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200Y1 - 모터의 회전자 완충 부재 - Google Patents

모터의 회전자 완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200Y1
KR200160200Y1 KR2019950019162U KR19950019162U KR200160200Y1 KR 200160200 Y1 KR200160200 Y1 KR 200160200Y1 KR 2019950019162 U KR2019950019162 U KR 2019950019162U KR 19950019162 U KR19950019162 U KR 19950019162U KR 200160200 Y1 KR200160200 Y1 KR 200160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otor
bearing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355U (ko
Inventor
임정식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50019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200Y1/ko
Publication of KR970007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3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청소기용 모터와 같이 고속회전을 이루는 모터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과 외주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의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하단에 개재시키게 함으로써 모터의 고속회전시 회전자가 상하 요동되는 현상을 자연스럽게 보장하여 회전자 요동의 저지됨에 따르는 모터의 무리를 주지 않게 한 모터의 회전자 완충부재이다.

Description

모터의 회전자 완충부재
제1도는 회전자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터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회전자 완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전자 지지부의 단면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다른 회전자 완충부재로서, (a)는 평면도이며, (b)는 (a)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이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를 개재한 회전자 지지부위의 작동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베어링 안착부
2 : 회전축 3 : 회전자
4 : 정류자 5 : 브러쉬
6 : 베어링 7, 8 : 완충부재
8a : 축공 8b : 돌기
이 고안은 회전전기의모터, 특히 청소기용 모터에 있어서,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완충부재상에 안착되게 함으로써 모터의 고속운전중 상기 완충부재의 미세한 완충작용에 의하여 모터에 무리가 없도록 한 모터의 회전자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자(3)에 축설된 회전축(2)의 일단이 베어링(6)에 고정 지지되는 구성으로 회전축(2)의 원활한 회전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2)은 회전자(3)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회전축(2)의 타단으로는 임펠러등의 요구된 부재가 설치되어 회전케 함으로써 모터의 목적달성을 이루게 된다.
이때, 청소기용 모터와 같이 고속회전을 이루는 모터는 운전중 그 회전자(3)가 상하 요동하게 되는 성질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회전자(3)는 회전축(2)의 일단이 베어링(6)의 내륜(6a)에 고정되어 있는 까닭으로 상하 요동하는 회전자(3)의 운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속운전중에 일어나게 되는 회전자의 자연스런 요동을 저지하게 되면 모터의 원활한 작동에 무리를 주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운전시에는 회전축의 출력축에 설치된 회전체가 균일한 회전을 방해받게 되며, 나아가서는 모터 자체의 수명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하우징(1) 하단에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1a)에 베어링(6)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의 하방으로 완충부재(7)를 개재시키게 함으로써 상기 개재된 완충부재(7)에 의하여 베어링(6) 및 베어링에 고정된 회전축(2)에 일정량의 텐션을 부여하여 회전자(3)의 미세한 요동을 보장받도록 하고 있다.
상기 완충부재(7)는 자체에서 텐션을 일으킬 수 있도록 S자 형상의 탄성부재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7)의 외주는 베어링 안착부(1a)의 내연에 접촉되어 고정되고 고정된 완충부재(7)상에 베어링(6)이 안착됨으로서 베어링(6)은 완충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베어링(6)에 축설된 회전자(3)가 고속회전을 이루게 되면, 회전자(3) 자체의 무게 또는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자(3)는 미세한 상하 요동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자를 지지하는 베어링(6)이 하단에 개재된 완충부재(7)의 텐션작용에 의하여 완충됨으로써 회전자의 미세한 요동을 저지됨이 없이 자연스럽게 그 요동을 보장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부재(7)의 작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완충부재(7)는 탄성을 지니게 하기 위해 S자 형상을 이룬 까닭에 상기 완충부재(7)상에 안착되는 베어링(6)의 저면을 고르게 지지시킬 수 없게 된다.
제2도에 따르면, 완충부재(7)의 만곡부가 베어링(6)의 내륜(6a)을 완충부재의 일단 외주가 베어링의 외륜(6b)을 지지한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베어링(6)은 그 저면에서 완충부재(7)에 의한 지지가 고르지 않아 회전축(2)의 회전시 베어링의 치우침 작용에 의하여 편심회전될 가능성을 지니게 되며, 또한 완충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완충부재(7) 자체가 소성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탄성력이 둔화되어지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모터 회전자 완충부재가 안게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베어링의 지지를 고르게 함과 동시에 일정한 완충작용을 일으키게 하여 회전자의 미세한 요동을 보장함과 동시에 이에 따라 모터 자체에 무리를 주지 않아 수명단축됨을 예방하게 하는 모터의 회전자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고안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고안은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외주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지닌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완충부재를 베어링의 하방에 개재시 베어링의 하단을 고르게 지지됨과 동시에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에 의해 안정된 안착을 이루며, 시간의 경과에도 소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아 완충기능을 고르게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모터의 회전자 완충부재의 일실시예로서, (a)는 평면도이며, (b)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제3도에 따르면, 이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8)는 원판형상의부재 중앙에 축공(8a)을 형성하고, 외주에 다수의 돌기(8b)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으로 만곡된 구성을 이룬다.
축공(8a)의 크기는 안착되는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이러한 완충부재(8)의 설치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하우징(1) 하단 중앙에 형성된 베어링 안찰부(1a)에 먼저 완충부재(8)를 개재시킨다. 이때 완충부재(8)의 만곡부가 상방향으로 위치하게 한다.
완충부재(8)는 그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8b)가 베어링 안착부(1a)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의 완충부재(8)상에 베어링(6)을 올려놓아 안착시킨다. 베어링(6)은 그 내륜(6a)이 완충부재(8)의 축공(8a)부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완충부재(8)의 전 축공(8a)부는 베어링(6)의 전 내륜(6a)을 고르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베어링(6)에는 회전자(3)를 갖는 회전축(2)이 삽입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회전자(3)에 의해 회전축(2)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자 및 회전축은 상하 요동하게 된다. 이러한 요동에 의해 베어링(6) 또한 상하 요동하게 되지만, 이때 베어링(6)은 이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8)상에 지지되어 있는 까닭에 완충부재(8)를 상하 완충시키게 함으로써 회전자(3)의 상하 요동을 자연스럽게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완충부재(8)는 이점쇄선의 위치로 탄력 압착되어지는 것이 반복됨은 물론이다. 이때 완충부재(8)의 텐션력은 그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8b)에 의해 더 한층 강화된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를 개재시키게 함으로서 베어링을 고르게 지지시킴과 동시에 고른 완충작용을 일으키게 되어 고속회전에 따른 회전자의 요동됨을 자연스럽게 보장되게 하여 모터에 무리를 주지 않고 원활한 회전을 이루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모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하단에 완충부재를 개재시켜 고속운전중 회전자의 상하 요동됨을 자연스럽게 보장함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을 형성하고, 외주에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이룬 완충부재를 구비케 함으로서 베어링을 고르게 지지함과 동시에 고른 텐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회전자 완충부재.
KR2019950019162U 1995-07-28 1995-07-28 모터의 회전자 완충 부재 KR200160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162U KR200160200Y1 (ko) 1995-07-28 1995-07-28 모터의 회전자 완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162U KR200160200Y1 (ko) 1995-07-28 1995-07-28 모터의 회전자 완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355U KR970007355U (ko) 1997-02-21
KR200160200Y1 true KR200160200Y1 (ko) 1999-11-01

Family

ID=1941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162U KR200160200Y1 (ko) 1995-07-28 1995-07-28 모터의 회전자 완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2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355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062B1 (ko) 세탁기의 댐퍼 장치
US4934781A (en) Light deflecting system with rotating mirror
JPS63243557A (ja) 駆動ベルト用緊張装置
US4946345A (en) Turbo-molecular pump
KR200160200Y1 (ko) 모터의 회전자 완충 부재
CS248820B1 (en) Elastic fit of the high revolution rotor
US4022515A (en) Support means for textile spindles and rotors having anti-friction bearings
KR940008145Y1 (ko) 턴테이블의 충격 흡수 장치
JPH04236994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253190B1 (ko) 세탁기의댐퍼
KR200152271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CN210404936U (zh) 一种无刷静音马达
KR920003962Y1 (ko) 모터축 설치구조
KR910006949Y1 (ko) 오일레스베어링을 사용하는 모터의 축방향진동 제어장치
KR100269212B1 (ko) 축진동 방지 디스크 드라이브
US3149889A (en) Movable bearing for spinning or twisting spindles
KR100261811B1 (ko) 세탁기의 댐퍼
KR200183719Y1 (ko) 맛사지기의 진동발생장치
KR950006324Y1 (ko) 회전 헤드 드럼의 공진 방지 장치
KR0133151Y1 (ko) 진공청소기용 임펠러축의 베어링 받침 구조
JPH05253387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0649744A (zh) 一种无刷静音马达
KR950006323Y1 (ko) 회전 헤드 드럼의 공진 방지 장치
KR200142966Y1 (ko) 세탁기의 세탁조 진동 감쇠용 댐핑장치
JPS594052Y2 (ja) 二重撚糸機の振動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