장치로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차단시킨다.
실질적으로 NOR게이트(40)의 제 2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컴퓨터의 주 전원스위치가 오프상태이면, 전원공급부(5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없으므로, 컴퓨터의 주변장치 및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전원을 공급시키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2입력단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임의로 소켓(30)의 레버(10)를 잠금상태에서 해정상태로 절환시키면, 전원공급부(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차단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망실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해정시키는 소켓의 레버와 소켓의 플레이트의 일측단면에 대응되게 각각 접점을 구성시킴으로써,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을 때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소켓의 레버를 해정시키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차단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무단 이탈로 인한 망실을 방지시킬 수 있어 컴퓨터의 이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고정 또는 탈거시키는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플레이트일측에 구성된 제 1접점과,
    상기 소켓의 레버일측에 제 1접점과 대응되게 구성되어 레버가 잠금상태일때 제 1접점에 접촉되는 제 2접점과,
    제 1입력단으로 상기 제 1접점과 저항을 통해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제 2입력단으로 컴퓨터의 주 전원스위치가 연결된 NOR게이트와,
    상기 NOR게이트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입력단과 제 2입력단으로부터 구동전원이 인가될 때에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제 1입력단 또는 제 2입력단중 어느 하나라도 접지상태일 때에 전원공급부의 출력이 온상태로 절환되어 전원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KR1019970009701A 1997-03-21 1997-03-21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KR10020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701A KR100207227B1 (ko) 1997-03-21 1997-03-21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701A KR100207227B1 (ko) 1997-03-21 1997-03-21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056A KR19980074056A (ko) 1998-11-05
KR100207227B1 true KR100207227B1 (ko) 1999-07-15

Family

ID=1950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701A KR100207227B1 (ko) 1997-03-21 1997-03-21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2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056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0191A (en) Interface conditioning insert wafer
US5911050A (en) System for connecting either of two supply voltage type PCI cards using a common connector socket
KR960015205A (ko) 외부 핀신호를 다중화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집적 프로세서
US6105091A (en) Connector with integrated bus and power isolation switches
JPS5987842A (ja) Ic/lsiソケツト
US5973924A (en) Symmetric multi-processor-package design
CN110277675B (zh) 转接组件及存储卡装置
KR100207227B1 (ko)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스위치
US6447309B1 (en) Suppressing power bus bouncing in a hot-swappable system
US63211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dd-on device of a computer system
US8508953B2 (en) Driver device for computer motherboard
KR200175408Y1 (ko) 웨이퍼 테스트용 기판
KR200246958Y1 (ko) 메모리 테스트용 마더보드의 모듈소켓 결합구조
KR100207321B1 (ko) 전원공급이 가능한 출력포트를 갖는 컴퓨터
US20020160653A1 (en) Circuit board assembly with device status-indicating capability
JPS6213144Y2 (ko)
JPS5847726B2 (ja) プリント配線板装置
KR920702775A (ko) 휴대용 저 전력 컴퓨터
JPH01219918A (ja) 電子機器
KR100390093B1 (ko) 반도체 메모리 테스트 장치
KR970007000B1 (ko) 전자기기의 카드 전원 및 신호전달 제어장치
JP2000207071A (ja) 電源スイッチ回路
KR200160231Y1 (ko)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공급이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장착대
JP2667570B2 (ja) マルチ計算機システムのプロセッサ状態表示装置
KR0130785Y1 (ko) 휴대용 컴퓨터의 피씨엠씨아이에이 카드 교체시 자동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